In Moving Zone

카렌 버라드, 양자역학, 그리고 상호배타성의 역설 (2)

인-무브 2024. 5. 28. 20:53

카렌 버라드, 양자역학, 그리고 상호배타성의 역설 (2)

Karen Barad,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2006), 544 pp.

 

 

트레버 핀치(Trevor Pinch)

번역: 김강기명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보어를 넘어서 - 행위자적 실재론

 

나는 버라드의 작업의 큰 장점 중 하나, 그리고 이는 진정한 기여라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그녀가 보어가 실제로 의미한 바와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그의 견해의 급진적 특성을 어떻게 끄집어내어 복원하는가 하는 점이다. 하지만 버라드는 거기서 더 나아가고, 바로 이 지점에서 나는 의구심을 갖기 시작한다. 첫째, 그녀는 보어를 보어 자신으로부터 구하려는 방법을 제시한다. 보어, 그리고 사실 아인슈타인은 인간에게, 그리고 인간이 측정에 대해 어떻게 동의하는지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일종의 휴머니즘에 전념했다. 버라드에 따르면, 이것은 실수이며 측정 결과에 대한 합의로부터 그러한 측정을 인식하는 일종의 아는 마음으로 외삽하기 쉬운 주관적 함정으로 이어진다. 비그너와 폰 노이만이 제안한 것처럼, 양자 현상은 인간의 의식을 만날 때만 실현된다는 견해로 가는 것은 한 걸음 차이다. 그러나 보어에 대한 그녀의 비판은 훨씬 더 근본적이다. 본질적으로 보어의 상보성 견해는 언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에 대한 개념에 기초하고 있었고, 이것이 그가 의미한 고전적 개념이었다. 이것은 보어의 사고의 일부였는데, 봄은 이에 대해 특히 비판적이었고, 후기 작업에서 우리는 양자 현상을 논의하기 위한 새로운 언어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보어의 입장을 그녀가 행위자적 실재론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확장하는 버라드의 시도는 세 가지 주요 지점에 의존하는 것 같다. 첫째, 그녀는 언어에 대한 보어의 개념이 인간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언어적 개념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너무 협소하며, 더 정교한 언어 개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그녀는 푸코의 유물론적 해석에 기대어 언어를 그녀가 물질 담론적 실천(material discursive practices)이라고 부르는 것에 기반을 둔다. 둘째, 그녀는 보어(그리고 대부분의 과학자들)가 공유하는 다소 제한된 장치(apparatus) 개념을 확장한다. 나는 버라드의 전체 접근법에서 이 점이 가장 흥미롭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장치'가 보통 기술되는 것처럼 단순히 물질적인 기성품 도구 세트보다 훨씬 더 넓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이 책에서 실제로 풍부하게 맥락화된 몇안 되는 실험 중 하나에서, 물리학자 오토 슈테른의 시가가 어떻게 원래의 슈테른-게를라흐 실험에서 관련 장치의 일부였는지를 잘 보여준다. 슈테른은 황이 많이 들어간 저렴한 종류의 시가를 피웠는데, 이것은 은 원자 빔의 흔적이 그가 검사하고 있던 판 위에 검은 황화은을 형성하면서 더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했다. 그녀는 이 경우 장치로 간주되는 것과 그 주변의 경계가 쉽게 설정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피워진 시가의 종류가 아마도 하층계급의 것이었기 때문에, 계급과 사회적 변수가 모두 관련이 있다. 그녀는 장치에 대한 이 새로운 접근법을 레일라 페르난데스(Leila Fernandes, 1997)의 책 『노동자 생산하기(Producing Workers)』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시하는 장치의 정치경제학 이론으로 확장한다. 페르난데스의 설명에서 황마 공장은 노동자, 경영진, 기계, 신체, 재료, 탈식민주의적 관계 등을 생산하기 위한 일종의 장치로 다루어진다. 셋째, 버라드는 인간 자체가 자연에 의해 생산된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신체에 초점을 맞추고, 태아 부모에 관한 모니카 캐스퍼의 연구와 초음파 기술에 대한 STS 연구에 기대어, 주디스 버틀러의 지나치게 인간중심적인 신체에 대한 수행적 접근법에 대한 유물론적 비판을 제시한다.

 

버라드 자신의 행위자적 실재론의 수행적 접근법은 현상(그녀의 존재론의 근본적 실체)이 장치 조각들에서 발견되는 물질적 행위성에 의해 예시된다는 핵심적 측면에서 보어에게 크게 빚지고 있다. 그녀의 생각은 세계가 생성의 장소라는 것이다. 내부작용(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두 실체 간의 상호작용)은 어디에서나 일어나고 이는 현상을 만들어낸다.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은 인간만이 아니다. 그것들은 비인간에게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비인간은 그것들에 반응한다(그녀는 뇌가 없지만 지능적으로 행동하는 부서지기 쉬운 불가사리의 흥미로운 예를 제시한다). 공간, 시간, 물질은 내부작용의 과정에서 끊임없이 펼쳐진다. 그녀의 행위자적 실재론은 단순히 실험만이 아니라 훨씬 더 광범위한 물질적 환경이 현상을 드러나게 한다는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녀의 주요 논점은 우리 인간이 세계의 외부 관찰자가 아니라 끊임없는 내부 활동 속에 있는 세계의 일부라는 것이다. 존재론과 인식론은 분리될 수 없다. 그녀는 어떤 특정한 내부작용이 중요한지 이해하기 위해 '존재-인식론', 즉 존재 안에서 앎의 실천에 대한 연구를 지지한다.

 

Niels Bohr in September 1953 Keystone/Getty Images

 

행위자적 실재론의 평가

 

그녀의 주장에 따르면, 행위자적 실재론은 보어의 저술에서 발견되는 것보다 양자역학의 기초를 기술하는 더 자기 일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것은 주관주의를 피하면서도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연결에 대해 급진적으로 새로운 사고방식을 위한 여지를 남긴다. 나는 그녀의 행위자적 실재론에 대한 설명이 정말로 새로운 것을 더하거나 그 분야의 악명 높은 난제들을 해결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양자역학의 기초 전문가들에게 맡기겠다. 그러나 버라드는 양자역학의 철학을 다루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만족하지 않는다. 동시에 그녀는 행위자적 실재론이 과학기술학을 수행하는 기반이 되어야 하며, 또한 윤리학의 새로운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어 한다.

 

종종 과학기술학의 역사는 재현의 문제로부터 실천과 개입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것을 거쳐 오늘날의 존재론적 전환과 수행성에 대한 관심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제시된다. Andrew Pickering은 실천을, 그리고 나아가 수행성을 강조하는 데 앞장선 사람이다(Pickering, 1995). Pickering도 물리학에 대해 썼고, 그의 '행위성의 춤'이라는 은유가 버라드의 작업에도 등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나는 버라드가 그의 엉킴(mangle) 이론을 각주에서 다루고 그것의 지나치게 휴머니즘적인 경향 때문에 일축하는 것이 다소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했다. Annemarie Mol과 John Law의 저술과 같은 다른 관련 포스트휴머니즘 접근법들도 제대로 다뤄지지 않는다. 버라드는 또한 양자역학의 철학에서 그녀 자신의 견해와 상당히 가까운 견해들이 있다고 지적하는데, 흥미롭게도 여기에는 코넬대의 내 동료 David Mermin이 주장하는 양자역학의 이타카 해석이 포함된다. 다시 한번, 그녀가 자신의 텍스트에서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결코 정교화하거나, 직면하거나, 끄집어내지 않는다는 점이 나는 수수께끼 같다. 회절 은유와 차이에 대한 그것의 강조에 전념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접근법과 미묘하게 다른 접근법들을 무시하는 것은 실망스럽다.

 

버라드의 행위자적 실재론에 대해 내가 가진 한 가지 어려움은 그것이 실험의 재현 가능성에 대한 보어의 견해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버라드는 Karl Popper와 마찬가지로 과학기술학의 상당 부분이 논쟁의 대상으로 삼아온 바로 그 근거를 전제하는 것 같다. 어떻게 과학자들이 현상이 동일하다는 데 동의하거나 실험을 반복 가능하게 만드는 것에 대해 동의할 수 있을까? 반복 가능한 실험 자체가 신뢰의 문화, 공유된 삶의 형태, 그리고 암묵지를 포함하여 실천 공동체에서 학습되고 전승되는 공유된 실천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 방향은 다시 인간에게 초점을 맞추게 된다. 여기에는 물리학 공동체와 그들의 제도의 문화적, 사회적 차원을 훨씬 더 탐구하는 것, 그리고 그러한 합의가 가능하게 되는 물리학자들의 훈련을 탐구하는 것이 포함된다. 우리 중 일부가 선호하는 대로, 인식론 또는 인식지도학(epistemography)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각주:1] 물론, 얽힘 실험이 단순한 실재론적 방식으로 기술되어, 물리학 공동체의 모든 역사, 사회학, 귀중한 합의를 얻기 위한 투쟁이 지워진다면, 행위자적실재론은 멋진 철학으로 보일 수 있다. 버라드가 과학에서 어떻게 합의에 도달하는지를 문제시하는 작업과 완전히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단지 인간중심적이라는 이유로 그것을 일축하는 것 같다), 우리는 그녀가 실험 결과에 대해 동의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더 풍부한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을지 모른다. 아마도 그러한 합의 자체가 세계의 생성의 일부로 기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보여져야 할 것이다. 얽힘 실험의 증거의 무게를 요약하면서 그녀는 이렇게 쓴다. "과학의 결과는 결코 반박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항상 의문과 다중 해석에 열려 있으며 새로운 이론적, 경험적 발견에 직면하여 재해석의 가능성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실험 결과는 보어의 물리철학의 몇 가지 주요 원칙을 직접적으로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공한다..."(310쪽). 이는 물리학자의 전형적인 관점(모든 주의사항을 포함하여)에 더 가까워 보이며, 실험에 대한 과학기술학적 처치와 물리학의 사회와 문화에 기반을 둔 실험 결과로부터는 한참 거리가 멀어 보인다.

 

존재론으로의 전환은 공동체의 인식론과 그들이 세계에 있는 것에 대해 어떻게 합의에 도달하는지를 계속 무시하는 한, 인간 공동체에 지식을 위치시킨다는 주장과 불편하게 공존할 것이다. 나는 버라드가 과학에 대한 더 상황화된 설명을 요구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실재론적 방식으로 실험에 의지하는 동안, 정작 자신이 이야기하고 있는 과학의 바로 그 부분을 상황화하지 못한다는 점이 매우 수수께끼 같다. 아마도 이것이 우리가 결국 보어를 필요로 하는 곳일 것이다. 버라드가 과학자로서 과학을 하고 그에 대해 쓰는 방식과, 과학기술학 실천가로서 그렇게 하고 쓰는 방식 사이에는 상호 배타적인 무언가가 있는 것 같다. 두 활동이 동일한 프로젝트의 일부로 쉽게 수행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 분야의 역사도 부정하는 것이다. 과학자와 (버라드가 양자역학의 영웅이라고 생각하는 David Mermin을 포함하여) 과학기술학 실천가 사이의 생산적인 대화를 만들어내려는 시도는 양방향으로 많은 오해와 소통 부재가 있는 엄청나게 어렵고 복잡한 작업임이 입증되었다(Labinger and Collins, 2001).

 

물리학의 결과에 은유적 작업으로서가 아니라 과학기술학에 대한 직접적인 함의를 갖는 것으로 의지함으로써, 버라드는 또한 일종의 과학주의를 구애한다. 과학, 그것도 매우 권위 있는 형태의 엘리트 과학을 사용하여 과학기술학의 견해를 강화하는 것은 위험한 게임이다. 버라드의 경우, 나는 그 결과가 그렇게 위험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양자역학에 대한 보어의 견해는 최근의 과학 사업의 중심에 거의 있지 않기 때문이다. 과학으로의 전환을 지지하는 대부분의 페미니스트들은 과학을 재구성하거나, 적어도 그것의 사회적 관계를 재구성하려는 비판적 프로젝트의 관점에서 그렇게 한다. 버라드는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이 만들어지는 중인 젠더와 과학에 관한 것이거나, 둘이 서로를 공동 구성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비록 그녀가 포스트휴머니즘적 관점에서 비롯된 새로운 윤리적 틀을 강조하고, 신체가 물질적으로 만들어지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젠더에 중요한 결과를 가진다고 주장하지만, 나는 이러한 이해가 그녀가 제시한 얽힘 실험의 버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없었다. 아마도 과학을 자기편에 두는 것은 올바른 정치적 행보일 것이고, 우리가 연구하는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면서 동시에 그들을 연구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그녀의 지적도 옳다. 그러나 나는 과학과 과학기술학 사이의 상호 배타성의 역설을 재생산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버라드의 프로젝트는 매혹적이고, 복잡하며, 중요하고, 물질세계에서 살아가는 것을 다루는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가 과학을 맥락화하고 문화적, 사회적으로 내재화함으로써 얻었던 초기의 통찰을 잃지 않으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 끝.

 

 

 

참고문헌

 

●Collins HM and Pinch TJ (2008 1982) Frames of Mean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Extraordinary Science. London: Routledge.

●Cross A (1991) The crisis in physics: Dialectical materialism and quantum theory. Social

●Studies of Science 21: 735–759.

●Dear P (2001) Science studies as epistemography. In: Labinger J and Collins H (eds) The One Culture: A Conversation About Scienc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8–141.

●Fernandes L (1997) Producing Workers: The Politics of Gender, Class, and Culture in the Calcutta Jute Mill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Forstner C (2008) The early history of David Bohm’s quantum mechanics through the perspective of Ludwik Fleck’s thought collectives. Minerva 46(2): 216–229.

●Harvey B (1981) Plausibility and the evaluation of knowledge: A case-study of experimental quantum mechanics. Social Studies of Science 11: 95–130.

●Jammer M (1974) The Philosophy of Quantum Mechanics: The Interpretations of Quantum Mechanics in Historical Perspective. New York: John Wiley.

●Kaiser D (2009) How the Hippies Saved Physics. Unpublished book proposal, Program i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MIT.

● Pickering A (1995) The Mangle of Practice: Time, Agency, and Scienc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abinger J and Collins H (eds) (2001) The One Culture: A Conversation About Scienc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inch T (1976) Hidden variables, impossibility proofs and paradoxes: A sociological study of non-relativistic quantum mechan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Manchester.

●Pinch T (1977) What does a proof do if it does not prove? A study of the social conditions and metaphysical divisions leading to David Bohm and John von Neumann failing to communicate in quantum mechanics. In: Mendelsohn E, Weingart P and Whitley RD (eds) The Social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Sociology of the Sciences Yearbook, Vol. 1. Dordrecht: Reidel, 171–215.

 

저자소개

Trevor Pinch는 코넬 대학교의 과학기술학 교수이다. 그는 프랭크 트로코(Frank Trocco)와 함께 쓴 수상작 『아날로그 데이즈: 무그 신디사이저의 발명과 영향』(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2002)을 비롯하여 과학기술의 사회학에 관한 수많은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과학의 사회적 연구를 위한 학회(The Society for Social Studies of Science)의 차기 회장이다. 그의 최신 저서는 카린 바이스터벨트(Karin Bijsterveld)와 함께 편집한 『사운드 연구 옥스퍼드 핸드북』(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1, 출간 예정)이다.

  1. 인식지도학(Epistemography)은 인식론의 자연주의적 연구를 위해 피터 디어(Peter Dear, 2001)가 만든 용어이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