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인-무브

제라르 뒤메닐의 저서 『‘자본’의 경제법칙 개념』의 서문(1/2)


루이 알튀세르 지음
배세진 옮김(연세대 매체와예술연구소 연구원)

 

 


[옮긴이 앞글: 이 텍스트는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가 제라르 뒤메닐(Gérard Duménil)의 1978년 저서 Le concept de loi économique dans “Le Capital” (Francois Maspero, 1978)에 붙인 서문을 번역한 것이다. 이미 옥우석의 번역과 서관모 교수의 감수로 『역사적 맑스주의』(서관모 엮음, 새길아카데미, 1993)에 실린 바 있었던 이 텍스트는 뒤메닐의 오늘날까지의 작업 전체에 큰 영향을 끼쳤던, 그리고 옮긴이가 아는 한 현재에도 뒤메닐이 마르크스주의 연구자들에게 독해를 권하는 매우 중요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와 함께 읽어야 하는 뒤메닐의 글로는 옮긴이가 번역해 알튀세르 탄생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 기고한 「인식에 관한 마르크스의 이론에 대한 알튀세르의 분석에 있어 역사와 정치경제학 사이의 해소되지 않은 긴장에 대하여」가 있다(『알튀세르의 문제들: 알튀세르 탄생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2018, 미출간 참조). 반드시 이 글을 본 번역과 함께 읽기를 권한다. 

역어에 대해 간단히 몇 가지만 지적하자면, unité는 맥락에 따라 ‘통일성’ 혹은 ‘통일체’로 번역했다. 『자본』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두 가지 대립적 용어인 exposition과 recherche의 경우, 역어가 굳어져 있지 않기도 하고 본 번역이 출판을 위한 것도 아니기에 가독성을 해치더라도 exposition은 ‘설명/서술/제시’로(이 용어에는 ‘분석’의 역으로서 ‘종합’ -변증법적 종합을 포함해- 의 의미가 존재한다는 점을 기억하기를 바란다), recherche는 ‘연구/탐구/분석’으로 옮겼다(반면 étude는 대부분 ‘연구’로 옮겼다). interne는 ‘내적’, intérieur는 ‘내부적’, intériorité는 ‘내부성’으로 옮겼으며, 평행하게 externe는 ‘외적’, extérieur는 ‘외부적’, extériorité는 ‘외부성’으로 옮겼다. position은 ‘위치’와 ‘입장’이라는 의미를 모두 지니고 있으며 철학에서는 ‘조정’ 또는 ‘정립’을 의미한다. (한두 곳을 제외하고) 여기에서는 명확히 (개념의) ‘정립’이라는 의미를 강하게 지니고 있기에 ‘정립’으로 통일해 옮겼으며, 이 용어와 관련해 ouverture와 fermeture는 ‘열림’과 ‘닫힘’으로 옮겼다. limite의 경우 본 텍스트에서 대부분 복수형으로 쓰여 있으나 굳이 ‘한계들’이라고 하지 않고 간단히 단수형 ‘한계’로 옮겼다. sens는 ‘의미’와 ‘방향’ 모두를 의미하므로 가독성을 해치더라도 ‘의미/방향’으로 옮겼다. pensée는 ‘사유’ 또는 ‘사고’로 자유롭게 옮겼다. détermination은 ‘결정’, ‘결정작용’, ‘결정요소’ 모두를 의미하는데, 본 번역에서는 ‘결정요소’로 통일했다(하지만 ‘결정’과 ‘결정작용’으로도 옮겨질 수 있음에, 그리고 ‘규정’으로도 옮길 수 있음에 주의하라 . 그래서 필요한 경우 ‘규정’ 또한 병기해주었다). abstraction은 ‘추상’이나 ‘추상물’ 혹은 ‘추상화’ 모두를 의미하지만 여기에서는 ‘추상’으로 간단히 옮겼다. commencement은 맥락에 따라 ‘시작’ 혹은 ‘시작점’으로 옮겼다. ‘이론적 영역’을 뜻하는 champ은 ‘장’으로 옮겼다. commander는 ‘지배’ 혹은 ‘명령’으로, 아니면 ‘지배와 명령’으로 번역했다. ‘우연성’은 contingence를 옮긴 것으로, 아래에서 알튀세르가 중요하게 활용하는 표현은 ‘우연성의 필연성’, 즉 nécessité de la contingence이다. ‘명증성’은 évidence를 옮긴 것으로, 어려운 의미가 전혀 아니라 ‘당연한 것으로 전제된 바’, 즉 『자본』에서는 상품이나 가치 등과 같이 마르크스가 선행하는 무언가 없이 전제(poser)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전제’는 poser를 옮긴 것이고, ‘가정’은 supposer를, ‘선-전제’는 présupposer를 옮긴 것이다(철학에서 poser는 앞서 지적했듯 ‘조정’ 또는 ‘정립’으로도 많이 옮겨지지만 supposer와 présupposer와의 연속성을 고려해 이렇게 옮겼다). matière의 경우 ‘물질’과 ‘재료’라는 뜻이 모두 들어 있으나, 여기에서는 ‘사고 또는 이론의 재료’ 혹은 ‘사고 또는 이론의 대상’으로서의 물질을 의미하므로 이를 ‘물질/재료’로 통일해 옮겼다. 바로 이 ‘재료’를 ‘전유’한다고 할 때 ‘전유’는 approprier 혹은 대명동사 s’approprier를 옮긴 것이다. mode는 ‘방식’으로, modalité는 ‘양태’로 옮겼다. a priori는 ‘선험’으로 옮겼다. construction은 ‘구축’ 혹은 ‘구축물’로, constitution은 ‘구성’ 혹은 ‘구성물’로 옮겼다. développement은 모순과 관련해서는 ‘전개’로, 이론과 관련해서는 (이론이라는 말이 없더라도) ‘이론적 전개’로 옮겼다. 알튀세르는 독일어 Verarbeitung을 프랑스어 élaboration으로 번역하는데(사실 이 프랑스어는 일상에서도 많이 쓰이는 단어이다), 서관모 교수가 『마르크스를 위하여』(루이 알튀세르 지음, 서관모 옮김, 후마니타스, 2017)에서 설명하듯 이를 ‘정교제작’으로 옮기는 것이 매우 정확하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맥락을 고려해 ‘정교화 노동’ 정도로 옮겼다. procès de pensée, 즉 ‘사고과정’이 독일어 그대로 즉 Denkprozess로 쓰였을 경우 ‘사고과정’으로 옮기면서 항상 원어를 병기해 주었다. oeuvre는 (『자본』이라는) 저작과 (『자본』을 생산하는) 작업 모두를 의미하므로 가독성을 해치더라도 ‘저작/작업’으로 옮겼다. consequence 또한 가독성을 해치더라도 ‘결론/결과’로 옮겼다. 본 번역에서는 existence를 굳이 ‘실존’으로 옮기지 않고 ‘존재’로 옮겼다. 텍스트를 읽어나가면서 독자들은 왜 옮긴이가 굳이 이 원어들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이 난해한 텍스트를 조금이라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어에 대한 지식을 사전에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번역대본은 Louis Althusser, Solitude de Machiavel (Édition préparée et commentée par Yves Sintomer[편집자 ‘이브 생토매’]), PUF, 1998의 pp. 247-266이다. 번역을 하면서 고슈 가리언(G.M. Goshgarian)이 최근 출간한 이 텍스트의 영역본(Rethinking Marxism , 2018, Vol. 30, N. 1)의 도움을 받았다. 그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편집자 이브 생토매의 서문: 1977년 2월에 작성한 이 텍스트는 알튀세르가 책임자로 지도하고 있었던 “이론”(Théorie) 총서의 한 권으로 1978년 출간된 제라르 뒤메닐의 저서 『‘자본’의 경제법칙 개념』의 서문(pp. 7-26)으로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뒤메닐은 1968년 말부터 이 저서를 집필하기 시작했는데, 그 당시 그는 알제리의 해외협력 파견원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자본』을 거의 유일하게 배타적인 작업도구로 삼음으 로써 참고문헌 없이 이를 집필했다. 이 작업은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1971년 발표했던 박사학위 논문으로 이어졌다. 마오주의를 지지했던 뒤메닐은, 그러나 특히 68운동에 대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종파주의 때문에 1968년부터 마오주의로부터 스스로를 거리두었다. 뒤메닐은 알튀세르주의자가 아니었다. 비록 『마르크스를 위하여』의 저자인 알튀세르가 (1997년 5월에 내가 행한 뒤메닐과의 대담에서 그 스스로가 사용한 표현을 따르자면) ‘멍청하지는 않은’(non niaise) 하나의 특정한 방식으로 『자본』을 읽을 수 있도록 그를 이끌어 주었다고는 할지라도 말이다(여기에서 ‘멍청하지는 않은’이라는 표현은 자신의 『자본』 독해에 대한 겸손한 자기평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 옮긴이). 물론 뒤메닐은 알튀세르주의자가 아니었지만 그럼에도 분명 이 저서는 알튀세르 자신 또한 다루고자 시도했던 주제들에 동일하게 접근했다. 그러나 이 저서에서 뒤메닐은 알튀세르가 본질적으로는 철학적인 성격의 접근이라는 틀 내에서 상당히 피상적인 방식으로만 다루었던 (고유한 의미에서의) 경제학적 문제들을 더욱 깊이 파고 들었다.
 
1971년 알튀세르는 자신의 테제들과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던 뒤메닐의 테제들을 아마도 높이 평가하지는 않았던 것 같지만, 어쨌든 이 두 사람은 서로를 개인적으로 알지는 못했다. 하지만 몇 년 뒤, 그러니까 더 이상 도그마주의가 통용되지 않던, 이전과는 다른 이론적이고 정치적인 맥락 속에서(마르크스에 대해 뒤메닐이 너무 관대한 것 아니냐고 종종 암묵적으로 알튀세르가 그를 비판할 만큼이나 변화된 맥락 속에서) 뒤메닐이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을 알튀세르에게 우편으로 보냈을 때, 알튀세르의 반응은 이전과는 달리 굉장히 긍정적이 었다. 알튀세르는 뒤메닐의 작업을 진지하게 취급했고 그를 직접 만났으며 이 박사학위 논문의 출간을 마스페로 출판사에 제안하기 전 그와 여러 차례 대화했다. 판매량이 너무 적을 것에 대한 걱정으로 이를 출간하고 싶어하지 않았던 출판사를 설득하기 위해 알튀세르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했다.

현대출판기록물연구소(IMEC)에는 이 텍스트의 세 가지 판본이 존재한다. 아래에 우리가 출판하는 판본은 마스페로 출판사에서 출간된 텍스트와 일치하며, 마지막 타자원고와의 몇몇 중요한 차이들의 경우 편집자 주석을 통해 언급했다.1)]  

 

---------------------------------------------------------------------------------------------------


1965년의 『‘자본’을 읽자』에서부터 1974년의 『역사유물론 5연구』2)에 이르도록 “이론” 총서가 특정한 방식으로 『자본』에 대해 질문하는 것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왔던 독자들에게, 매우 상이 한 이론적 영감을 지닌 작업을 고독 속에서 지속해 왔던 제라르 뒤메닐이라는 한 연구자의 저서를 소개하는 것이 우리에게 의미 있어 보였다.

이러한 소개를 통해 우리는,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거리두기가 우리로 하여금 『자본』의 몇몇 명증성들에 대해 [조금은 더 중립적인 관점에서 다시] 작업할 수 있게 해주는 이 시기에, 『자본』에 그 [사고의] 물질/재료와 경제를 되돌려주기 위한 하나의 대결과 몇 가지 유익한 가설들을 희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3)  

역설적이지만, 그 고유의 논리에 따라서만 『자본』을 분석하고 “이 『자본』 내에 쓰여지지 않은 것은 그 무엇도 절대로 읽어내지 않”는 것을, 그러니까 자신의 이론적 장의 한계를 절대로 초과하지 않는 것을 그 연구 원칙으로 취한 뒤메닐의 이 저서가 오히려 바로 『자본』을 분석하는 작업에 기여할 수 있다.


***

이미 그 자체만으로도 완벽히 자족적이며 자신의 엄밀함과 명료함 속에서 모든 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그러한 저작을 소개(presénter)하겠다고 주장할 생각은 없다. 『자본』을 “모든 의미/방향으로” 편력함으로써, 그러니까 『자본』의 1, 2, 3권과 그 여러 장들로부터 인용한 구절들을 자르고 다시 모음으로써, 동일한 문제들을 여러 차례에 걸쳐 하지만 매번 다른 각도로 다룸으로써, 이 저서가 예상치 못한 자신의 전개방식(procédé)을 통해 독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기는 하지만, 우리는 저자가 그 야망도 유효범위도 전혀 숨기지 않는 하나의 연구 계획, 즉 마르크스의 사고 논리(logique de la pensée)의 발견이라는 연구 계획에 활용되기 위해 ‘한걸음 한걸음’ 스스로 구성되어 나가는 섬세하고도 끈질기며 열정적인 그 논증 속으로 빠르게 진입하게 된다.

뒤메닐은 우리가 12년 전에[그러니까 『‘자본’을 읽자』에서] 시도했던 것처럼 『자본』을 ‘읽’으려 하지 않는다. 그 당시 우리는 『자본』의 전사(préhistoire) -우리가 너무 획일적으로 ‘이데올로기적’이라고 불렀던- 에 맞서, 즉 스미스, 리카도, 세에 맞서 ‘정치경제학 비판’으로 정의했던 적절한 개념적 차이들을 『자본』에서 탐지해 내고자 했다. 동시에 우리는, 부적절한 용어들 속에서, 어떠한 통념의 결함[또는 결여]을 혹은 어떠한 증명의 원환[즉 오류]을 예상하고자 했는데, 이것들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낡은 계보이든 인식되지도 못한 문제이든 이론적 허상이든 그 증상이었다.4)  매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이 역할을 거부하기도 했던, 정치경제학과 헤겔이라는 두 항의 작용(jeu)을 통해, 우리의 해석은 (비록 그 당시 우리의 해석이 어떠한 이론주의의 수인이기는 했지만) 『자본』의 개념들과 현실적 문제들 -마르크스는 이 개념들 속에서 이 문제들과 대결했는데- 사이의 관계를 요청했다.5)  

뒤메닐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이 저서는 『자본』을 읽지 않는다. 대신 이 저서는 『자본』을 연구(étudie)한다.” 뒤메닐의 이 발언을 우리는 『자본』을 읽을 수 있기 위해서는 이를 연구해야만 한다는 주장으로 이해해야 한다. 뒤메닐의 ‘연구’(étude)의 대상에 대해 오해하지 말자. 이 저서의 목표는, 명료하지만 혼란스러우며 미완성된 저작 『자본』 속에서 생산가격의 이론이나 (주기적 위기이든 일반적 위기이든) 위기 이론 등등과 같은 ‘경제(학)적’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이를 세밀하게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 심지어 이 저서의 목표는 마르크스가 이러저러한 문제에 관해 사고했던 바를 이해하기 위해 『자본』을 연구하는 것도 아니다. 뒤메닐은 마르크스가 어떻게 사고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자본』을 ‘연구’한다. 이 외의 나머지는 잉여적인 것이다. 극단적으로 뒤메닐은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마르크스가 어떻게 사고했는지를 우선 이해한다는 조건에서만이, 우리가 그의 대상을 정의하고 그의 증명을 지배하는 논리를 인식한다는 조건에서만이, 우리는 그 원인에 대한 인식 속에서 『자본』을 읽을 수 있으며, 『자본』이 포함하는 것, 『자본』에게 ‘당연히/정당히’(en droit) 귀속되는 것, 『자본』을 빠져나가는 것, 『자본』이 그로부터 배제되는 것을 인지(identifier)할 수 있다.


***

『자본』의 마르크스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이는 매우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던 질문으로, 우리로 하여금 레닌의 너무 유명한 아포리즘들을 넘어, 그리고 비판적이기보다는 변호론적인 모든 관련 ‘문헌들’을 넘어, 다시 마르크스 자신 안에서 우선적으로 발견해야만 하는 해답의 요소들로 되돌아가도록 만든다.

가장 단순하고 가장 ‘명증’한 답변은 (하나의 논리라고 가정된) 마르크스의 사고 논리를 ‘『자본』의 이성/이유의 질서’, 즉 그 설명/서술/제시 순서와, 혹은 마르크스의 표현을 다시 취하자면, 그 ‘설명/서술/제시 방법’ 혹은 ‘설명/서술/제시 방식’(Forschungsmethode 혹은 Forschungsweise)과 동일시하는 것이다.6)  

이러한 답변을 우리에게 강제하는 것은 『자본』의 ‘이성/이유의 질서’가 지니는 인상적인 개념적 통일성 뿐만이 아니라 또한 『자본』의 독일어 2판 ‘후기’, 즉 『자본』 1권이 출간된지 6년 뒤인 1873년에 『자본』의 독자들의 비판에 응답하기 위해 집필한 글에서 명시적으로 우리에게 이러한 통일성을 지시하는 마르크스 자신이기도 하다.7)  하지만 『자본』의 설명/서술/제시 순서가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어떠한 선-전제 없이 자명한 것으로 주어짐에도 불구하고, 바로 이 ‘후기’에서 두 번째 순서가, 하지만 사실은 첫 번째 순서인 그러한 순서가, 즉 연구/탐구/분석의 순서가 등장한다. 마르크스는 연구/탐구/분석의 방법 혹은 방식(Forschungs-methode 혹은 -weise)과 설명/서술/제시의 방법 혹은 방식(Darstellungs-methode 혹은 -weise)을 구분해야 한다고 선언한다. 그리고 그는 다음과 같이 자신의 주장을 명확히 한다. “세부지점들에서 재료(Stoff)를 전유(sich aneignen)하는 것, 그 전개의 서로 다른 여러 형태들을 분석하는 것, 그리고 그 형태들의 내밀한 관계를 드러내는 것”은 연구/탐구/분석의 방식에 속하는 것이다. 개념적 설명/서술/제시는 연구/탐구/분석뒤에 이어지는 이차적인 것이다. “[연구/탐구/분석이라는] 노동이 완료될 때에만 현실적 운동은 적합한 방식으로 설명/서술/제시될(entsprechend dargestellt) 수 있다.” 그러므로 설명/서술/제시의 순서는 연구/탐구/분석의 순서를 선-전제한다. 운동 중인 물질/재료를 전유하기 위해서는 연구/탐구/분석이 우선 필요하다. 개념들의 운동 속에서 ‘현실적 운동’을 ‘재생산’하기 위한 설명/서술/제시는 그 다음에 이어지는 것이다.

설명/서술/제시의 순서와 연구/탐구/분석의 순서 사이의 이러한 구분이 우리를 ‘연구/탐구/분석의 방법’이 규정하는 영역의 내밀함(intimité)으로, 그러니까 (『자본』에서 우리가 명명백백히 확인할 수 있는 설명/서술/제시가 연구/탐구/분석의 결과를 ‘재생산’할 뿐이라는 점에서) 저작/작업의 운명이 최종적으로 작동하는 장소인 ‘물질/재료’의 ‘전유’ 노동 속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믿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혀 아니다. 만일 1857년[『정치경제학 비판 요강』의] ‘서문’의 ‘정치경제학의 방법에 관하여’라는 절에서8)  마르크스가 이러한 정교화 노동(Verarbeitung)을 암시적으로 언급할 수 있었다고 우리가 주장할 수 있다 하더라도, 16년 뒤 마르크스는 이와 정반대로 『자본』의 ‘후기’에서는 이러한 정교화 노동에 대해 그 무엇도 말하지 않으며 그 이후로도 역시 그 무엇도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마르크스는 이 ‘후기’에서 (게다가 그가 ‘형식적formelle’이라고 선언했던, 설명/서술/제시와 연구/탐구/분석의) 구분의 용어들[관점들 또는 항들](termes)을 분석하고자 하지 않는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용어들을 분석할 필요가 없었으며, 대신 이 용어들 간 구분 내에서의 이것들의 단순한 정립에 대한 분석으로도 그에겐 충분했기 때문이다.

설명/서술/제시와 연구/탐구/분석 사이의 구분은 마르크스로 하여금 자신의 유물론에 ‘형태’(forme)를 부여할 수 있게 해준다. 만일 방법이 둘로 나뉘어진다면, 만일 설명/서술/제시 순서의 뒤편에 또 하나의 다른 순서가, 즉 연구/탐구/분석의 순서가 등장한다면, 이는 용어들의 한 쌍을 위치짓기(mettre en place) 위한, 그리고 이 쌍 안에서 한 용어에 대한 다른 한 용어의 우위를 전제[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설명/서술/제시 방법에 대한 연구/탐구/분석 방법의 우위. 따라서 ‘물질/재료’에 대한, 이 ‘물질/재료’의 세부지점에 대한, 이 ‘물질/재료’의 현실적 운동에 대한 전유 내에 모든 것이 달려 있는 것이다. 즉, 설명/서술/제시의 개념적 운동은 현실적 운동을 ‘재생산’할 뿐이고 현실적 운동의 (관념 내에서의) ‘관념적 반영’(reflet idéel)에 불과한 것이며, 이 설명/서술/제시의 개념적 운동은 심지어 단 하나의 ‘선험적a priori 구축물’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다.

결국 이는 하나의 테제이며, 만일 이 테제가 하나의 테제로서 단순히 ‘전제’[정립]된 것으로 남아 있다면, (이 테제가 ‘재료Stoff’라는 단어를 가지고 말놀이를 하는 것과 동일하게 놀이함으로써) 이 테제는 마르크스의 유물론의 의미/방향에 관한 어떠한 관점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동시에 이러한 전유 노동에 관한 분석을 위한 [복수의] 길들을 열어젖힐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마르크스는 이 테제를 완전히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활용한다. 마르크스는 이 테제를 독일의 ‘서평가들’(faiseurs de comptes rendus)이 『자본』에 대한 그들의 비판에 서 자신에게 제기했던 헤겔주의라는 비판에 대한 반비판 속으로 ‘집어넣’(précipite)고 고정시킨다. 따라서 마르크스에게서 방법의 양분은 이 성급한 독자들로 하여금 그들이 설명/서술/제시 방법의 뒤편에서 또 다른 하나의 방법, 즉 연구/탐구/분석과 ‘물질/재료’의 전유라는 방법을 보지 못했다는 점을 깨닫게 만드는 역할에 집중한다. 잡지 『메사제 웨로페앙』(Messager européen)의 러시아 비평가는 이러한 구분을 정확히 파악했지만, 그는 『자본』의 ‘설명/서술/제시 방법’의 (헤겔주의적인) ‘독일적 변증법의 방법’을 ‘연구/탐구/분석의 방법’의 ‘엄격한 현실주의’에 대립시켰을 뿐이었다.9)  불행히도, 그리고 이러한 구분에도 불구하고, 다른 독일 비평가들과 마찬가지로 이 러시아 비평가 또한 ‘설명/서술/제시 방법’의 함정에 빠져들고 말았다. 따라서 우리는 더 멀리 나아가야만 한다. 그리고 마르크스는, 사변적 허상이라는 효과가 바로 … 진정으로 적절한 유물론적 설명/서술/제시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이 비평가들의 오류를 하나의 허상을 통해 설명해내 자신의 우아한 자태를 뽐낸다! “그 관념적 반영 속에서 물질/재료의 생명을 재생산하는 노동[과업]에 만일 우리가 성공한다면, 우리는 하나의 선험적 구축물을 다루고 있다는 인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는 하나의 역설이다. 바로 이러한 성공이, 그러니까 설명/서술/제시 방법을 통한, 개념들의 운동 혹은 변증법을 통한 현실적 운동의 유물론적 재생산의 적합함이, 설명/서술/제시 방법과 개념들의 운동 혹은 변증법을 통한 현실적 운동의 생산(즉 ‘선험적 구축물’)이라는 사변적 허상을 만들어내니까 말이다…

아마도 이러한 구분을 통해 마르크스는 (자연스러운 핑계로) 이 비판가들에게 그들의 사변적 허상의 원인, 즉 『자본』의 완벽한 ‘성공’을 지시해줌으로써 자신의 비판가들을 무시해 버렸던 것 같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마르크스는 (감히 이런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면) 침묵으로밖에는 완수할 수 없는, 즉 이러한 구분의 두 용어들[관점들 또는 항들] 각각에 대한 침묵 혹은 오히려 (『자본』은 자신의 설명/서술/제시 순서를 표현exhibe하고 강조한다는 점에서) 연구/탐구/분석의 순서에 대한 침묵 -그러나 바로 이 연구/탐구/분석의 순서가 『자본』 전체를 지배하고 명령하는 것인데- 으로밖에는 완수할 수 없는 ‘설명’(explications)에 착수한 것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이는 스스로는 자신을 이해할 수 없는 설명/서술/제시 순서(왜냐하면 이 설명/서술/제시 순서는 또 다른 순서, 즉 연구/탐구/분석 순서에 의존하기 때문이다)에 침입해 들어오는 ‘명증성’을 뒤덮고 있는 모호성들에 대한 침묵이다.

이 모든 설명 내에서, 마르크스는 단순한 하나의 단어에 불과할 수 있는, 하지만 동시에 매우 멀리까지 나아갈 수 있는 하나의 작은 단어, 즉 ‘방법’이라는 단어를 간접적으로 암시한다. “『자본』에서 사용된 방법은 거의 이해되지 못했다.” 마르크스는 바로 이 문장으로 자신의 논의를 시작한다. 자기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 마르크스는 방법을 양분하고 자신의 저작/작업의 유물론적 ‘성공’이 생산한 사변적 허상을 해명했다. 그리고 매우 당연히도, 그가 간접적으로 암시한 이 방법과 사변이라는 단어들이 ‘자신의 변증법적 방법’을 헤겔의 ‘변증법적 방법’과 대립시키는 근본적인 차이를 도출하는 것이다.

“나의 변증법적 방법은 그 토대에 있어(Grundlage) 헤겔의 변증법과 다를 뿐만 아니라 헤겔의 것과 직접적으로 정반대되는 것(ihr direktes Gegenteil)이다. 헤겔에게서, [대문자] 관념이라는 이름 하에 하나의 독립적인 주체로 변형되기까지 하는 사고과정(Denkprozess)은 현실적인 것(das Wirkliche)의 조물주인데, 이 현실적인 것은 그 외부[즉 관념적인 것]의 현상(Erscheinung)만을 표상할 뿐이다. 반면 나에게서, 완전히 역으로(umgekehrt), 관념적인 것은 인간의 머릿속에서 전치(transposé)되고 번역된 물질적인 것과 다른 것이 전혀 아니다.”10)11)   

 

제라르 뒤메닐


이 유명한 구절들은 헤겔의 방법 혹은 사고과정(Denkprozess)의 양태(modalite)와 마르크스의 방법 혹은 사고과정의 양태 사이의 일대일 대립 혹은 전도를 정의하고 있다. 헤겔적 사고과정(Denkprozess)이 ‘현실적인 것의 조물주’이며 ‘현실적인 것’은 이 사고과정(Denkprozess)의 현상에 불과한 것과 달리, 또한 ‘조물주’라는 용어는 제거함으로써 우리가 헤겔적 사고과정(Denkprozess) 즉 [대문자] 관념의 운동이 현실적인 것을 생산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마르크스에게서 사고과정(Denkprozess)은 개념들의 운동 내에서 물질/재료 그 자체의 운동을 ‘재생산’하는 것에 만족한다. 그리고 헤겔에게서 현실적인 것이 독립적인 것으로 전제된 [대문자] 관념의 현상(Erscheinung)에 불과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지만 동시에 그 역으로(umgekehrt), 마르크스에게서 관념적인 것(즉 사고과정Denkprozess)은 ‘물질적인 것’의 ‘반영’에 불과하다.

바로 여기에서 우리는 용어들[관점들 또는 항들]의 전도를 통한 이러한 대립이 사변적 허상을 수식하기 위해 말해진 바를 초과한다는 것을 즉각 확인하게 된다. 즉, 이는 더 이상 하나의 ‘선험적 구축물’(Konstruktion a priori) -개념적 설명/서술/제시의 형태만을 유일한 대상으로 취하는(개념적 ‘구축물’은 이와 다를 수도 있겠지만)- 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구성 혹은 생산 -‘선험적 구축물’과 달리 이 구성 혹은 생산은 현실적인 것 그 자체를 대상으로 취한다- 인 것이다. 그러므로 방법의 ‘전도’에서 은밀하게 그 쟁점으로 설정되는 것은 방법 뿐만이 아니라, 특히 설명/서술/제시의 방법 뿐만이 아니라, 또 하나의 다른 것, 즉 인식의 작업(oeuvre)을 제대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 정의하고 차지해야만 하는 철학적 정립[또는 입장]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여기에서 모호한 점은 이러한 정립이 정확히 방법에 따라서(en fonction de)[즉 방법으로] 정의되는지이다.

우리는 이러한 유보를 서로 다른 여러 형태들로 표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내가 예전에 보여주었듯,12)  우리는 마르크스가 그 중심에서 자신의 ‘전도’(renversement)를 수행했던 철학적 장치(dispositif)가 포이어바흐가 이를 통해 사변을 완성된 본질로 그러니까 모든 관념론의 진실로 정의했던 그러한 철학적 장치로 남아 있다는 점을 보여줄 수도 있고, 또한 이러한 의미에서 마르크스가 헤겔적 ‘사변’에 대한 포이어바흐적 해석 내에, 그러니까 유물론을 자신의 ‘전도’로, 다시 말해 ‘사변’만의 전도로 정의하는 그러한 한계 내에 여전히 사로잡혀 있다는 점을 보여줄 수도 있다. 하지만 또한 우리는 이 동일한 유보를 또 하나의 다른 형태 하에서, 그리고 우리에게 마르크스 사유의 ‘정관사’(la) 논리에 대한 정의(définition)의 쟁점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더욱 적절한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만일 우리가 이 지점을 자세히 살펴본다면, 헤겔적 방법과 마르크스적 방법이라는 양태들 간의 전도는 양극적인 두 가지 철학적 범주들 .요구되는 것은 바로 이 두 가지 철학적 범주들 사이의 전도인데- 을 그 쟁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한편에는 현실적인 것 혹은 물질 혹은 물질적인 것, 다른 한편에는 관념 혹은 관념적인 것이라는 두 가지 철학적 범주들이. 이 양극적인 두 가지 범주들 각각의 우위 사이에서 유물론적 테제와 관념론적 테제라는 철학적 입장들이 기본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양극적인 두 가지 범주들 이외에도, 여기에는 바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용어들이 개입해 들어온다. 바로 사고과정(Denkprozess)과 방법이 그것이다. 이 두 용어들이 단지 하나를 이룰 뿐이라는 점, 이 두 용어들 모두가 관념 혹은 관념적인 것의 편에 존재한다는 점을 우리는 인정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 [사고과정과 방법이라는]이 두 가지 용어들은 하나의 우위에서 다른 하나의 우위로 이동하게 만드는 양태의 전도가 취하는 불변적 축 혹은 토대(substrat)이다. 이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해보자. 이 불변항과 같은 유형 하에서, 우리는 비판되지 않았으며 문제제기되지 않은, 사고과정(Denkprozess)과 방법에 관한 마르크스의 특정한 하나의 관념을 발견하게 된다(이 사고과정과 방법은 이러한 작동을 지배하는 철학적 선-전제들의 한계로부터 빠져나오지 않으면서 자신들에 대한 ‘전도’를 가능케 한다).13)

우리는 그 효과를 통해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모든 것이 사고과정(Denkprozess)의 양태의 전도 위에서 작동하는 것이라면, 비판에 따라, 다시 말해 모든 관념론의 진실로서의 사변이라는 포이어바흐적 개념화의 논리에 따라, ‘유물론적-과학적’ 사고과정(Denkprozess)을 획득하기 위해 ‘사변적’ 사고과정(Denkprozess)의 양태를 전도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것일까? 오히려 이와는 반대로 이 사고과정(Denkprozess)의 형태와 개념, 다시 말해 관념을 뒤엎기(bouleverser) 위해 이 사고과정(Denkprozess)으로부터 거리를 취해야 하는 것 아닐까? ‘헤겔의 변증법’이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방법’이 되기 위해 이 사고과정(Denkprozess)의 양태를 전도하는 것만으로 정말 충분한 것일까? 그리고 사태를 근본적인 차원에서 말해보자면, 도대체 어떠한 자격에서 그리고 어떠한 대가를 치르고서 우리는 (심지어 헤겔적 사변으로부터 ‘해방된’) ‘하나의 방법’을, 진정으로 하나이며 진정으로 방법인 그러한 ‘하나의 방법’을 획득했다고 주장할 수 있을까? 이는 하나의 ‘방법’과 하나의 ‘변증법’을 위한 모험으로 향하는 여러 길들을 열어젖히는 위험에 빠질 수 있는데, 이 하나의 ‘방법’과 하나의 ‘변증법’이 포이어바흐가 헤겔에게서 사변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바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가정해 본다면, 이 길들은 전사변적인(préspéculative) 오래된 관념론적 경향을 완전한 자유 속에서 되찾기를 요구하는 것에 불과하다. 오히려 이 사고과정(Denkprozess) 그 자체를, 다시 말해 유일(unique)하면서도 공통적인, 그래서 범례적인 하나의 사고과정(Denkprozess)의존재라는 관념 그 자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야만 한다는 점은 너무나 명확하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사고과정(Denkprozess)이라는 관념은 물질/재료를 ‘생산’한다고 자처하는 사변적 담론의 오류와 마찬가지로 이 물질/재료를 진정으로 ‘재생산’하는 개념적 설명/서술/제시라는 사변적 허상 또한 지지한다는 [역설적인] 이점을 보여준다.

우리는 이를 그 효과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우리가 사변적 허상에 빠질 수 있는 것과 정확히 동일하게) 다른 의미에서 진지한 이유들로 인해 ‘변증법적 허상’에 빠질 수 도 있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다. ‘헤겔의 변증법적 방법’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방법’ 사이의 차이가 그 양태(즉 더 이상 사변적이지 않고 유물론적인 양태)에 달려 있다고 말함으로써,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입장(position)을 방법에 관한 기존 관념 속에서 작동시킴으로써, 그러니까 이 기존 관념 속에 집어넣음으로써, 마르크스는 자신의 테제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할 위험에 처하게 된다. 나는 이것이 마르크스가 내뱉은 몇 마디 성급한 말들에 지나지 않기를 바라지만, 그가 이 점을 다시 제대로 다루지도 않았으며 또한 특히 이 몇 마디 말들을 읽었던 몇몇 이들이 이를 마르크스가 직접 제출한 결론으로 간주해 종교적으로 주석을 달았기에, 우리는 이 단어들을 진지하게 취급해야만 한다. 결국 마르크스 자신이 이를 진지하게 다루지 않았던가.14)  (그토록 조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혹의 깊은 흔적들이 남아 있는) 『자본』을 집필하는데 있어 필요불가결한 장(champ)을 취하기 15년 전, 마르크스가 (광적으로까지는 아니라고 해도) 최소한 헤겔적 유혹에 종종 빠지곤 했다는 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그룬트리세)』을 읽어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자본』 1권 1편의 헤겔적 ‘용어들’과 ‘불장난’을 했다는 마르크스 자신의 인정을 악용한 복수의 논평가들은, 매우 자연스럽게도, ‘대립물들의 통일체’로서의 상품이라는 ‘선험적 구축물’로 대표되는 그러한 함정에(도대체 어떤 의미에서 ‘가치’의 ‘담지자porteur, Träger’라고 불리는 ‘사용가치’가 자신이 ‘담지’하는 가치와 모순적이라고 말해질 수 있는지? 나는 도무지 모르겠다), 그리고 상품으로부터 자본을 연역하는 것 등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고 즉자(상품)와 대자(교환)로부터 즉자-대자로서의 화폐를 연역하고자 하는 것으로 대표되는 그러한 함정에 빠졌다.

그리고 우리가 다룰 만한 가치가 역사적으로 사실상 거의 없는 주석가들을 제외한다면, 레닌 자신은, 헤겔의 『대논리학』15) 을 읽고 난 뒤 느꼈던 놀라움 속에서, 믿기 힘든 다음과 같은 문장을 분명히 썼다. “『자본』에서 마르크스는 우선 가장 단순한 것 (…) 상품들의 교환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그 현상 속의 모든 모순들을, 더욱 정확히 말해 현대 사회의 모든 모순들의 맹아를 발견해 낸다. 그 다음으로 마르크스의 설명/서술/제시는 처음에서부터 그 끝에 이르기까지 그 다양한 부분들에 존재하는 이 모순들과 이 사회의 전개(와 성장, 그리고 운동)을 묘사한다. 바로 이것이 변증법 일반의 설명/서술/제시 방법(더욱 정확히 말해 연구/탐구/분석étude 방법)임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부르주아 [시민]사회의 변증법은 마르크스에게 변증법 일반의 특수한particulier 하나의 경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16)  그리고 명백히 자신이 전혀 통제하지 못하고 있는 이러한 ‘대담함’과 일관되게 레닌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가장 단순한 것, 가장 익숙한 것, 가장 일반적인 것 등등, 그 어떠한 명제이든간에 (…) 그러한 명제로부터 우리가 시작한다는 것, (…) 모든 명제에서 우리가 (‘세포’에서와 같이) 변증법의 모든 요소들의 맹아들을 드러낼 수 있(고 드러내야만 한)다는 것 (…).”17)  물론 레닌의 이 문장은 즉흥적으로 작성한 개인적인 메모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메모 외에도 이러한 주장이 여럿 존재한다. 동일한 시기에 레닌은 다음과 같이 썼다. 헤겔의 『대논리학』을 읽지 않았기 때문에 “마르크스 이후 반세기 동안 단 한 명의 마르크스주의자도 마르크스를 이해하지 못했다!”18)  너무 깊은 심연이 없다면 현기증 또한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19)  

그런데 이러한 변증법 ‘일반’이 엥겔스와 레닌 각각이 대표하는 상호 보완적인 두 가지 유혹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하고 있다는 점을 보기 위해서는 (‘사변’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자기 자신으로 온전히 존재하게 된, 다시 말해 ‘사변’보다 더욱 오래된 자신의 이론적 존재이유를 온전히 보존하게 된) 이 변증법 ‘일반’이 일반적이며 전능하다고 말하는 것만으로 충분할 것이다. 이 변증법 ‘일반’은 사람들이 흔히들 이렇게 말하듯 ‘물질/재료의 운동’과 ‘사고의 운동’의 ‘법칙들’을 언표하는 ‘과학’이거나 -하지만 나는 독자들이 ‘법칙’이나 ‘보편적인’과 같은 단어들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기를 원하는데, 이 단어들을 도대체 왜 사용하는 것인지? 이 단어들을 사용하는 것은 최악의 선택인데, 왜냐하면 이 변증법 ‘일반’의 ‘보편성’은 참[즉 진리]으로 인지하기를 원하는 것을 이 변증법 ‘일반’의 ‘법칙’이 지니는 권위를 통해 보증하기 위해 마음껏, 그러니까 자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사용된 이후에 은퇴자 요양소로 유유히 걸어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아니면 마르크스 자신이 이미 언급하고 있는 ‘방법’, 그리고 마르크스 이후에 엥겔스가 이 ‘방법’을 구해내기 위해 이를 헤겔적 ‘체계’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했다고 회고적으로 말하는 그러한 ‘방법’이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이 ‘과학’이 참이기 위해서, 이 ‘방법’이 무엇보다도 우선 과학의 확실한 길이기 위해서, 요컨대 자기 자신을 선행하는 과학이기 위해서, 우리는 변증법이 ‘과학적 방법’이라고 말해야만 한다.20)  

그런데 철학의 깊고 깊은 오래된 심연으로부터 등장하는 이러한 방법이라는 관념, 무엇보다도 자신의 작업을 개시할 수 있도록 자신이 취할 길을 사전에 이미 인식하기를 원하는 이들, 헤겔이 말했듯 수영을 배우기 위해 사전에 이미 수영하는 법을 알고자 하는 이들, 연구/탐구/분석을 개시하기도 전에 자신이 발견할 진리를 사전에 이미 보증받아 놓기를 원하는 이들의 질문에 아마도 응답해줄 이러한 방법이라는 관념, (데카르트에 반대해) 스피노자가 거부했던, (칸트에 반대해) 헤겔이 거부했던 이러한 방법이라는 관념은 모든 좋은/선량한/올바른(bonne) ‘인식론’이 제공하는 상상적이지만 인상적인 그러한 보증물에 조금은 너무 단단히 엮여 있어서 우리는 이를 두 번은 바라보지 않게 될 정도이다.



(계속)

각주

1) 옮긴이 주: 편집자 주의 경우 한국어 독자들에게 불필요한 프랑스어판 쪽수 등은 생략했다.

2) 편집자 주: 이는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의 저서이다. (국역본으로는, 역사유물론 연구, 에티엔 발리바르 지음, 배세진 옮김, 현실문화, 2019 참조 - 옮긴이)

3) 편집자 주: “(자기 자신 안에 이미 모든 해답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자본을 이해하는 것 만으로는 명백히 더 이상 충분하지 않으며, 자본에 그 물질/재료와 경제를 되돌려주기 위해 자본의 몇몇 명증성들에 관해 다시 질문해보아야만 하는 이 시기에”.

4) 옮긴이 주: 그래서 알튀세르는 자본을 읽자에서 증상적 독해개념을 벼려낸다.

5) 옮긴이 주: 여기에서 알튀세르는 마르크스를 위하여자본을 읽자라는 작업이 이론주의에 빠져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는데, 이는 이 텍스트를 집필한 시기에 그가 과거의 자신의 이론주의를 강력하게 자기비판했기 때문이다. 알튀세르의 철학적 유산, 윤종희, 박상현 외 지음, 공감, 2008에 실린 알튀세르의 철학적 궤도(박상현)를 참조하라.

6) 옮긴이 주: ‘이성/이유의 질서ordre des raisons을 옮긴 것인데, 프랑스어 ordre에는 질서순서라는 의미가 모두 들어있다. 사실 이 표현은 데카르트의 것으로 근거들의 질서로 번역하는 것이 관례이지만, 알튀세르가 데카르트의 표현을 가져오면서도 이를 자본의 설명/서술/제시와 관련 짓기 때문에 조금 다르게 옮겨 보았다. 하지만 자본의 설명/서술/제시와 관련해서는 순서로 통일해 옮긴다. 그리고 이미 위에서 지적했듯 방식mode를 옮긴 것이다.

7) 알튀세르 주: Cf. Marx-Engels, Werke , Berlin, Dietz, 23, p. 18 이하. 내가 직접 번역했다. 마르크스가 전체를 검토했던 조제프 루아(Joseph Roy) 판본의 자본은 부정확하고 빠진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루아 판본은 프랑스 공산당 소속 출판사인 에디시옹 소시알이 출간한 판본이다. ‘루아 판본이후, 확정적인 독일어 판본에 기반한 자본1권의 새로운 번역이 장-피에르 르페브르Jean-Pierre Lefebvre의 책임지도 하에 번역되었다. Le Capital , 1, Paris, PUF, “Quadrige” , 1993. 마르크스의 이 문장은 이 번역본의 p. 17에 등장한다. - 편집자)

8) 편집자 주: Introduction à la critique de l’économie politique (1857)

9) 편집자 주: 알튀세르는 마르크스가 이 후기에서 인용했던 어느 한 비판가를 암시하고 있다.

10) 편집자 주: ‘후기’.

11) 옮긴이 주: 여기에서 사고과정procès de pensée를 옮긴 것이고, 독일어 원어는 알튀세르가 병기한 것이다. 그래서 이 사고과정에는 강조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12) 알튀세르의 주: 마르크스를 위하여자본을 읽자에서.

13) 편집자 주: “사고과정(Denkprozess)에 관한 특정한 하나의 관념과 방법에 관한 특정한 하나의 관념은 그 자체로 자신들의 양태의 전도를 위한 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이 두 가지 관념은 마르크스가 선언하는 전도의 형태 그 자체를 지배한다. 왜냐하면 이 두 가지 관념은 건드릴 수 없는 선-전제들의 결정들(déterminations) 속에서 마르크스가 취한 입장(prise de position)개시하면서 동시에 훼손하기 때문이다.”

14) 편집자 주: “결국 마르크스 자신이, 그 모든 주저함에도 불구하고, 자본후기에 이 단어들을 써넣기 전에 이 단어들을 진지하게 취급하지 않았던가.”

15) 편집자 주: Science de la logique(Wissenschaft der Logik) , Berlin 1927.

16) 알튀세르의 주: Cahiers sur la dialectique , Paris, E.S., p. 280(“Sur la question de la dialectique”, in Lenine, Cahiers philosophiques , Paris/Moscou, E.S./Éditions du Progrès, 1973, pp. 344-345. - 편집자).

17) 편집자 주: “Sur la question de la dialectique”.

18) 편집자 주: “Résumé de la Science de la logique de Hegel”, in Cahiers philosophiques.

19) 옮긴이 주: 절벽 낭떠러지에서 아래를 바라보면 현기증을 느끼듯, 사람은 너무 깊은 심연을 보게 되면 현기증을 느낀다. 여기에서는 레닌의 깊고 깊은 무지 혹은 결여, 즉 심연 때문에 그가 이렇게 현기증을 느끼고 있다, 혹은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20) 편집자 주: 삭제된 단락은 다음과 같다. “사실 이것이 바로 마르크스가 자본의 독일어 2후기에서 언급하는 방법이다. 마르크스 자신의 용어를 그대로 가져오자면, 마르크스는 (너무 성공적이었던 이 사고과정Denkprozess이 역설적으로 생산해낸 놀라운 사변적 허상 때문에) “자본의 방법은 거의 이해되지 못했다라고 말한다.

 

 

 












댓글 로드 중…

최근에 게시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