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전쟁5 (또 다른) 전쟁 비용, 우리는 언제 기후변화와 싸울 수 있을까? 아래는 2022년 3월 31일 안드레아 마자리노(Andrea Mazzarino)가 라는 좌파 매체에 기고한 "The Costs of (Another) War, When We Could Be Fighting Climate Change" 칼럼을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옮긴 것이다. *원문링크: https://www.counterpunch.org/2022/03/31/the-costs-of-another-war-when-we-could-be-fighting-climate-change/ (또 다른) 전쟁 비용, 우리는 언제 기후변화와 싸울 수 있을까? 안드레아 마자리노 번역 ㅣ 박기형 미국의 6세 아동과 러시아의 85세 노인 사이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반대편에 있다는 것 외에 또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 2022. 7. 15. 펜타곤의 군수 하청업자들이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돈을 버는 방법 아래는 2022년 4월 18일 줄리아 글레드힐과 윌리엄 D. 하퉁이 라는 좌파 매체에 기고한 "How Pentagon Contractors Are Cashing in on the Ukraine Crisis" 칼럼을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원문 링크: https://www.counterpunch.org/2022/04/18/how-pentagon-contractors-are-cashing-in-on-the-ukraine-crisis/ 펜타곤의 군수 하청업자들이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돈을 버는 방법 줄리아 글레드힐 & 윌리엄 D. 하퉁 번역 ㅣ 박기형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우크라이나 사람들에게 엄청난 고통을 안겨주었고, 미국과 유럽 모두에서 군사비 지출 증가에 대한 요구를 .. 2022. 6. 18. 대량살상무기, 경제 제재 아래는 2022년 3월 17일 라구람 G. 라잔이 Project Syndicate라는 매체에 기고한 "Economic Weapons of Mass Destruction" 칼럼을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막기 위해 전세계의 국가들은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미국이 주도하여 취해진 경제 제재는 평화를 되찾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까? 그럴 때, 경제 제재가 국제질서와 각국의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고 얼마나 될지, 나아가 국가 간에 또 다른 갈등과 긴장을 불러오진 않을지 등을 면밀하게 살피면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모색할 수 있는 국제협력의 가능성은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 비록 짧은 글이고 세계화에 대한 .. 2022. 5. 9. [인터뷰] 우크라이나의 진정한 평화는 오직 러시아의 변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진정한 평화는 오직 러시아의 변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 협상은 전투를 멈출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얼마나 오랫동안 가능할 것인가? 번역 한상원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번역자: 이 글은 4월 8일 자로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의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이슈 모음 페이지에 수록된 우크라이나에서 좌파 지식인 옥사나 두차크의 인터뷰를 번역한 것이다. 전쟁터에서 탈출한 뒤 이뤄진 인터뷰에서 그녀는 단호한 목소리로 무기지원과 경제제재를 요구했다. 물론 이 글을 번역함으로써 나는 그녀의 주장이 전적으로 옳다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러시아 내부의 반전운동에 대한 그녀의 회의적인 전망 역시 지나치게 비관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다만 오늘의 우리는 심지어 좌파조차도 무기지원과 제재를 요구할.. 2022. 4. 12. 에티엔 발리바르: “난민들과 함께 우크라이나는 이미 사실상 유럽으로 들어왔다.” [아래는3월21일자로 공개된,에티엔 발리바르가 프랑스의 철학 잡지과 진행한 인터뷰를 옮긴 것이다. 한상원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불어 텍스트를 영어,독어와 교차하여 초벌 번역을 하였고,오랫동안 발리바르 연구를 해온 장진범 선생님이 몇몇 결정적 오역을 바로잡고 새로운 번역어 제안을 해주었다.그럼에도 남아 있는 오역이 있다면,이는 불어실력이 일천한 초벌번역자의 책임임을 감안해주기를 독자들에게 부탁드린다.] 원문 링크: https://www.philomag.com/articles/etienne-balibar-avec-ses-refugies-lukraine-est-deja-entree-en-europe-dans-les-faits 독어판 링크: https://www.philomag.de/artikel/der-e.. 2022. 3.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