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25 옛날 옛적에...가자에서는 - 『팔레스타인 시선집』을 읽고 옛날 옛적에...가자에서는- 『팔레스타인 시선집』(2025, 접촉면)을 읽고 박기형 (회원,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선전위원장) 내가 죽어야 한다면 너는 살아서 내 이야기를 전해 (...) 내가 죽어야 한다면 희망을 낳기를 이야기로 남기를- 리파트 알아리르(Refaat Alareer), “내가 죽어야 한다면” (번역 류송)2023년 10월 7일 이후, 2년 여가 흘렀다. 역사는 이 기간을 어떻게 기록할까? 아니, 우리는 어떻게 기억할까? 1945년 1월 27일. 폴란드에 위치한 아우슈비츠 수용소가 소련군에 의해 해방된 날이다. 1945년 8월 6일. 미군이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오카 마리는 『기억·서사』(김병구 옮김, 고유서가, 2024) 서문에서 아우슈비츠와 히로시마처럼 지명(地名)이 ‘홀로코.. 2025. 10. 15. 데모스를 해체하기(Undoing the Demos), 2장 데모스(The Demos)를 해체하기:신자유주의의 은밀한 혁명 Undoing the Demos: Neoliberalism’s Stealth Revolution (2015) 웬디 브라운(Wendy Brown)번역: 임인호 2장 푸코의 강의록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신자유주의적 통치 합리성을 분석하기 우리는 오늘날 재구성되는 새로운 세계, 즉 시장, 제도, 그리고 일상적 삶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민주적인 시민의 신자유주의화를 어떻게 분석하고 이해해야 할까? 이전의 자본주의 양식과 지속되면서도 불화하는 모든 종류의 주체, 시민, 가족, 국가, 사회 규범 그리고 제도에는 정확히 무슨 일이 벌어졌는가? 우리는 이 모든 것들의 황혼(dusk)보다는 여명(dawn)에서 이것들을 어떻게 파악해야 할 것인가? 학자들은.. 2025. 10. 13. 질 들뢰즈, 야세르 아라파트의 위대함 (GRANDEUR DE YASSER ARAFAT, 1984) 야세르 아라파트의 위대함[1] 질 들뢰즈 Gilles Deleuze번역: 갈피 * 들어가기 전에이 글은 1975년부터 1995년까지 책으로 정식 출간되지는 않은 들뢰즈의 텍스트들을 모은 선집 중 두 번째[2]인 《광기의 두 체제(DEUX RÉGIMES DE FOUS)》에 서른네 번째로 수록된 기고문 〈야세르 아라파트의 위대함(GRANDEUR DE YASSER ARAFAT)〉으로, 들뢰즈가 1984년 《팔레스타인 연구(Revue d'Etudes Palestiniennes)》지에 기고한 것이다.야세르 아라파트는 1929년 출생하여 2004년 사망한 팔레스타인 해방운동가로,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초대 수반(1996~2004)이었으며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Palestine Liberation Orga.. 2025. 10. 7. 불 피우기, 그리고 살아남기 위한 매일의 다른 의식들 불 피우기, 그리고 살아남기 위한 매일의 다른 의식들Making Fire and Other Daily Rituals of Survival 하산 아보 카마르 Hassan Abo Qamar 번역: 서제인 *원문 출처: https://wearenotnumbers.org/making-fire-and-other-daily-rituals-of-survival Making fire, and other daily rituals of survival - We Are Not NumbersI choke from the smoke, my eyes sting to the point of tears, my hands are blackened and cracked: all for a hot drink or a plate o.. 2025. 10. 3. 강사 인터뷰: 포스트-마르크스주의에서 좌파 포퓰리즘까지 강사 인터뷰: 포스트-마르크스주의에서 좌파 포퓰리즘까지 이 글은 서교인문사회연구실 2025년 가을강좌 “포스트-마르크스주의에서 좌파 포퓰리즘까지: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반본질주의 정치사상”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강사의 자전적 인터뷰입니다. 강좌 신청은 신청 링크(https://forms.gle/1eshfN6tNsu3UtmG8)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글쓴이: 현우식(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올해 8월에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습니다. 라는 주제로 학위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제주에서 살고 있으며, 서교인문사회연구실과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졸업하고 처음으로 서교연에서 강좌를 맡게 되었습니다. Q. 강좌에 대해 간.. 2025. 10. 2. 미혹을 버린 영화, 원본을 버린 클립 미혹을 버린 영화, 원본을 버린 클립 필자: 수차미 “최근 OTT 플랫폼은 구독자 견인을 위해 충성도 높은 K팝 팬덤을 겨냥한 다큐멘터리를 계속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정작 그들의 소비층은 ‘컷따개’를 거쳐 해체된 아카이브와 인터뷰 단위로 작품을 접하고 원본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다.”(임수연) 임수연 저널리스트가 다큐매거진 ‘DOCKING’에 쓴 글을 읽었다. 동시에 최근 관람한 넷플릭스의 영화 가 떠올랐다. 은 소니픽처스에서 케이팝 아이돌을 소재로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다. 특히 팬들 사이에서는 작품 속에 있는 ‘한국적’인 요소를 찾아내는 게 하나의 재미가 됐다. 겉보기에는 영화팬과 아이돌 팬이 구분되지 않는 듯하다. 가령 아이돌팬은 아이돌이 등장하는 영상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자신이 생각.. 2025. 9. 21. 이전 1 2 3 4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