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Translation/영화이론 읽기12 서론 : 물신주의들 서론 : 물신주의들 로라 멀비박상빈 옮김 이 글은 로라 멀비의 주저 『물신과 호기심(Fetishism and Curiocity)』(London : Indiana University Press, 1996)의 서론으로 수록된 글이며, 1993년 학술지 『October』 65호에 「동시대 문화 콘텍스트에서 물신 이론에 관한 소고(Some Thoughts on the Theory of Fetishis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Culture)」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바 있다. 이 글은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진행된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시즌3의 수업을 위해 번역된 것임을 밝힌다. 1960년대 좌파의 위기를 수습하려 했을 때, 페미니즘 정치학은 ‘마르크스.. 2019. 12. 23. Losing Face 얼굴 잃어버리기 (2/2) 얼굴 잃어버리기 (2/2) Losing Face 그레고리 플랙스만 & 엘레나 옥스만 번역: 정경담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이론 세미나팀 3. Framing the face 얼굴 구성하기 ‘얼굴’은 무엇 때문에 특별한 중요성을 갖게 되었는가? 얼굴은 ‘타자’ 개념의 구성요소로서 기능하지만, 우리는 그 자체로 하나의 개념이자 문제로서 의존해야만 한다. 타자의 공포에 질린 얼굴을 다시 생각해 보자. 그 공포의 근원이 보이지 않고 있다 할지라도, ‘얼굴’은 공포를 표현하고, 나아가 원인에 대한 의혹을 생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포를 생산한다. 우리는 표현의 실제 이미지와 장 바깥에 남아있는 가능세계(외화면hors champs)와 동시적으로 마주하고 있다. 하지만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장하는 것처럼, 가능한 것은 감.. 2019. 2. 18. Losing Face 얼굴 잃어버리기 (1/2) *이 글은 Deleuze and The Schizoanalysis of Cinema(2008)의 4장을 번역한 것이다. 괄호 안에 페이지 인용은 들뢰즈·가타리 저작의 영역본을 기준으로 표기되었다. 얼굴 잃어버리기 (1/2) Losing Face 너의 얼굴을 잃어라. 기억 없이, 환영 없이, 해석 없이, 검토 없이 사랑할 수 있게 되어라. 그냥 흐름들로 두어라. 이따금 마르거나, 얼어붙거나, 넘쳐 흐르는, 이따금 한데 모이거나 갈라지는 그런 흐름들로. 그레고리 플랙스만 & 엘레나 옥스만 Gregory Flaxman & Elena Oxman 번역: 정경담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이론 세미나팀 1. About face 얼굴에 대하여 그의 저작, 그리고 펠릭스 가타리와의 공저에서 질 들뢰즈는 ‘얼굴’을 가장 핵심.. 2019. 1. 14. 소수적 프랑스성의 영화들(2/2) *이 글은 Deleuze and The Schizoanalysis of Cinema(2008)의 7장을 번역한 것이다. 괄호 안에 페이지 인용은 들뢰즈·가타리 저작의 영역본을 기준으로 표기되었다. 소수적 프랑스성의 영화들(2/2) Cinemas of Minor Frenchness 빌 마샬 Bill Marshall 번역: 신광호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이론 세미나팀 *전반부 읽기 퀘벡 영화는 아버지-아들 서사가 아주 많다(앞서 언급한 것들 중 둘을 꼽자면, 과 ). 영향력 있는 연구인 하인츠 바인만Heinz Weinmann의 『상상적 퀘백의 영화Cinéma de l’imaginaire québécois』는 프로이트적 가족 로맨스의 관점에서 민족의 알레고리로서 퀘백 영화들에 대해 논쟁적이지만 강하게 오이디푸스.. 2018. 10. 16. 소수적 프랑스성의 영화들(1/2) *이 글은 Deleuze and The Schizoanalysis of Cinema(2008)의 7장을 번역한 것이다. 괄호 안에 페이지 인용은 들뢰즈·가타리 저작의 영역본을 기준으로 표기되었다. 소수적 프랑스성의 영화들(1/2) Cinemas of Minor Frenchness 빌 마샬 Bill Marshall 번역: 신광호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이론 세미나팀 21세기의 처음 몇 해 동안 퀘백의 영화는 얼마간 승승장구해 오고 있었다. 자국 박스오피스를 백분율로 두 자릿수에 달할 정도로 점유했고, 몇몇 돌파구가 되는 영화들은 국제적 아트하우스 순회에서 성공을 맛보았다. 드니 아르캉Denys Arcand의 작품으로 2004년 오스카에서 베스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한 (2003), 장-프랑소아 폴리오 Jea.. 2018. 10. 16. 유예된 제스처: 영화에서의 분열분석, 어펙트 그리고 얼굴(2/2) 유예된 제스처: 영화에서의 분열분석, 어펙트 그리고 얼굴(2/2) Suspended Gestures: Schizoanalysis, Affect and the Face in Cinema 에이미 헤어조그 번역: 김동준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이론 세미나팀 전반부 보기 의미화 과정과 주체화 과정 비록 안면적 조우가 실제로 어떤 잠재적 개방성일지라도, 이러한 사실이 반드시 들뢰즈가 시간-이미지와 연관시킨 모종의 탈안정화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들뢰즈, 가타리의 협업의 맥락으로 『시네마 I, II』에서의 얼굴에 대한 논의를 읽어내야만 한다. 『천개의 고원』에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얼굴을 의미화과정과 주체화과정의 쌍방결정 프로세스에서 핵심적인 것이라 논한다. 여기서 얼굴은 힘의 체계들을 중심화하고, 분류하며.. 2018. 9.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