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알튀세르 읽기15

마르크스주의는 역사주의가 아니다 5장. 마르크스주의는 역사주의가 아니다『"자본"을 읽자』, 2부 「“자본”의 대상(L’Objet du “Capital”)」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 지음배세진 옮김(정치철학 박사)   하지만 바로 이 지점에서 우리는 동일한 종류의 것이면서도 아마 훨씬 더 심각한 것일 그러한 마지막 오해와 대면하게 된다. 이 오해는 『자본』에 대한 독해를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자본』과 마르크스주의 철학 사이에 존재하는, 그러니까 역사유물론과 변증법적 유물론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대상으로 하는, 다시 말해 하나의 전체로 간주된 마르크스의 저작[즉 작업]의 의미를 대상으로 하는, 결국에는 현실역사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2024. 9. 3.
호명된 주체: 알튀세르와 버틀러를 넘어서 호명된 주체: 알튀세르와 버틀러를 넘어서 Le Sujet interpellé : Au-delà d’Althusser et de Butler 자크 비데(Jacques Bidet) 지음배세진 옮김 [옮긴이의 말: 이 번역은 루이 알튀세르의 ‘간접적’ 제자인 자크 비데가 자신의 스승 알튀세르와 맺는 철학적 관계를 잘 보여주는 그의 논문 é : Au-delà d’Althusser et de Butler>(>, 2017/1, n. 61)을 완역한 것이다. 옮긴이가 일전에 > 2018년 겨울호(통권 96호)에 번역해 소개한 기욤 르 블랑(Guillaume Le Blanc)의 논문 를 이 논문과 교차해 읽으면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는데, 그래서 이 .. 2020. 8. 20.
“레닌과 철학” 입문 [편집자의 말] 이 글은 2001년 개정 출간된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벤 브루스터 역, 먼슬리 리뷰 출판사)에 덧붙여진 프레드릭 제임슨의 발문이다. 이 책은 1971년에 이미 같은 역자, 같은 출판사에 의해 영어권 독자들에게 소개된 바 있으나, 제임슨의 이 발문은 그간의 알튀세르에 대한 이해를 갱신하게 만든다. 이 책에 수록된 알튀세르의 글 중 「레닌과 철학」은 진태원의 번역으로 『레닌과 미래의 혁명』(그린비, 2008)에서,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들(연구를 위한 노트)」는 『아미앵에서의 주장』(김동수 역, 솔, 1991) 및 『재생산에 대하여』(김웅권 역, 동문선, 2007)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은 윤소영이 편역한 『알튀세르와 라캉』(공감.. 2019. 8. 30.
제국주의에 관하여 이 글은 G.M. 고슈가리언이 편집한 루이 알튀세르의 유고집 『역사에 관하여(Écrits sur l’histoire (1963-1986))』(2018)에 수록된 미완성 유고 "제국주의에 관하여"의 일부분이다. 『역사에 관하여』는 이찬선과 배세진의 번역으로 오월의봄 출판사에서 조만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제국주의에 관하여 (일부 발췌) (1973) Livre sur l’impérialisme (extraits) (1973)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 지음, G.M. 고슈가리언(Goshgarian) 편집과 주석 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정치철학) “역사주의, 그것은 역사(학)의 꽁무니를 쫓아다니는[à la traîne de l’histoire, 즉 역사가 이미 쓰여진/일어난 이후에.. 2019. 7. 11.
역사와 정치경제학 사이의 해소되지 않은 긴장: 알튀세르와 마르크스적 인식론을 위하여 편집자의 말 : 이 글은 2018년 11월 23일-24일 양일간 열렸던 의 특별자료집에 「맑스의 인식 이론에 대한 알튀세르의 분석에서 역사와 정치경제학 사이의 해소되지 않은 긴장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실렸던 글이다. 인-무브에 게재를 허락해 준 배세진 선생과 특별자료집 편집 과정에서 교정교열을 맡아주신 이재원 선생에게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을 전한다. 역사와 정치경제학 사이의 해소되지 않은 긴장: 알튀세르와 마르크스적 인식론을 위하여 제라르 뒤메닐배세진 옮김 나는 이 콜로퀴엄에 참여해달라는 주최측의 요구를, 내가 1969년에서 1971년 사이에 집필했으며 1978년에 ‘이론’ 총서 중 한 권으로 총서의 책임자였던 루이 알튀세르에 의해 출간된 『《자본》의 경제법칙 개념』(이하 『개념』)이 발생시킨 복합적.. 2019. 4. 5.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위기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위기 * 본 번역 텍스트는 '생각의힘' 출판사를 통해 곧 출간될 루이 알튀세르의 유고집 『검은 소』(배세진 역) 제4장이다. 게재를 허락해준 출판사에 감사드린다. Q> 방금 당신이 정세에 관해 언급했으므로, 엥겔스가 ‘이론에서의 계급투쟁’이라 불렀던 것, 즉 이론적 정세 또한 우리의 논의에 개입시켜야 하는 것 아닐까요? A> 물론이죠. 그리고 우리의 논의를 더 진전시키기 전에, 어떠한 이론적 맥락에서 우리의 질문이 제기되는 것인지를 언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질문은 다음과 같이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현재 상황이 처해 있는 이론적 맥락, 간단히 말해 프롤레타리아 독재라는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포기 자체가 과학적 개념의 중요성이라는 질문을 제기한다는 이론적 맥락에서 굉장히 역설.. 2018.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