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라클라우 읽기8

강사 인터뷰: 포스트-마르크스주의에서 좌파 포퓰리즘까지 강사 인터뷰: 포스트-마르크스주의에서 좌파 포퓰리즘까지 이 글은 서교인문사회연구실 2025년 가을강좌 “포스트-마르크스주의에서 좌파 포퓰리즘까지: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반본질주의 정치사상”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강사의 자전적 인터뷰입니다. 강좌 신청은 신청 링크(https://forms.gle/1eshfN6tNsu3UtmG8)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글쓴이: 현우식(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올해 8월에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졸업했습니다. 라는 주제로 학위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제주에서 살고 있으며, 서교인문사회연구실과 신촌문화정치연구그룹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졸업하고 처음으로 서교연에서 강좌를 맡게 되었습니다. Q. 강좌에 대해 간.. 2025. 10. 2.
『Discourse』 서문: 담론 개념을 정의하기 서문: 담론 개념을 정의하기 Introduction: Defining the Concept of DiscourseDavid Howarth의 『Discourse』(Open University Press, 2000)의 서문을 번역한 글입니다. 이 책은 라클라우와 무페의 담론이론을 중심으로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데리다, 푸코, 서구 마르크스주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에 이르는 포스트-구조주의 담론이론의 궤적과 핵심적인 내용을 압축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서문」을 시작으로 앞으로 책의 각 장을 번역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번역: 현우식(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담론 개념은 동시대 사회과학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언어학과 기호학과 같은 분과학문에서 유래한 담론분석은 인문사회과학의 많은 분야.. 2025. 9. 17.
비어있는 기표가 정치학에서 왜 중요한가 이 글은 (Verso, 1996) 3장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비어있는 기표가 정치학에서 왜 중요한가Why Do Empty Signifers Matter to Politics? 김내훈(연세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비어있는 기표(empty signifer)란 엄격히 말하자면 기의 없는 기표(signifer without signifed)다. 그러나 이 정의는 그 자체로 하나의 문제를 제기한다. 기표가 어떤 기의에도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어떻게 의미작용 체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말인가? 비어있는 기표가 다만 일련의 소리로서, 아무런 의미작용의 기능을 하지 않는다면 ‘기표’라는 용어부터가 과잉일 것이다. 소리의 흐름이 특정 기의와 단절된 채 여전히 기표가 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은, 비.. 2025. 6. 10.
포퓰리즘: 그 이름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포퓰리즘: 그 이름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에르네스토 라클라우번역: 현우식(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Populism and the Mirror of Democracy』(Verso, 2005)에 수록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논문 「Populism: What’s in a Name?」을 번역한 글입니다.   모든 정의는 정의되는 대상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적 격자(grid)를 전제로 한다. 정의(definition)라는 개념의 뜻이 그러하듯이 대상의 의미는 정의된 용어와 그러한 정의가 배제하는 다른 것들 사이의 차이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 이는 다시 이러한 차이들을 사고할 수 있게 하는 지형(terrain)을 전제로 한다. 우리가 어떤 운동, 이데올로기, 정치적 실천을 ‘포퓰리즘적’이라고 말할 .. 2024. 10. 11.
담론 이론 vs 비판적 실재론 담론 이론 vs 비판적 실재론 대담: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x 로이 바스카 번역: 현우식(제주대학교 사회학과 박사수료)  1998년 3월 에섹스(Essex) 대학에서 열린 토론회의 편집본을 번역한 글입니다. 이 편집본은 「Journal of Critical Realism」Volume 2, Isssue 2(1998)에 수록되었습니다. 토론자인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rnesto Laclau)와 로이 바스카(Roy Bhaskar)에게는 각 30분의 발언시간과 10분의 토론시간이 주어졌습니다. 토론 후 이어진 긴 대화는 생략했습니다.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담론 이론(discourse theory)과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 사이의 이론적 접근이 어떻게 다른가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은 어려운.. 2024. 3. 26.
라클라우와의 인터뷰(2/2) 라클라우와의 인터뷰(2/2)  (계속)  인터뷰어: 데이비드 하워드(DH)인터뷰이: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L)번역: 현우식  DH: 당신의 작업에서는 포퓰리즘이라는 주제가 반복됩니다. 추측컨대 여기에는 라틴아메리카 정치에 대한 오랜 경험과 참여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당신의 작업에서 포퓰리즘이라는 주제는 존재적(ontic) 차원보다는 훨씬 더 존재론(ontological) 차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포퓰리즘 이성에 대하여』에서 당신은 모든 정치 이론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중요한 특징으로서 포퓰리즘 이론을 설명합니다. 이 설명은 몇 가지 비판을 불러일으켰지만, 제 생각에는 대부분의 비판은 당신의 개입이 갖는 존재론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실패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묻고 싶은 질.. 2024.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