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인-무브

독일 신우익의 이면에서


-베르너 뮐러

번역 : 고태경 |  문화평론가

지난해 4월에 발표된 글이다. 신생 극우정당독일의 대안 페기다 운동의 성장 맥락에 주목한 글로, 글의 발표 일부 선거들에서 선전한독일의 대안 당지도부와 일부 반유대주의 극우파 간의 당내 갈등이 지속되는 한편, 오는 9 24일에 열릴 총선에서는 원내진출이 유력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원문의 출처는 Jan-Werner Müller, “Behind the New German Right”,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April 4, 2016, 링크. 대괄호 안의 삽입구는 옮긴이가 추가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옮긴이 주를 달았다.

전후사에서 독일은 우익 포퓰리즘의 유혹에 저항하는 성공해 왔다. 그러나 이상은 그렇지 않다. 불법적으로 국경을 넘는 이들을 총살할 필요가 있다고, 이슬람사원을 금지해아 한다고 주장한독일의 대안’[Alternative für Deutschland, 이하대안당’] 독일 주의 선거에서 자리수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하나인 작센안할트 주에서 대안당은 거의 1/4 득표율을 기록했다. 일부 관찰자들에게 있어서 대안당은 독일의 진전된정상화 증거일 뿐이다. [이들에 따르면] 프랑스를 비롯한 다른 주요국들은 유럽통합에 반대하고, 인민을 대표하는 실패한 기성 정치질서를 비난하는 정당들을 오래전부터 보유하고 있었다. 독일이라고 예외이겠는가?

이러한 자족감은 적어도 가지 이유에서 정당화될 없다. 대안당은 급진적 거리운동인서구의 이슬람화에 반대하는 애국적 유럽인들’, 페기다(Pegida)로부터 자라났고, 동시에 운동을 조장해 왔다. 이러한 운동은 유럽의 어느 곳에서도 발견할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해 보이는 것은, 메르켈 총리의 100 난민에 대한 환대가 독일문화의 점진적 박멸 귀결되리라는 대안당의 경고가 수많은 유명 지식인들에 의해 반향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이다. 사실상, 대안당의 이데올로그가아방가르드적 보수주의라고 명명한 이것의 개념적 근거는 여러 주류 독일 작가들과 철학자들의 최근 작업에서 발견될 있다. 나치 시대의 종언 이후 어떤 우익 정당도 이토록 폭넓은 문화적 지지를 누린 적이 없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대안당은 2013년에 존경받는, 전혀 카리스마적이지 않은 경제학 교수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독일의 대안이라는 이름은 앙겔라 메르켈의 주장, 유로위기에 대한 메르켈 자신의 정책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주장에 대항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교수진들은 유로화에 반대했는데, 이는 그들의 눈에 유로화가 독일 납세자에게 과다한 재정적 채무를 부과하고 유럽 국가들 간에는 불화를 야기한다고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유럽 다른 우익 포퓰리스트들이 하는 것과 같은 방식의 유럽연합 자체의 해산을 요구하지는 않았다. 여전히 독일 주류 정당들은 그들에게()유럽적이라는 오명을 씌웠고, 이는 수많은 유권자들에게 독일 정치기득권층이 특정 정책의 선택에 대한 논의를 금기시한다는 인상을 부여했다. 여타의 신규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대안당은 모든 정치적 모험가들을 매혹했다. 그러나 당은 또한 메르켈의 정책들이 기독교민주연합을 과도하게 좌익화한다고 생각한 보수주의자들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기도 했다 ­ 메르켈은 핵에너지와 군대징집을 끝내고, 동성결혼을 승인하며, 최저임금을 올리고자 한다. 이러한 메르켈의 결정들 다수에 반대하는 주류 보수주의적 관점이 존재하기에, 대안당은 비민주적이라거나 나치의 과거를 연상케 한다는 의혹에서 벗어나 이제 기독교민주연합의 우파적 공간을 점유할 있게 되었다.

대안당은 2013년에 독일의회에 들어서는 아슬하게 실패했지만, 2014 유럽의회선거를 통해 7명의 의원을 브뤼셀로 보냈다. 그리고 그곳에서 영국 보수파들에 의해 주도되는 유럽회의주의 정당들과의 동맹에 결합한다. 외적인 성공과 함께 내적인 갈등이 시작되었다. 청년 우익들은 정통 보수파의 기독교민주연합보다는 내셔널리즘적 극우 성향에 근접한애국주의 강령등의 발의를 통해 대안당 교수진들에 도전했다. 2015 여름, 대안당 설립자들 대다수가 당을 떠났다. 어떤 이는괴물’[청년 우익들] 만들어 것에 대한 회한을 표했다. 대안당은 여타의 수많은 저항정당의 길을 따라갈 것으로 보였다. 당의 내분과 전문성의 결여, 그리고 ­ 일시적인 성공을 넘어서기 위해 참여해야 ­ 일상의 의회정치에 필요한 인재 육성의 실패로 좌절할 것처럼 보였던 것이다.

그런데 앙겔라 메르켈에 의해 당이 보호되었다. 혹은 훨씬 급진적인 성향을 갖는 당의 새로운 리더들은 지난 여름 발효된 메르켈의 논쟁적인 난민정책 이후 그렇게 되었다고 말했다. 당시 메르켈의 결정은 폭넓은 지지를 받았지만, 개월 그녀의 지지층은 급격하게 쇠락했다. 반대로 대안당의 지지층은 폭증했다. 많은 이들이 독일 국가가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잃을까 두려워했고, 위기에 대한 진정한 범유럽적 협상에 실패한 메르켈을 비난했다. 알렉산더 가울란트(Alexander Gauland) 기독교민주연합의 이전 고위급 정치인이자 현재 가장 인정받는 대안당의 리더 명으로서 ­ 그는 전통적인 영국 보수당의 외양을 따라하며 트위드 자켓을 입고 에드문드 버크를 자주 인용했다 ­ 난민 위기를 대안당에게 부여된선물이라고 명명했다.

다른 이들은 나아갔다. 니더작센 주의 백작부인(countess) 베아트릭스 스트로흐의 말을 참고해 보자. 그녀는 유럽의회의 대안당 의원 명으로, 유럽의회에서 영국독립당과 스웨덴 극우파 민주당이 포함된 집단에 결합했다. 자유시장의 이념과 기독교 근본주의 모두의 옹호자로서 그녀는 국경경비대가 불법으로 국경을 넘는 난민들에게 여성과 아동들을 포함해 모두 화기를 사용할 있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상당한 비판이 쏟아진 그녀는 아이들은 면제되어야 한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여성은 예외가 아니었다.

이러한 발언은 새로운 유입인구들이 독일 문화에 심대한 위협을 거라고 유권자들 사이에서 널리 확신된 공포 ­ 라고 대안당이 간주하는 ­ 활용하고자 것이었다. 대안당은 4 말의 컨퍼런스 이후 완성된 정치강령을 제시할 것이다. 하지만, 당이 독일의 이슬람화라고 간주한 것을 방어하는 것에 커다란 강조점이 주어질 것이라는 암시가 이미 존재한다. 강령의 초안은우리는 독일인이며 독일인으로 남길 원한다 같은 문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부한 문구의 진정한 의미는 미너렛(minaret, 이슬람사원의 첨탑) 건축을 금지하자는 요구를 통해 구체화된다. 대안당과, 그보다 거친 ()이슬람적 페기다 운동의 방향이 가장 명료하게 오버랩되는 것은 바로 지점이다.

페기다는 2014 가을 우익 활동가들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이들은 시민들로 하여금 드레스덴을 비롯한 일부 도시들을 경유하며이슬람화 반대하는 이른바저녁 산책 참여토록 유도했다. 운동의 지도자들은 또한 러시아와의 관계향상을 주장했던바(벽보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푸틴이여 우리를 도와주시오!”), 그것은 가울란트와 같은 대안당 정치가들에 의해 강력한 반향을 얻게 된다. 시위자들은 1989 동유럽 시민들이 국가사회주의체제에 맞서 외친 유명한 슬로건우리가 인민이다 전유했다. 페기다는 확산된 공포를 기반으로 자라났을 아니라(드레스덴에는 거의 어떤 무슬림도 없다), 민주주의 체계 자체를 문제시하기도 했다. 의회에 선출된 인민의 대표들(Volksvertreter) 인민의 배신자(Volksverräter) 규탄당했다. 페기다 구성원들은 메르켈의 국경개방 정책을 독일 인민의 안전을 수호하겠다는 취임선서를 위반한 것이라고 매도했다.

운동의 지지자들은 난민센터에 대한 접근 차단 등을 통한저항, 혹은 최소한시민불복종 요구했다. 시위자들은 때때로 슈타우펜베르크(Claus von Stauffenberg) 등의 ()히틀러 저항자들이 나치 이후의 독일을 상징하는 것으로 고안한비르머 깃발 치켜들었다.1) 사실상 독일 많은 극우집단들은 ( 깃발의 고안자인 조제프 비르머가 나치에 의해 처형된 가톨릭 민주주의자였으며, 그의 아들에 따를 비르머 가족들이 상징물의 사용 문제로 페기다 시위자에게 소송을 걸었음에도) 자신들이 현행 국가를 불법국가로 간주한다는 의미에서 상징물을 든다는 것을 시인했다. 페기다 사건은 네덜란드의 저명한 우익 반이슬람 정치가 기에르트 빌더스를 비롯한 독일 외부의 우익 지도자들의 주목을 끌었다(빌더스는 헤이그의 네덜란드 의회를가짜 의회 규정한다).

지점에서 독일 지식인들이 서사 속으로 들어온다. 저널리스트들과 학계는 페기다 운동이 출현했는지, 그리고 독일인들 다수를 사로잡았는지를 이해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유럽의 다른 나라들에 페기다 운동의 여러 지류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운동들은 여전히 주변적인 지지를 확보하는 그치고 있다. 현상이분노원한 의해 추동된다고 보는 이들은 기껏해야 묘사적인 해석에 머물 뿐이다. 오히려 주목할 만한 것은격노’(rage) 하나의 정치적 태도로써 대안당의 지도적 지식인인 마르크 용엔(Marc Jongen) 철학적 찬양을 받았다는 점이다. 저명한 철학자 슬로터다이크의 조교이기도 했던 그는 독일의문화적 자멸 위험을 경고할 아니라, 냉전과 미국의 안보 우산에 의해 독일인들이 군사적치안적전사적(warrior) 덕목의 중요성을 망각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에로스와 로고스, 사랑과 이성에 대립되는 의미에서 ‘thymos’라고 부른 것을 망각했다고 주장했다(thymos 기개, 자신감, 정당한 분노, 자기 자신의 것에 대한 인식, 혹은 격노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된다).2) 용엔은 최근의 독일에 thymos 온전히 공급되지 못했다고 말한다. 일본인들만이 유일하게 thymos 부족을 경험했던바, 그것은 그들 또한 전후의 평화주의를 보냈기 때문일 것이다. 용엔에 따르면, 일본이 그러한 결핍을 감내할 있는 것은 일본의 거주자들이 이민자들의위력적인 본능 직면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노한 시위자들은 독일사회에 thymos 점화함으로써 더럽게 좋은 일을 행하는 셈이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대안당 부위원장인 용엔은 사실상 지난 이전까지는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그러나 슬로터다이크는 그렇지 않다. 독일의 가장 저명한 (그리고 가장 다작의) 철학자 명인 슬로터다이크의 저술은 미국에서 역시 매우 알려져 있다. 그는 유전공학 등의 논쟁적 주제를 정례적으로 다루며, 유머와 재치를 결여한다고 간주된 좌파 지식인들을 자극하는 즐거움을 느껴왔다. 그의 책은 너무나 팔리며, 명료한 논지보다는 암시적으로 최근사 혹은 서구사 전체에 대한 철학적, ­ 그리고 종종 ­ 시적 재기술(再記述) 제공한다. 그에게 지속적인 영감을 니체의 『도덕의 계보』에서처럼, 이러한 재기술은 독자들을 현재에 대한 관습적 해석으로부터 이탈시킨다고 간주된다. 그러나 그의 저술은 철학자에 대한 니체의 이미지에는 거의 부응하지 않는다. 니체의 철학자 이미지는문화의 의사’[Arzt der Cultur] 이미지로서 환자에게 궁극적으로는 불쾌하거나 철저히 충격적인 진단을 내리는 존재다. 슬로터다이크는 종종 독일 주류로 돌아가 그것이 이미 사고하고 있는 , 그것이 단순히 반향하고 있는 것을, 순진한 은유와 유비, 유치한 시대착오성과 그의 틀에 박힌 문체 특유의 신조어군들을 통해 보다 심오하게 읽어낼 뿐이다.

슬로터다이크는 용엔의 자칭아방가르드적 보수주의와는 거리를 둔다. 그러나 용엔이 사용하는심리-정치학적관점은 슬로터다이크의 철학적 표제 하나다. 2006 『격노와 시간』에서 니체로부터 실마리를 찾아간 슬로터다이크는, 서구 소비 자본주의에서 에로스의 지배로 인해 thymos 완전히 망각되었다고 주장했다. 결과로 시민들의 내면은 질투와 원한이 지배했다는 것이다. 그는 평화로운 자유민주주의가 일반적으로격정적 활력’(thymotic energies) 고유장소를 찾지 못한다는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언』에서의 주장에 공명한다. 그리고 그는 노골적으로 이슬람에 적대하면서 서구가 thymos 역할을 재발견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유럽연합을-격정적’(post-thymotic)이라 비판한 용엔과 마찬가지로, 슬로터다이크는 유럽이 세계무대에 더욱 강력히 자기주장을 것을 갈망하며, 난민위기가 유럽대륙을 약화시킬 것을 두려워한다. 그는 난민위기를 미국의 기쁨이라고도 말한다(2016 초에 공표된 인터뷰에서 슬로터다이크가 말에 따르면, “이것이 오바마가 메르켈을 칭찬한 이유다”).

슬로터다이크는 또한 20세기의 우익 법학자 슈미트가 발전시킨예외상태 개념을 끌어들였다. 슈미트가 말하듯, 위기상황에서 정치체의 보호를 위해 주권자는 예외상태의 선언을 통해 헌법을 중단시킬 있다. 슈미트는 다음과 같이 부연한다. 국가에 대한 실존적 위협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자가 최고권력으로 현현한다고. 오늘날 슬로터다이크는 예외상태를 결정하는 이가 명목상의 주권자인 국가가 아니라 난민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시리아인에 대한 메르켈의 무제한 개방정책의 결과로, 독일이 자신의 주권을 잃었으며, 포기밤낮 없이 지속될것이라고 규탄한다.

의심의 여지없이 난민들 자체는 비상사태에 직면했으며, 의심의 여지없이 그들의 출현은 독일에 예외적인 도전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슬로터다이크의 관찰은 기껏해야 일시적으로 매혹적인 아포리즘이 뿐이며, 상황에 대한 어떠한 진정한 분석과도 대립된다. 메르켈과 그녀의 의회 다수파는 실질적인 결정능력을 갖고 있으며, 유럽의 최강대국이 위험한 이방인들의 노리개가 되리라 생각할 아무런 근거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슬로터다이크는 자신에 대한 비판가들을 피상적인 지식인으로 규탄한다. 그리고 그들이 자신의 사상을새해 전야의 여성에게 하듯 포위한다고 말하며, 지난 겨울 쾰른에서 여성들에게 일어난 폭력을 천박하게 암시했다.3)

슬로터다이크가 독일인의침략당하는 존재의 이미지를, 궁극적으로는절멸 직면할 무기력한 희생자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유일한 문화적 저명인사는 아니다. 작가 보토 슈트라우스(Botho Strauβ) 최근최후의 독일인이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는데, 글에서 그는 자신이 이방인들과경제적-인구학적 이유 등으로 섞여서 회춘하는존재보다는 오히려 죽어가는 존재일 거라고 선언했다. 그는헤르더에서 무질로이어지는 국민적 유산은 이미 상실되었다고 느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그는 무슬림들이 전통을 따른다는 것의 함의가 무엇인지를 독일인들에게 가르쳐줄 있기를 희망한다. 왜냐하면 무슬림은 자신의 유산에 온전히 복종하는 법을 알기 때문이다. 사실상 동독 시골지역의 은둔자 이미지를 만들어온 그는 독일 민족이 나라에서 소수민족이 되는 순간, 그들 자신의 정체성을 재발견하여 드러낼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레토릭은 독일 정치문화에서의 잠재적인 심층 변화를 암시한다. 이제 나치의 과거와 연계되지 않고도, 혹은 바로 이유 때문에 나치 과거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고도 노골적인 내셔널리스트가 있다. 그리고 독일이 1968년의 경험들을 역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가능해졌다. 당시에 반해, 시회민주당과 기독교민주연합의 대연정은 의회 좌파의 진정한 대표가 없다는 것을 함의한다. 혹은 그로 인해 학생운동가들은 이제 연방의회 내에서 메르켈의 난민정책에 대항할 효과적인 방법이 없다고 말하는 기성 지식인들이 점증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우파가의회 저항 참여할 필요가 생겼다는 결과를 동반했다. 이것이 정부의 특정 정책에 대항하는 가지 방법이다. 대안당이 강령 초안에서 노골적으로 밝혔듯, 자기이해관계에 빠진 모든 정당들의 정치계급이 민주주의 체계 전체를 강탈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대항의 다른 가지 방법이다. 대안당은 이렇게 말한다. 상황은 인민(Volk) 교정해야 불법적 상황이라고

1960년대 말의 일부 급진파들처럼 신우익아방가르드들은 현재의 순간이 종말론적 위험의 순간일 아니라 쾌락(exhilaration, 흥분) 순간이기도 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예컨대 괴츠 쿠비체크(Götz Kubitschek) 같은 보수파 내셔널리스트 혹은 철저히 반동적인 저술가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유럽 내의침략혹은거대한 인구 대체 대해 경고하는 라스파일과 르노 카뮈 같은 이들이 존재한다. 쿠비체크는 페기다 시위자들에게, 분노하는 것은 쾌락4)이라고 말한다. 그는 또한 작센안할트 주의 관할지에서애국주의 강령관련 컨퍼런스를 조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쿠비체크는 대안당의 초창기 온건 국면에서 입당을 시도했다가 거절당한 있으나, [이후] 당의 의장 뵈른 회케(Björn Höcke) 튀링겐으로 초대했다. 회케는 전공은 중동교사로서, 지난 가을재생산 전략에서 있어서 생명긍정형의 팽창적 아프리카 유형과거점형’(place-holding) 유럽 유형 간의 차이에 대해 강연을 진행했다. 에드워드 윌슨의 생태학 이론으로부터 이러저러한 어설픈 해석을 끌어들인 , 그는 피상적 과학 증거들을 독일인들의쇠락’(decadence) 질타하는 사용했다.

이러한 사상은 중대한 저항에 부딪혔다. 일부 지식인들은 슬로터다이크가 난민의 삶의 현실에 대해, 혹은 메르켈이 곡예를 펼치는 복잡한 정치적 필요에 대해 완전히 무지한 채로 민족심리학을 제시하는 탁상공론형 철학자라고 비판했다(이에 대해 슬로터다이크는 자신은 단지 포퓰리즘의 편에 있을 뿐이며, 포퓰리즘은 점증적으로 침묵하는 다수의 현실정치라고 말한다). 사회이론가 아르민 나세히는 외견상의 아방가르드적 보수주의자들이 국민적 동질성이 높을수록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는 사회학적으로 순진한 관점 외에 아무것도 제시하지 않음을 빠르게 지적했다. 그리고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나비드 케르마니는 극찬을 받은발칸의 도정’(Balkanroute) 대한 보고서5) 통해 독일인들에게 난민의 실질적인 곤경을 상기시켰다. 나세히와 케르마니는 오늘날 독일에서 가장 사려깊은 지식인들에 속한다. 둘은 또한 부모들이 1950년대에 이란으로부터 독일로 이주한 2세대 이민자다.

대안당은 여전히 정치체계에 정착하는 실패할 것으로 보인다. 내분이 지속되고 있는바, 특히 당이 연립정부에 참여할지근본적 반대파 남을지에 대한 의견불일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안당이 저항의 영웅론을 환기하면서도 동시에 온건한 시민들(Bürger) 서식처가 있을지는 명료치 않다. ‘발칸의 도정 대한 실질적인 폐쇄와 함께 독일로 유입되는 난민들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메르켈에 대한 압력도 이완되고 있다. 그러나 보수파든 내셔널리스트든 난민 위기 동안의 메르켈의 태도를 쉽게 용서치는 않을 것이다. 독일인의 3/4 이제 대안당이 2017 총선에서 원내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리고 설령 원내진출에 요구되는 문턱을 넘지 못할지라도, 당과 당의 지적 지지자들은 1990년의 통일 이후 독일 주류 정치담론에 가장 극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

1) (옮긴이 ) 조제프 비르머(Josef Wirmer) 슈타우펜베르크 등과 더불어 1944년에 히틀러의 암살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히틀러 우파 계열의 지도자 명이다. 암살 시도는 ‘7 20일의 암살’(Attentat vom 20. Juli) 명명되며, 비르머가 암살 정권장악을 대비해 고안한 깃발은 적색 바탕에 스칸디나비아 십자가가 그려진 형태를 띠고 있다

2) (옮긴이 ) thymos 음역하면, ‘시모스’, ‘티모스정도가 듯하다. 여기서는 맥락상 원어를 그대로 표기하되, 다른 단어와 섞이며 의미군을 형성할 때에는 일반화해서격정으로 번역한다.

3) (옮긴이 ) 2015 마지막 쾰른에서 열린 거리 축제에서 여성들에 대한 집단 성희롱 사건이 일어났다. 당국은 가해자들 다수가 무슬림이라고 규정하며, 독일 반무슬림-반난민의 정서를 선동하며 논란이 일었다. 난민 문제가 서구 여성에 대한 테러로 과잉해석된 사례로, 슬로터다이크는 사태의 비유를 통해 스스로를 난민문제의 피해자로 규정하고 있다.

4) (옮긴이 ) 뮐러의 원문은 “pleasure (lust)”라고 되어 있는데, 참고로 쿠비체크가 페기다 시위와 관련해 말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가능성이, 정치적 서광이 지평선 위로 열리고 있다. 분노하는 , 정치에 저항하는 것은 쾌락이다!”(Es ist am Horizont eine neue Möglichkeit aufgegangen, eine politische Morgenröte, und es ist eine Lust, zornig zu sein, und der Politik die Zähne zu zeigen!).

5) (옮긴이 ) 2016 초에 출간된 <실재의 침입: 유럽 난민의 도정에서> 가리키는 듯하다. Navid Kermani, Einbruch der Wirklichkeit: Auf dem Flüchtlingstreck durch Europa, München: C.H.Beck, 2016.



댓글 로드 중…

최근에 게시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