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인-무브

주변부 지도 그리기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킴벌리 크랜쇼

쏠(페미니즘 번역 모임) 옮김


. 정치적 교차성

 

정치적 교차성 개념은 유색인종 여성이 최소 두 개의 종속 집단 내에 위치해 있다는 사실을 확실히 보여준다. 이 종속 집단들은 빈번하게 서로 상충하는 정치적 안건을 제시한다. 이렇게 때로 서로 대립하기도 하는 두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개인의 정치적 에너지를 분할해야 한다는 요구는 유색인종 남성과 백인 여성이 좀처럼 마주할 일이 없는 그런 교차적 무력화[역량박탈]의 차원에 다름 아니다. 사실 그들[유색인종 남성과 백인 여성]의 인종적이면서 젠더화된 종별적인 경험은 비록 그것이 교차되어 있다 할지라도 종종 집단 전체의 이해를 제한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예를 들어 특정 젠더의-남성- 유색인이 경험한 인종차별이 반인종차별 전략의 매개 변수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고, 특정 인종의-백인- 여성이 경험한 성차별이 여성 운동의 기반이 되는 것처럼 말이다. 문제는 단순하게 두 담론이 인종 또는 가부장제라는 추가적인(additional)” 사안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유색인종 여성을 무시한다는 게 아니다. 진짜 문제는 이 담론들이 종종 인종차별과 성차별의 차원 전체를 분명하게 하는 각각의 작업에서조차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유색인종 여성은 유색인종 남성이 경험하는 것과 항상 같지만은 않은 식의 인종차별을 겪고, 백인 여성의 경험과 항상 평행하지는 않는 식의 성차별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반인종차별과 페미니즘은 심지어 그 [담론의] 용어들 자체에서도 한계가 있다.


인종과 젠더의 교차성을 다루는 반인종주의와 페미니즘 담론이 실패하면서 발생한 가장 문제적인 정치적 결과 중 하나는 유색인종여성의 이익 각각이 향상될 때까지, 하나의 분석이 보통 은연중에 다른 것의 타당성을 부정한다는 사실이다. 페미니즘이 인종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지 않았다는 것은 페미니즘 운동의 전략이 유색인종의 종속을 복제하고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반인종주의가 가부장제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하기를 실패했다는 것은 반인종차별주의가 여성의 종속을 재생산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상호적인 묵인은 유색인종 여성에게 특히 어려운 정치적 딜레마를 안겨준다. 둘 중 어느 분석을 차용해도 우리[유색인종 여성]가 종속되는 근본적인 차원을 부정하게 되고 유색인종 여성을 더 크게 세력화 할 수 있는 정치적 담론의 발전은 불가능해진다.

 

 

A. 가정폭력[아내폭행]의 정치화

 

이 논문을 위해 정보를 모으는 과정에서 내가 겪었던 일들을 보면, 교차성 문제를 무시하거나 수면 아래로 가라앉히는 정치적 전략으로 인해 유색인종 여성들의 정치적 관심사는 잘 알려지지 않고, 때로는 [정치활동이] 저해되기도 한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나는 구역별 가정폭력[아내폭행] 중재 비율을 나타내는 로스앤젤레스 경찰국의 통계자료를 검토하려고 했다. 왜냐하면 이러한 통계자료가 로스앤젤레스의 인종 분리 [미국에서의 인종분리는 일상생활 면에서 소위 말하는 인종그룹별로 나뉘는 것을 말한다_역자주] 정도를 고려해 볼 때 인종 그룹별 체포건수의 대략적인 그림을 제공하기 때문이다.[각주:1] 하지만 로스앤젤레스 경찰국은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 경찰국 대리인은 통계자료를 공개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를 경찰국 내외에 있는 가정폭력[아내폭행] 활동가들의 우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소수자 공동체 내의 가정폭력[아내폭행] 정도를 반영하는 통계자료는 가정폭력[아내폭행]을 심각한 문제로 다룰 수 있게 되기까지 들였던 장기간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기 위해 선별적으로 해석되고 공론화될 수도 있다고 본 것이다. 내가 전해들은 얘기에 따르면 활동가들은 가정폭력[아내폭행]을 문제로 보지 않는 사람들에게 이 통계자료가 이 문제는 소수집단의 문제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행동을 취할 필요가 없다고 일축해버릴 수 있는 여지를 남기게 될 지도 모를 것을 걱정하고 있었다.


정보제공자는 또한 다양한 소수자 공동체의 대표들이 이러한 통계자료가 공개되는 것에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명백히 그 자료가 부당하게 흑인과 갈색인종[brown people-북아프리카, 북동아프리카, 서아시아,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원주민과 같은 다양한 인구를 포함하는 일련의 가설적 인종 그룹_역자주] 공동체들을 대단히 폭력적으로 묘사하고, 이것이 잠재적으로 고정관념을 강화하게 될 것에 대해 걱정했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강압적인 경찰의 진압 및 다른 차별적 관행을 정당화 하려는 시도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불안감은 익숙하면서 근거가 없지 않은 전제에 기반하고 있다. 특정 소수자 공동체-특히 흑인 남성-는 이미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폭력적이라는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몇몇은 운동(political action)의 목표를 가정폭력[아내폭행]으로 삼으려는 시도는 흑인 공동체에 대한 고정관념을 더 공고히 하고 공동체에 대한 부정적인 믿음과 싸워나가려는 노력을 약화시키는 데만 일조할 까봐 걱정한다.


이 설명은 어떻게 유색인종 여성이 반인종주의와 페미니즘의 전략적인 침묵에 의해 지워질 수 있는가를 날카롭게 보여준다. 두 집단의 정치적 우선순위는 유색인종 공동체 내의 가정폭력[아내폭행]문제를 직면할 수 있는 정보들을 숨기는 방식으로 규정되었다.

 


1. 가정폭력[아내폭행]과 반인종차별 정치


유색인종 공동체 내에서 가정폭력[아내폭행]을 정치화 하려는 흐름을 저지하려는 노력은 보통 공동체를 온전하게 유지하려는 시도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 절합(切合, articulation)은 다른 형태들을 취하게 된다. 페미니즘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페미니즘이 유색인종 공동체 내에서 설 자리가 없다고 주장한다. 페미니즘의 쟁점은 내부적으로 분열을 초래하고, 유색인종 공동체의 맥락 속에 그들과 상관없을 뿐만 아니라 해롭기까지 한 백인 여성 문제가 유입됨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가장 극단적인 레토릭은 젠더 폭력이 공동체 내부의 문제라는 점, 그리고 그것[젠더 폭력]이 공동체의 문제 그 자체인 젠더 종속을 정치화하는 모든 시도의 특징이 된다는 점도 거부한다. 샤하라 자드 알리(Shahrazad Ali)는 논란이 많은 그녀의 책 흑인 여성을 이해하려는 흑인 남성을 위한 가이드북(The Blackman’s Guide to Understanding the Blackwoman)에서 이 같은 입장을 취했다.[각주:2] 이 귀에 거슬리는 반페미니즘적 글에서, 알리는 가정폭력[아내폭행]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해방 사이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도출해 낸다. 알리는 흑인 공동체 내부의 악화되어 가는 상황을 흑인 여성의 불복종과 이 여성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 한 흑인 남성들의 탓으로 돌린다.[각주:3] 알리는 흑인 남성에게 흑인 여성들이 무례하다면 체벌을 가하도록 충고하기까지 한다.[각주:4] 그녀는 흑인 남성들에게 그들의여자들을 훈육하는데 있어 온건함이 필요하다고 주의를 주면서, 흑인 남성이 인종차별에 의해 분열된 흑인 여성을 넘어서는 권위를 재탈환하기 위해서는 가끔은 육체적 힘에 의지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각주:5]


알리의 전제는 가부장제가 흑인 공동체에 이롭고[각주:6] 필요하다면 강압적인 방법을 통해 강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각주:7] 하지만 이러한 통제 의지에 수반되는 폭력은 피해자인 흑인 여성에게뿐만 아니라 흑인 공동체 전체에 파괴적이다.[각주:8]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폭력에 대한 의지는 그런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에게 위험한 행동양식을 확립시킨다. 그리고 수많은 다른 무시하기 어려운 문제들에 영향을 미친다.[각주:9] 거의 40퍼센트에 가까운 노숙인 여성들과 아이들이 가정에서의 폭력에서 달아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각주:10] 그리고 살인죄로 수감된 11살부터 20살 사이의 어린 남성의 63퍼센트가 어머니를 학대하는 배우자를 살해한 것으로 추정된다.[각주:11] 집단 폭력, 살인, 그리고 다른 형태의 흑인에 대한 흑인의 범죄(Black-on-Balck crime)가 아프리카계 미국인 정치권 내에서 갈수록 더 많이 논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젠더와 권력에 대한 가부장적 생각은 가정 폭력[아내폭행]을 흑인이 흑인에게 저지르는 범죄에 대한 잇따른 주목할만한 사건으로서 인식하지 못 하게 한다.


흑인 해방이라는 이름으로 여성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 하려는 알리의 노력 같은 것은 참으로 극단적이다.[각주:12] 더 보편적인 문제는 공동체의 정치적 혹은 문화적 관심사가 가정 폭력[아내폭행]에 대한 모든 대중적 인식을 불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미국 백인 가정에서 가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의 정도에 합의를 이루어냈다고 추정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종은 왜 비백인 공동체 내부에서는 가정폭력 문제가 억압될까?’라는 또 다른 차원을 덧붙이는 사례임에 틀림없다. 흔히 유색인들은 왜곡된 대중적 인식을 강화할지도 모르는 문제를 회피하거나 단일 공동체 내의 문제를 인정하고 제기하는 것 사이에서 그들의 이익을 따져보아야 한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이 억압의 대가를 알아차리기 어렵다. 왜냐하면 애초에 문제를 의논하는 것의 실패가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계속)

 



  1. 대부분의 범죄 통계자료는 성별 또는 인종별로 분류되어 있지만 성별과 인종이 같이 분류되어있는 자료는 없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강간 피해자는 여성이며, 인종별 분배 정도(the racial breakdown)는 기껏해야, 흑인 여성의 강간비율만을 나타낸다. 이것을 필두로 해도, 다른 비백인 여성의 비율은 수집하기 어렵다. 라틴계여성들의 통계자료는 좀 있지만 아시아나 원주민 여성에 관한 것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Cf. G. Chezia Carraway,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43 STAN. L. REV. 1301 (1993) [본문으로]
  2. Sharazad Ali, The Blackman’s Guide To Understanding The Blackwoman(1989). 알리의 책은 독립출판물 분야에서 꽤 잘 팔렸고, 그녀의 업적은 의심할 여지없이 필 도나휴, 오프라 윈프리, 셀리 제시 라파엘의 텔레비전 토크쇼에 출연한 것이다. 대중과 언론의 반응을 보려면 Dorothy Gilliam, Sick, Distorted Thinking, 워싱턴포스트, 1990년 10월 11일, D3면; Lena Williams, Black Woman’s Book Starts a Predictable Storm, 뉴욕타임즈, 1990년 10월 2일, C11면을 보라; 또 Pearl Cleague, Mad At Miles: A Black Woman’s Guide To Truth(1990)도 보라. 명백하게 알리의 책을 모방한 제목인 Mad at Miles는 알리의 책이 몰고 온 이슈들에 대한 대답뿐 아니라 마일스 데이비스가 그의 자서전 Miles: The Autobiogrphy(1989)에서 다른 여성들 가운데 그의 전 부인인 배우 시슬리 타이슨을 폭행했다고 시인한 것에 대해서도 대답하고 있다. [본문으로]
  3. 샤하라자드 알리는 “[흑인 여성]은 흑인 남성을 향한 그녀의 무례함이 파괴적이고, 남성에게 반하는 것이 흑인 민족을 퇴보시켰다는 것을 확실히 믿지 않는다”고 말했다. 샤하라자드 알리, 앞의 책 37, Ⅴⅲ장. 흑인 여성이 그녀의 “실질적 정의 (real definition)”를 받아들이지 못 한 문제를 공동체의 책임으로 돌리면서 알리는 이렇게 설명한다. “남성과 여성의 자연스러운 행동이 무력에 의해 그들의 원래 의도와는 서로 반대가 되면 어떠한 민족도 부흥할 수 없다. 암컷이 스스로의 자연스러운 균형을 거스를 때 어떠한 종도 살아남을 수 없다.” Id. 76쪽. [본문으로]
  4. 알리는 흑인 남성에게 흑인여성의 입을 때리라고 조언했다. “왜냐하면 그 구멍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그녀 얼굴 아래쪽에서, 여성의 모든 반항의 최고점이 언어가 되어서 말이다. 그 억제되지 않은 혀가 바로 그녀가 흑인 남성과 어울릴 수 없는 주된 원인이다. 여성은 때때로 주의가 필요하다.” Id. 169쪽. 알리는 “만약 [흑인 여성]이 흑인 남성의 권위와 우월성을 무시한다면, 벌을 받아야 한다. 여성이 선을 넘고 몹쓸 정도로 모욕적일 때가 바로 흑인 남성이 그 입을 때릴 적절한 순간이다.” Id. 라고 주의를 준다. [본문으로]
  5. 알리는 “유감스럽게도, 몇몇 흑인 여성들은 흑인남성에게 육체적으로 제어 받고 싶어 한다.” Id. 174쪽. “흑인 여성은 그들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강제를 통해 항복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리가 밝혀냈다. Id. 72쪽. “[흑인 여성]은 [흑인 남성]이 스스로를 보호하며 당당하게 앞으로 나아가가길 바란다. 이러기 위해 여성을 눈 앞에서 치워버려야 할지라도 말이다. 이는 흑인여성이 여성적 행동의 보호 밖으로 나가고 위험한 남성적 도전의 영역에 진입했을 때 필수적인 것이다.” Id. 174쪽. 라고 설명한다. [본문으로]
  6. 알리는 “흑인 남성이 1번이고 흑인 여성이 2번인 것은 또 다른 당연한 자연의 이치다. 흑인 남성이 먼저 창조되었고, 그가 연장자다. 그리고 흑인 여성은 두 번째로 창조되었다. 남자가 첫 번째고 여자가 두 번째다. 흑인남성이 시작이고 모든 다른 것들이 그로부터 나온다. 흑인여성만 빼고 온 지구의 모든 사람들이 이것을 알고 있다.” 는 것을 지적했다. Id. 67쪽. [본문으로]
  7. 이 점에서, 알리의 주장은 신보수주의 세력의 주장과 매우 많은 공통점이 있다. 이 신보수주의 세력들은 미국 내 흑인 공동체를 괴롭히는 수많은 사회악의 원인을 가부장적 가족 가치의 붕괴로 본다. 예를 들어, William Raspberry, If We Are to Rescue American Families, We Have to Save the Boys, 시카고 트리뷴, 1989년 7월 19일, 15C면; George F. Will, Voting Rights Won’t Fix it, 워싱턴 포스트, 1986년 1월 23일, A23면; George F. Will, “White Racism” Doesn’t Make Blacks Mere Victims of Fate, 밀워키저널센티널, 1986년 2월 21일, 9를 보라. 알리의 주장은 논란이 되고 있는 흑인 가족에 관한 소위 “Moynihan Report”와 주목할 만한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 논란의 이유는 이 리포트의 주 저자가 현재 상원의원이 된 다니엘 모이니핸(D-N.Y.)이기 때문이다. “The Tangle of Pathology”라는 제목의 악명 높은 장에서 모이니핸은 이렇게 말한다 : “‘검둥이(Negro) 공동체는 다른 미국인 공동체와 너무 다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가모장적 구조가 되어버렸다. 이 구조는 전체적으로 공동체의 발전을 심각하게 저해시켰고 검둥이 남성에게 치명적인 부담을 안겼고 결과적으로 엄청나게 많은 수의 검둥이 여성들에게도 짐을 떠 안겼다.” 미 노동부, 정책 기획 연구실,(Office of Policy And Research, U.S. Department of Labor), The Negro Family: The Case For National Action 29(1965), Lee Rainwater & William L. Yancey, The Moynihan Report And The Politics Of Controversy 75(1967)에 재수록. 책에 대한 논란의 폭풍이 일었지만, 겨우 몇 명의 논객이 분석에 끼워 넣어진 가부장제에 이의를 제기했다. 당시 젊은 장관이자 존슨 대통령의 원고를 작성했던 빌 모이어스는 모이니핸을 겨냥한 비판은 불공평하다고 강력하게 믿었다. 20년쯤 후에 모이어스는 모이니핸의 논지를 The Vanishing Family: Crisis in Black America’(CBS 방송국, 1986년 1월 25일)이라는 텔레비전 특집 프로그램으로 부활시켰다. 이 프로그램은 1986년 1월에 처음으로 방영되었고 부모가 되었지만 결혼은 원하지 않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과 여성들을 다뤘다. Arthur Unger, Hardhitting Special About Black Families, 크리스천 사이언스. 1986년 1월 23일 월요일. 23쪽. 많은 이들이 모이어의 방송을 모이니한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보았다. 레이건 대통령은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일주일 뒤에 복지 시스템을 개정할 수 있는 계획을 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Michael Barone, Poor Children and Politics, 워싱턴 포스트, 1986년 2월 10일A1면. 한 고위 공무원은 이렇게 말했다. “빌 모이어스는 사람들이 붕괴되어가는 흑인 가족이라는 문제를 안전하게 말할 수 있게 해줬다.” Robert Pear, President Reported Ready to Propose Overhaul of Social Welfare System, 뉴욕타임즈, 1986년 2월 1일, A12면. 모이니한/모이어의 논지에 대해 비평하는 사람들은 이것이 대부분의 흑인 가족과 특히 흑인 여성을 희생양으로 삼고 있다고 말한다. 계속된 답변을 보기 위해서는 Scapegoating the Black Family, 네이션, 1989년 7월 24일(특별판, 편집자: Jewell Handy Gresham, Margaret B. Wilkerson / 참여: Margaret Burnham, Constance Clayton, Dorothy Height, Faye Wattleton, Marian Wright Edelman.)을 보라, 모이니핸/모이어스논지를 지지하는 대중매체에 관한 분석을 보고 싶으면, Carl Ginsburg, Race And Media: The Enduring Life of The Moynihan Report(1989)를 보라. [본문으로]
  8. 가정폭력[아내폭행]은 알리의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걱정해야만 하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그간 흑인 남성의 사회경제적 조건은 가장 중요한 문제였다. 최근의 통계를 보면 20대 흑인 남성의 25퍼센트가 형사사법제도 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David G. Savage, Young Black Males in Jail or in Court Control Study Say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1990년 2월 27일, A1면; Newsday, 1990년 2월 27일 15쪽; Study Shows Racial Imbalance in Penal System, 뉴욕타임즈, 1990년 2월 27일 A18면을 보라. 사람들은 가정에서의 폭력과 거리에서의 폭력 사이의 관련성에 관해 아프리카-아메리칸 공동체는 자신을 떠받치고 있는 가부장제적 가치와 가정폭력 문제 둘 다를 다룰 형편이 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 알리와 같은 이만이 납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본문으로]
  9. 시급한 문제는 가정폭력[아내폭행]이 다음세대에 스스로 재생산되는 방식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을 목격한 소년들은 성인이 돼서 여성 배우자를 때릴 확률이 10배나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Women and Violence: Hearings Before the Senate Comm. on the Judiciary on Legislation to Reduce the Growing Problem of Violent Crime Against Women, 101회 미국 의회, 2번째 기간, 2장, 89쪽(1991년) [이하 Hearings on Violent Crime Against Women] (Charlotte Fedders의 증언). 여성에 대한 폭행을 목격한 소년들과 관련된 또 다른 문제는 높은 비율의 자살, 폭행, 성폭력, 알코올 및 마약중독이 있다. Id, 2장 131쪽(Sarah M. Buel의 주장, 메사추세츠주 지방검사대리, Harvard Law School Battered Women’s Advocacy Project(하버드 법대 매맞은 여성지지프로젝트)지도교수.) [본문으로]
  10. Id. 142쪽 (Susan Kelly-Dreiss 의 진술) (펜실베니아의 몇몇 노숙과 가정폭력[아내폭행]의 관련성 연구를 논함) [본문으로]
  11. Id. 143쪽 (Susan Kelly-Dreiss 의 진술). [본문으로]
  12. 다른 역사적인 예시로 Eldrige Cleaver를 들 수 있다. 이 사람은 백인 공동체를 모욕하기 위해 백인 여성을 강간했다고 주장했다. 먼저 Cleaver는 흑인 여성에게 “연습” 했다. Eldridge Cleaver, Soul On Ice 14-15 (1968). 이 두 가지 사건에 나타난 여성혐오에도 불구하고, 둘 다 흑인 여성을 흑인 공동체의 “여왕”으로 숭배하라고 천명한다. 이런 “여왕스러운 종속”은 백인 페미니스트들이 비난했던 “떠받들어지는 여성”의 이미지와 아주 유사하다. 흑인 여성은 지배적인 사회 내에서는 떠받들어지는 위치가 될 수 없었기 때문에, 아프리카 여왕이라는 이미지는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이것이 분명 페미니즘의 입장은 아니지만, 이렇게 [여왕] 이미지를 선언하는 일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을 ‘금박 새장’ 속 횃대에 앉아있지 못하게 만든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의 교차적 효과들을 즉각적으로 반박해내기도 한다. [본문으로]
댓글 로드 중…

최근에 게시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