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인-무브

바깥의 사유? 블랑쇼와 함께 푸코를[각주:1]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

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정치철학학과 정치철학 전공 박사과정)

 

 

1. 콜로퀴엄을 위한 발표의 대상으로 삼고자 제가 제안하는 질문, 미셸 푸코의 사유가 최소한 일정한 시간 동안--그러나 지점에서, 바로 시간에 우리가 어떠한 제한을 부여해야 하는 것인지의 문제가 제기되죠-- 모리스 블랑쇼의 사유와 맺어 왔던 특권적 관계에 대한 질문은 이미 상당히 풍부하게 다루어졌으며 질문의 중요성이 이미 인정된 있었던 것입니다. 특히 질문은 들뢰즈의 저서 푸코에서 중심적인 자리를 점하고 있는데요, 들뢰즈의 저서에서 질문에 대한 새로운 검토 전체는 필연적으로 [들뢰즈와 푸코 사이의] 하나의 대화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들뢰즈의 주장의 중심선(ligne principale) 본질적으로는 하나의 -주체성(혹은 자기 고유의 활동 내에서 주체의 부재, 특히 하지 않음이라는 개념이 외시하는) 블랑쇼적 바깥 푸코에게서는 유한성뿐만 아니라 권력에 대한, 그리고 결국에는 주체성의 주름화 대한 그의 분석들의 기저에 존재하는 힘들의 형이상학(métaphysique des forces) 된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입니다.[각주:2] 따라서 우리에게 제기되는 질문은, 푸코의 바깥의 사유로의 전회’(tournant) 혹은 우회(repli)라는 관념을 의문에 부치기보다는(푸코는 바깥의 사유 통해 블랑쇼와 항구적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이죠) 들뢰즈가 바깥의 사유 관해 제시하는 생기론적 해석(“푸코의 사유가 정점에 도달하는 지점으로서의 생기론[각주:3]) 의문에 부침으로써( 생기론적 해석은 니체를 넘어서, 혹은 아마도 베르그손을 통해 재독해된 니체를 넘어서, 기묘한 외부성의 헤겔주의 나아갑니다), 이러한 들뢰즈적 해석을 논박(contester) 있는지 혹은 오히려 이러한 들뢰즈적 해석을 변주(varier)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사실은, 블랑쇼에게서 문제가 되는 것은 생명이라기보다는 죽음입니다. 그리고 푸코는 우선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블랑쇼를 독해했습니다. 

 

우리가 이미 알다시피, ‘바깥의 사유라는 표현은 푸코가 1966 출간한, 그러니까 그의 주저인 (그리고 푸코 자신의 철학에 대한 최초의 위대한 종합인) “말과 사물”, 그리고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라는 통념을 중심으로 하는 에세이인 다른 공간들’(Des espaces autres)이라는 강연문( 텍스트는 20년이 지나서야 출간되죠[각주:4]) 동시에 출간된, 블랑쇼의 작업에 대한 자신의 [ 푸코의 텍스트 바깥의 사유’] 제목과 핵심 원리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가지 텍스트들 모두를 함께 취한다면, 분량 또한 상이하며 지위 또한 서로 다른, 하지만 내용상으로는 상호보완적인 가지 텍스트들은 하나의 성좌(constellation) 형성하게 됩니다. 하지만 도대체 바깥의 사유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바깥의 사유라는 단어에 대한 영어번역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통한 우회는 이러한 우리의 질문이 전혀 단순한 것이 아니며, 심지어 이러한 질문이 잠재적 긴장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바깥의 사유 대한 번역으로 the thought of the outside(바깥의 사유) 선택하는 번역들도 존재하며, the thought from outside(바깥으로부터의 사유) 선택하는 번역들도 존재합니다. 특히 the thought from outside라는 정식화는 푸코의 텍스트인 바깥의 사유 블랑쇼가 푸코의 죽음 이후 1986 그를 위해 썼던 텍스트(푸코의 텍스트 바깥의 사유 대한 응답으로 ) 내가 상상한 미셸 푸코 결합한 아름다운 판본에서 브라이언 마수미(Brian Massumi) 채택하는 것이지요.[각주:5] 하지만 텍스트 안에서 마수미는 바깥의 경험’(expérience du dehors) experience of the outside([바깥으로부터의 경험이 아니라] 바깥의 경험) 번역합니다. 이로부터 우리는 바깥으로부터 오는’(qui vient du dehors) 사유 스스로가 바로 바깥(de) ‘경험위에 기초해 있다고, 그리고 양태는 경험 양태를 [자동적으로] 도출하는 것이 아닌 한은 여전히 규정해야 것으로 남아 있다고 결론지을 있습니다.

 

그런데 분석을 지속해 나감으로써 지점을 명확히 해명할 있을까요? 자신의 소설들에서뿐만 아니라 또한 자신이 문학적 글쓰기라는 질문에 할애했던 비판적 에세이들에서도, 블랑쇼는, 푸코에 따르면, 자신이 명목상(nominalement) 저자인 텍스트에서의 자기 고유의 부재를 표현(exhibe)합니다. 작가(écrivain)--예를 들어 카프카와 같은 작가-- 텍스트로부터 빠져나오거나, 텍스트가 이상 내부성을 지니지 않도록, 그래서 이를 통해 텍스트가 순수한 바깥 되도록, 주체로서의 작가가 바로 작가에 의해 말소(annuler)되도록 합니다. 작가는 푸코가 조금 뒤에 저자-기능’(fonction auteur)이라고 부르게 바를 무력화/중성화(neutralise)시킵니다.[각주:6] 일반적 주제는 자체로 가지 계기로 분해됩니다. 번째 계기에서, 쟁점이 되는 /작용 내에 있는 (en jeu), 형식과 내러티브적 질료 사이의 폭력적 등가성으로서의, 문학적 글쓰기 내에서 바깥의 순수한 경험’(expérience pure du dehors)[각주:7]입니다(그리고 바깥의 순수한 경험 열쇠는 자기 자신의 현존 자체 내에서 은폐되는 그러한 loi 이율배반을 통해 구성될 것입니다[각주:8]). 위반의 역설은 위반에게 자체로는 접근 불가능한 그러한 바깥을 향해 위반이 끊임없이 전진한다는 점입니다.[각주:9] 이를 통해, [역설적이지만] 위반의 후퇴(retrait) 통해서만 진정으로 절대화될 있는 그러한 주권/지배 혹은 법의 승리를 [위반은 바깥으로 접근 불가능하기에 항상] 보증하면서 말이죠. 번째 계기에서, 지향적 의미작용(signification intentionnelle)으로부터 중성적임과(neutre) 동시에 지향적 의미작용이 비어 있는(vide) 그러한 순수한 바깥으로 정의되는 것은 바로 언어의 존재(être du langage)입니다. 이러한 외부성은 주체의 비인칭적 분신(double impersonnel) 끈질긴/지속적 현존으로 경험되며(s’éprouve) 심지어는 (문학적 활용 내에서) 실험/체험되지요(s’expérimente).[각주:10] , alter ego[ 다른 자아 혹은 타아’] 아니라, 무한히 서로 닮아있음과 동시에 근본적으로 양가적인, 약속(prometteur)임과 동시에 위협(menaçant)[각주:11], 블랑쇼의 소설 지극히 높은 이야기를 따라 푸코가 동무’(compagnon)라고 부르는, 그러한 (Il) 혹은 (On) 말입니다[각주:12]( 소설에서 수수께끼와도 같이 혹은 옹은 국가의 역량을 표상하죠).[각주:13] 블랑쇼의 정식화를 따름으로써, 그리고 블랑쇼의 정식화들을 블랑쇼 고유의 글쓰기 실천과 관계지음으로써, 푸코는, 영원히 대답 없는 그러한 한계 없는 질문하기(questionnement illimité) 특권을 (parole) 부여하기 위해 자신의 한가운데로 되돌아오는, 담론으로부터 배제된 /배제된 (exclu du discours) 동무를 정의합니다.

 

이는 얼굴이 없는, 그리고 시선이 없는 하나의 (Il)이며, (il) 자기 자신의 밤의 질서에 위치짓는 어떠한 타자(autre) 언어를 통해서밖에는 없다. 이를 통해 (il) 일인칭으로 말하는 (Je) 가장 가까이 다가서며, (il) 제한 없는 어떠한 공백 내에서 문장들을 다시 취한다. 그러나 (il) 공백과 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측정이 불가능할 정도의 거리가 [(il) 공백을] 분리시키기 때문이다.[각주:14]

 

결론적으로 이는 언어 주체성 관한 에밀 방브니스트의 유명한 명제들에 대한 전도입니다. 언표 자체 언표행위의 주체로서의 인칭적 ’(Je)(혹은 -Je-Tu) 삽입이 언어의 전유 생산하는 대신에, 비인칭적인 것의 삽입(‘Il ’Je, Je Il) 언어의 수탈 생산하는 것이죠.[각주:15]

 

마지막으로 번째 계기에서, 중성적인 부정적 본질이 펼쳐집니다. , 언어의 존재는, ‘상호적 투명성내에서 기원과 죽음 사이의 교통(communication) 정립되는, 언어에 의해 자기 자신의 바깥(hors de soi) 놓이게(mis) (Je)--그러나 [이와 동시에] 언어는 에게 말의 공간을 열어주는데요-- 주체로서 사라지기 위해서만 가시적으로/명백히/겉보기에는(visiblement) 긍정(s’affirme)되는[드러나게 되는], 그러한 장소로서의 바깥의 해체된 형태’(forme défaite du dehors) 것이죠.[각주:16] 따라서 우리는 에세이가 출발했던 최초의 질문, 그러니까 쥬가 말한다’(Je parle)라는 언표( 쥬가 말한다 지극히 높은 마지막 단어라는 점을 잊지 맙시다[각주:17]) 지위와 효과들에 관한 질문으로 되돌아오게 됩니다. 질문은 우리로 하여금 언어의 경험을 한계-경험으로서 뿐만 아니라 정관사 한계(la limite) 대한 경험 자체로 재구성할 있게 해주었습니다. 언어가 수행하는, (Je) 자기 자신의 바깥으로 놓임’(mise hors de soi)--혹은 (Je) (Il)과의 구별 불가능성( 구별 불가능성은, 칸트가 그렇게 주장할 있었듯, 대체물로 활용하기 위해 언표행위들 내에서 끊임없이 수반하죠)-- 주체가 스스로를 이름 짓는(se nomme) 장으로부터의 주체의 배제이지만, 동시에 이는, 언어의 경제를 한계들 내에서 담지(porte)하는 -주체성 혹은 바깥이라는 무대 위로 입장하는 (entrée en scène)이기도 합니다. 근본적으로 이러한 언어는 의미를 표현하는 것도 아니고 외시적이거나 지시적인 것도 아니죠. 이러한 언어는 자신의 중심 내에 (주권/지배와 죽음과 유비적인) 하나의 공백 혹은 하나의 본원적(originaire) 부재를 발견하는, 자신의 가능성들의 작용/놀이(jeu)입니다. 따라서 주체 없는 초월론적인 ’(transcendantal sans sujet) -동시대의 구조주의는 바로 주체 없는 초월론적인 대한 실험을 것이죠- 이라기보다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 dispositif와의 비교가 계발적일) -초월론적 경험이 구성됩니다.[각주:18] 말하는 주체라는 형상 아래에서만 사유하거나(pensant) 인식하는(connaissant) 주체는 바로 -초월론적(quasi transcendantal) 경험 내에서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사이의 그리고 말과 침묵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하나의 텅빈 (point vide)이며, 혹은 들뢰즈가 말하듯 더욱 정확히는, 주체는 바로 담론의 대상들을 편력하는, 그리고 이를 통해 담론의 대상들의 변이, 갈등, 폭력( 주체 자신을 위협하는) 항구적으로 노출되는, ‘움직이는 텅빈 자리’(place vide mobile) 것입니다.[각주:19]

 

2. 들뢰즈의 형이상학적외삽(들뢰즈가 푸코의 것으로 간주하는 생기론, 그리고 결국에는 [대문자] 바깥과 바깥의 한가운데에서 생산되는 archi 혹은 quasi-내부성 사이의 동일시, 주름화[각주:20]) 근원은, 생각에, 가시적인 것과 언표가능한 사이의 이접적인(disjoint), 어긋난(décalé), ‘-동시대적인’(non contemporain) 관계(‘-관계 동화될 있을 그러한 관계) 대한 사유 이러한 -관계 혹은 이러한 이접성(disjonction) 자체에 대한 사유와 구분했다는 사실에 놓여 있습니다. 하지만 들뢰즈가 권력 바깥 현상학적 차원(registre) 대한 사유라는 질문을 생명의 존재론적 차원에 대한 사유라는 질문으로 이동시키는 이러한 변증법의 중간값’(médian) 계기로 만들기 위해 권력 준거할 , 모든 것이 너무 성급하게 이루어지지요. 들뢰즈는 가시적인 것과 언표가능한 것이 정관사 권력(du pouvoir) 효과 아래에서만 혹은 어느 하나의 권력(d’un pouvoir) 효과 아래에서만, ( 정의상 투쟁들, 대항-권력들, 대항-품행들을 포함하는) 권력의 작용’(jeu du pouvoir)과의 (비록 가변적이고 역사적이라고는 해도) ‘필연적인하나의 관계(un rapport) 내에서만 절합된다는 점을 전제함에서는 분명 옳습니다. 하지만 이로부터 들뢰즈는 말할 있는 것과 가시적인 것에 대한( 둘은 이접적 종합내에 병치된, 사유의 유한한형태들입니다) 권력의 효과 생명의 자유로운 힘들’ -따라서 이는 사유의 사유(pensée de la pensée) 권력 자체의 권력(pouvoir du pouvoir lui-même)(혹은 권력 자체의 -권력) 같은 것입니다- 맺는 인간의 더욱 본질적인 관계를 조건으로 취한다는 관념으로 나아갈 있는 것일까요?[각주:21] 달리 말하자면, 들뢰즈는, 푸코를 배반하지는 않으면서, 초월론적 혹은 우주론적 우연(hasard), 역사의(historial) ‘주사위 던지기 통해 우발성(contingence) 혹은 사실성(facticité) 배가(redoubler) 있는 것일까요?[각주:22] 오히려 우리는 가시성과 말할 있음(혹은 실천과 담론) 사이의 갈등으로서의 이러한 사실성에 고집스레 남아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요? 바로 갈등에서, 사실성이 구성하는 타자성 방향으로 사실성이 포함하고 있는(하지만 불가능한위반이라는 양태 내에서만 사실성은 타자성 대한 끈질김/ 말할 있습니다) 열림들을 탐지하기 위해서 말이죠. 요약해서 질문하자면, 우리는 비아 네가티바(via negativa)[ 부정신학’]로부터 빠져나와야 하는 아닐까요? 만일 그렇다면 어떠한 출구를 통해 빠져나와야 할까요?[각주:23]

 

푸코의 저작 내에서 바깥의 사유 번째 확장은 1961년의 저작 광기의 역사 의해 고고학이라는 이름 아래 개시되었으며 이는 계보학적 계기’-- 계보학적 계기내에서, 매우 다양한 양태들 아래에서라고 할지라도, 콜레주 프랑스에서 푸코가 행한 이후의 모든 작업들이 기입됩니다-- 의해 겉보기에는(apparemment) 종료된(혹은 아마도 단순히 전치된), 그러한 비판적 제스처의 체계화에 준거합니다. 이러한 전환은 담론의 질서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던 1971 12월의 콜레주 프랑스 취임 강연이 담론의 가공할 물질성 담론의 활용을 규제(réguler)하는 효과를 생산하는 배제, 통제/관리, 제도의 과정들(procédures) 전체 사이의 힘관계(혹은 끊임없는 갈등성)라는 용어/관점에서 언어에 내재적인 외부성이라는 질문을 재정식화하는 방식을 통해 탐지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방법론적이고 프로그램적인 시도는 이미, 사유가 언어와 맺는 구성적 관계가 사유에 미치는 효과로서의 바깥의 사유라는 관념을 완전히 재사유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도는 위에서 제가 1966년의 성좌라고 불렀던 바를, 바로 성좌에 성좌가 성찰하고 싶어했던 바를 통합시킴으로써, 회귀/사후적으로(par récurrence) 제한(délimiter) 있게 해줍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눈에 띄는 점은 위반, 비사유, 외부성 그리고 타자성이라는 주제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상호준거들의 농밀함입니다.[각주:24]

 

그런데 푸코가 이러한 철학적 결합(nexus) 지표(indication) 수용한 것은 아마도 블랑쇼 자신으로부터일 것입니다. 여기에서 블랑쇼와의 관계가 유일하게 편으로부터만 유래하는 해석 혹은 주해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블랑쇼와의 관계가 하나의 진정한 상호성 함축한다고 말한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입니다. 블랑쇼가 광기의 역사 출간 직후 공개했던 광기의 역사 대한 서평은 1969 출간된 무한한 대화안에 망각, 비이성’(L’oubli, la déraison)이라는 종합적 제목으로 -현존이자 동시에 -부재 (그러므로 이는 중성적인 것의 다른 이름이지요)으로서의 망각(oubli) 대한 성찰 바로 뒤에 실리게 되었습니다.[각주:25] 서평은 사유, 불가능성 그리고 사이에 수수께끼를 만들어내는, [그러한] 관계 대한 준거로 끝납니다. 그런데 블랑쇼가 말하길, 바로 관계로부터 우리는,

 

독특한 저작들(œuvres singulières)--문화가 ( 독특한 저작들을 객관화함으로써 한계-경험들을 거부함과 동시에) 독특한 저작들을 수용하면서도 내다 버리는-- 일반적 중요성을 다시 포착하고자 시도할 있다 (…) 그리고 나는 가장 고독한 저작들 하나를 머릿 속에 떠올리고 있는데, 이는 조르주 바타이유가 우정(amitié) 놀이/작용(jeu)으로[재미로] 이름을 빌려주었던 그러한 저작이다.[각주:26]

 

그리고 푸코는 1963 문학에 의해(혹은 의미의 한계들 자체에 대해/ 자체 위에서sur 실험하는 어떤 특정한 문학에 의해) “철학에서의 말하는 주체의 자리(emplacement)패인 공백’[텅빈 공간]이라는 통념을 주제화하는 위반에 대한 서문이라는 제목의 텍스트를 (조르주 바타이유 전집의 서문으로) 출간합니다.[각주:27] 바로 한계-경험, 블랑쇼가 말과 사물 대한 1967년의 장문의 서평인 무신론과 글쓰기. 인간주의와 외침’(L’athéisme et l’écriture. L’humanisme et le cri)-- 서평은 사실 상당히 비판적인데, 서평에서 블랑쇼는 바깥의 사유 대한 메아리가 전혀 울리지 않게 하죠--까지 추가한 광기의 역사 대한 자신의 서평을 포함시킨, 1969 집필한 매우 (section) 제목이죠.[각주:28]

 

만일 우리가 이러한 성좌 전체를, 그리고 이러한 성좌의 대화적 구축(construction dialogique) 운동을 고려한다면, 우리는 바깥이라는 주제계를 언표행위 내에서 자기 고유의 현존을 무력화/중성화하는, 그리고 문학이 탐구할, 혹은 문학이 가능성을 예감(pressentir)하게 만들 화자’(혹은 블랑쇼가 말하듯 목소리)라는 심급과만 관계지어서는 된다는 점을 확인하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우리는 바깥이라는 주제계를 사유의 훼손(altération de la pensée)--인간적인 것을 극복하는 이로서의 니체적 초인 이에 대한 알레고리적 이름입니다--이라는 반인간주의적가설과 결합하기도 해야 하는 것이죠. 우리가 이미 알다시피 말과 사물에서 이러한 사유의 훼손은 인식론적 용어/관점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근대 에피스테메 한계들에서 (라캉적 재정초 이후의) 정신분석학과 (레비-스트로스적인 구조주의적개념화 내에서의) 민속학이 특히나 대표하는 대항-과학들’(혹은 대항-인간과학들)이라는 주제입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선 (도식적으로라고 하더라도) 1960년대의 텍스트들 내에서 푸코적 고고학(그리고 무엇보다도 그의 글쓰기) 특이성을 형성하는 바인 구조주의와 비극적인 사이의 기묘한 결합(combinaison)으로 되돌아올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블랑쇼는 내가 상상한 미셸 푸코에서 인간주의와 반인간주의라는 질문들이 주위를 회전하는 축으로서의 이단점으로서 바로 기묘한 결합으로 되돌아오게 되죠.[각주:29]

 

상기할 필요가 있는 번째 지점은 한계의 경험으로서의 위반 대한 1963 에세이에서의 분석과 대항-과학들’(인간적 본질 혹은 인간적 조건이 아니라 인간의 유한성의 표지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스처에 대한 1966년의 저서에서의 분석 사이의 절대적 연속성입니다. ‘위반에 대한 서문 말하는 한계의 경험은, 만일 한계의 경험이 동시에 하나의 한계-경험이기도 하다면, 유효한(effective) 경험일 것입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한계의 경험은 칸트적 주제계와 니체적이고 바타이유적인 기획과 동시에 교차하는 것이죠.[각주:30] 칸트에 대한 준거가 없다면, 경험의 가능조건으로서의 유한성에 대한 구성은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니체에 대한 준거가 없다면, 칸트를 칸트 자신의 고유한 인간학적 목표(혹은, “말과 사물 말하듯, ‘경험적-초월론적모티프)로부터 칸트를 해방시킬 가능성, 다시 말해 한계들에 대한 경험이 주체가 자기 고유의 언어에 대해 행사하는 장악(maîtrise)--심지어 적절히 한정지어진 하나의 공간 내부에서의 장악까지도-- 대한 확인(confirmation) 아니라 오히려 자기에 대한 장악 혹은 의식 전체에 대한 근본적/급진적 거부’(contestation)라는 점을 보여지게 만드는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게 됩니다.[각주:31] 무신론과 글쓰기에서 블랑쇼는 언어 (hors langage) 글쓰기에 대해 말하게 되는데, 이는 또한 우리가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역설적 위상학을 가리키는 하나의 방식이기도 하죠. , ‘내부성 속에서언어를 포착할 있는 가능성의 파괴(그렇다고 해서 외부성의 위치position--그로부터 언어의 한계들이 기술 가능하고 장악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 가능한 것도 아닌 그러한 파괴) 말입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푸코의 텍스트는, 법에 대한 위반과 경계에 대한 위반이라는, 위반 대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가지 의미들 사이에서의 말놀이 기반해 있는 것입니다. 이는 법이 하나의 경계이며, 법이 항상 경계가 그리는 선들 내에서 물질화되고, 법에 의해 유효하게(effectivement) 그려지고 정당화된 모든 경계는 항상 이미 위반되어 있는 것이라는 점을 의미합니다. 한계라는 관념의 모호성(amphibologie) 이러한 기술(description) 중심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가능한 경험의 한계들내부의 지식( 지식의 대상들) 대한 구성이라는 칸트적 관념에 준거함으로써, 이와 동시에 푸코는 바타이유와 함께 외부성의 모호함(équivoque)--내부성에 대한 반대(opposition)라는 관념과 내부성과 관계맺지 않는 절대적혹은 내재적 외부성이라는 관념 사이에서 진동하는-- 돌발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만일 바타이유가 자신의 주저의 제목을 내부적 경험(L’expérience intérieure)으로 선택했다면, 이는 바로 바깥 (dedans) 합리적으로 경계짓는 것이 아니라 (합리성의 규범들이 언어 자체에 의해 느슨해지거나 폐기될 ) 바깥자신의 고유한 와해로부터 돌발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말과 사물 결론편은 이와 다른 것을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인간과학들 위해 객관성의 영역에서 인간’(혹은 인간적인 ) 구성하는 대신, (최소한 구조주의적 재정초 내에서의) 정신분석학과 민속학은 인간의 한계들에 대한 언표행위를 위해 인간을 해소하는(dissoudre) 기획에 착수합니다. 따라서 정신분석학과 민속학은 유한성의 분석론에 대한 부정적 첨점(pointe), ‘비판 자체를 넘어서는 비판적 첨점을 형성합니다.[각주:32]    

 

하지만 한편에서 (인간학적 객체-주체로서) 인간의 이미 예견된 사라짐으로 나타나는 바는 다른 한편으로는, 단순히 고전주의 시대의 담론의 질서 회귀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자기충족성 혹은 중심성이라는 형상을 해체’(défait)하는 것으로서의, 사유의 언어의 존재 점점 끈질긴/지속적인 돌발로 동시에 나타나 결국 [대문자] 동일자의 사유를 [대문자] 타자의 경험으로 전도하게 됩니다.[각주:33] 그런데 이러한 유한성의 열림과 제약 내에 사로잡힌(prise) 유한성의 경험[각주:34]으로서의 존재인 언어의 (포착 불가능한) 존재와 맺는 이러한 관계로부터, 만일 대항-과학들이 지식의 내의 인식론적 증인이라면(그리고 여기에서 우리는 푸코가 구조언어학에 대해 행했던 기묘한 독해에 대해 주해를 시간을 가져야만 합니다), 바로 우선은 초현실주의와 함께 (…) 다음으로는 점점 순수하게 카프카, 바타이유, 블랑쇼와 함께, 문학[ 바로 - 발리바르] 경험/실험(expérience)으로 주어지는 입니다.[각주:35]

 

그러나 사실 여기에서 우리는 광기의 역사에서 개시된 테제의 연속성과 다른 것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전혀 아닙니다. 테제란, 코기토(혹은 코기토의 유한성, 코기토가 은닉하는 진리에 대한 코기토 자신의 성찰 혹은 코기토 자신의 접근 불가능성의 지주) 이면을 동시에 형성하는 비사유 다가가기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유일한 접근로가 바로 말할 없는 것의 담론--, 합리성에 대한 문학의 과잉에 의한 광기의 경험이 반영하는 주체 없는담론, ‘저작의 부재혹은 하지 않음이라는 저작, 변증법적 지양(dépassement) 혹은 부정성의 합리화가 아니라 비극적 경험/실험이라는 저작--이라는 역설이라는 것이죠.

 

고야의 경우처럼 사드의 경우에도 비이성은 어둠 속에서 계속 잠깨어 있지만, 깨어있음으로 말미암아 새로운 힘들(pouvoirs) 관계를 맺는다. 비이성의 과거 모습이었던 -존재(non-être) 이제 파괴의 역량(puissance) 된다. 사드와 고야를 통해 서양 세계는 폭력 속에서 이성을 지양(dépasser)하고 변증법의 약속을 넘어 비극의 경험을 되찾을 가능성을 결실로 거두었다. 사드와 고야 이후로 비이성은 모든 저작에서 근대 세계에 대해 결정적인 , 다시 말해서 모든 저작이 내포하는 살인적이고 강압적인 것에 속한다. (…) 니체의 광기나 고흐의 광기 또는 아르토의 광기는 아마 깊지도 깊지도 않게일 터이지만 전혀 다른 세계에 토대를 두고서 그들의 저작에 속한다. (…) 광기와 저작 사이에 지속적인 타협도, 교환이나 언어들 사이의 소통도 없었다. 광기와 저작의 대립은 예전보다 훨씬 미묘하고, 광기와 저작의 분쟁(contestation) 이제 용서가 없는 것이 되었으며, 광기와 저작의 작용[대결](jeu) 생사가 걸린 문제가 된다. 아르토의 광기는 저작의 틈새로 슬그머니 끼어들지 않고, 정확히 저작의 부재, 부재의 지겹게 되풀이되는 현존, 결코 끝나지 않는 저작의 모든 차원에서 경험되고(éprouvé) 측정되는 근본적 공백이다. (…) 광기는 저작의 절대적 단절이고, 시간 속에서 저작의 진실에 근거가 되는 소멸의 계기를 형성하며, 저작의 외부적 가장자리, 저작의 붕괴선, 공백을 배경으로 저작의 윤곽을 나타낸다.[각주:36]

 

이러한 대면들을 통해, 내부성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바로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부터 내부성의 표지들을 감산시킬[빼버릴] 있는 언어의 고유한 능력을 외시하는 바로서의 바깥 사유에 문을 열어주는 위반 대한 자신의 문제설정 내에서, 푸코가 다음과 같은 가지 도식 혹은 가지 위상학을 유비적으로 포개어놓았다는 점을 확인하게 됩니다. 번째로, 제도적 모델이 바로 감금인 내부적 배제 혹은 내부에 의한 배제라는 도식 혹은 위상학, 번째로, 배제를 자체로는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혹은 비가시적인 으로) 만드는 외부성의 과잉(혹은 외부성의 너머)이라는 도식 혹은 위상학. 이러한 도식 혹은 위상학의 포갬이 바로 푸코로 하여금 금지(혹은 ’) 불가능성(혹은 구조’) 동시에 속하는 것으로 사유의 비사유 명명할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3. 푸코의 자기비판 -다른 이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쥐디트 르벨이 훌륭한 주해를 제시했던- 여백성에 대한 매혹, 그리고 [이와 동시에] 여백성에 대한 매혹으로부터 벗어나기(déprise) 실행(opération) 보여줍니다.[각주:37] 예를 들어 푸코의 자기비판은 토마스 사스(Thomas Szas) 저작에 대한 프랑스로의 수입과 관련해 1976 피에르 베르네르(Pierre Werner) 행했던 인터뷰(르벨 또한 인터뷰를 인용하죠)에서 표현됩니다.

 

성급하게 좌익주의적인, 격정적으로 반정신의학적 혹은 집요하게 역사적인 담론들은 이러한 [광기라는 - 발리바르] 작열점[foyer incandescent, 빛나는 중심] 접근하기 위한 불완전한 방식들에 불과합니다. (…) 광기--혹은 비행이나 범죄-- 절대적 외부성으로부터 우리에게 말을 건다고 믿는 것은 허상입니다. (…) 여백은 하나의 신화입니다. 바깥의 말은 우리가 끊임없이 회귀하고 마는 그러한 몽상[ ]입니다.[각주:38]

 

이러한 [푸코의 자기]비판은 문학을 통한 저항/거부/논박/이의제기’(contestation)라는 관념으로까지 확장되며, 미친 영웅 혹은 상상적 범죄자를 불명예스런 사람들’(이름을 알리지 못했으며, 따라서 전혀 알려지지 않은, 문서고에만 파묻혀 있다는, ‘불명예스런 어원적 의미에서[각주:39]) 대체하도록 이끕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피에르 리비에르는 법의 위반에 관한 숭고한 언어로 말하지 않으며, 대신 규범의 부여에 대한 지각 불가능한 저항을 실천하죠. 이제부터 주체화는 푸코가 계보학을 형성(faire)하기 위해 사목권력이라고 부르는 바의 논리들을 현대라는 시기로 이동시키는 통치성’[이라는 개념] 경유하는, 품행들의 개별화[개인화] 과정으로 사고됩니다.[각주:40] 이는 편재하는 권력이면서도 주권/지배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권력이며, 푸코에 따르면 이는 심지어 권력이 복종을 목적으로 영혼들의 가장 비밀스러운 것에(in interiore homine habitat veritas) 영혼들을 예속화하고자 하지 않으며 대신 규율화된 활용을 위해 신체들을 예속화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과도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것입니다. 푸코가 지점에서 활용하는 새로운 이론적 장치는 그로 하여금 내부적 배제(‘비정상인들일반에 대한 내부적 배제) 효과들을 권력관계의 산물로 이해할 있게 해줍니다(이는 대항-권력들의 저항에 노출된 역사적으로 특수화된 권력들을, 그리고 권력들의 효율성의 완전화를 목적으로 대항-권력들의 저항까지도 착취/활용하는 그러한 권력들을 항상 의미하는 것이죠). 그렇지만 이론적 장치에서 중심(foyer) 여전히 빛나는 ’(incandescent)으로 남아 있습니다. 아마도 어느 때보다도 그러할 것입니다. 게다가 여전히 어둠 속에서 말이죠.

 

그런데 그럼에도 도대체 어떠한 의미에서 우리는 [푸코의 자기비판 이후에도] 우리가 여전히 바깥의 사유 관계하고 있다고 말할 있는 것일까요? 생각에 우리는 지점에서 외부성이라는 관념의 이중적 의미로부터 다시 출발해야 같습니다. 하지만 이중적 의미를, 최소한 근사적 의미에서는, 위반이라는 도식에 대한 검토에서 우리가 대면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순서로 취함으로써 말이죠. 우선 이는 권력관계들이, 비록 권력관계들이 권력관계들에 공통적인 명목적 정의의 대상이, 특히 주체성을 정의하는 다른 양식들에 대해 권력관계들이 지니는 차이를 드러나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는 명목적 정의의 대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으로 이질적이라는 점을 의미합니다. 정확히도 바깥의 정치학’(La politique du dehors)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1977-1979 푸코의 콜레주 프랑스 강의들에 대한 매우 아름다운 주해에서, 브뤼노 카르상티는 점을 강조했습니다.[각주:41] 카르상티는 18세기와 19세기 사이의 전환기에 앙시앙 레짐과 앙시앙 레짐의 내치 국가’(État de police) 뒤를 잇는 새로운 사회를 위한 정치() 발명을 공격하는 이질적인 가지 길들’(/권리droit 절합된 혁명적 ’, 그리고 경제에 대한 통치에 절합된 근본적/급진적 ’, 공리주의적 ) 사이의 대립이 어떠한 이유에서 하나의 변증법적 논리가 아니라 하나의 전략적 논리에 속하는 것인지를 푸코가 설명하는 강의인 (“생명정치의 탄생) 1979 1 17 강의의 핵심적인 구절을 인용합니다. 

 

그리고 이질성이 결코 배제의 원칙이 아니라는 것을 숙지해야만 합니다. 반복하자면 이질성은 결코 공존, 접합, 연결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바로 여기에서, 이런 종류의 분석 내에서, 속단에 빠지지 않기 위해 변증법이 아닌 논리가 사용되고 사용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변증법이 어떤 것이기에 그러는 것일까요? 변증법적 논리, 그것은 서로 모순되는 여러 항들을 동질적인 것의 영역 내에서 작동시키는 논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변증법의 논리를 대체하기 위해 저는 제가 전략의 논리라고 부르는 바를 제안합니다. 그리고 전략의 논리는 서로 모순되는 여러 항을, 모순이 하나의 통일성 내에서 해소됨을 약속하는 동질적인 것의 영역 내에서 활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전략의 논리는 조화롭지 못한 항들 간에 있을 있는 연결이 무엇인지 결정하는 것을 기능으로 합니다. 전략의 논리는 이질적인 것을 연결하는 논리이지, 모순적인 것을 동질화하는 논리가 아닙니다.[각주:42] 

 

이는 하나의 근본적인 혹은 규범으로부터의 총체화, 통일화 그리고 파생화[연역](dérivation) 도식들-- 도식들은 주권/지배의 체제에 특징적인 것들이며, 또한 역으로 도식들은 복종을 통한 주체화를 규정(commandent)하는 것이죠-- 각각의 권력관계의 기능작용 혹은 장치에도, 어느 사회의 일반경제-- 일반경제에는 전략이라는 통념이 정확히 부합하며, 혹은 일반경제는 예속화와 주체화의 여러 양식들 사이의 공존의 장으로 존재하기도 합니다--내의 서로 다른 권력관계들 사이의 절합에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또한 이는 이러한 공존 자체가 관계망들(réseaux) 연결(connexions) 형성(formations) 도출한다는 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연결이 우선적으로 자신의 힘의 선들 혹은 구부러진 선들을 부여하는, 그리고 자신의 장소적 차이화들을, 용어의 일반적 의미에서 자신의 헤테로토피아들 부여하는, 그러한 하나의 구체적 공간(espace) 형태가 아니라면, 연결이란 도대체 무엇이겠습니까?[각주:43]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의미에서의 공간이라는 것이, 모든 차이화와 모든 갈등이 공간에 내재적(immanent)이며 공간의 확장에 기여하기 때문에, 내부성 등가물로도 또한 사고될 있다는 점을 확인하게 됩니다. 역사에 의해, 혹은 제도에 의해, 혹은 총체화하지 않으며 대신 개별화하는 (푸코가 사목이라고 부르는, 역사적으로 가소성 있는plastique) ‘권력들의 권력’(pouvoir des pouvoirs)이라는 도식에 의해 고정된 (변이의) ‘한계들 대한 내부성을 말이죠. 그렇다면 주권/지배의 속성들( 총체화와 유일성unicité) 이질성을 환원하기를 원하지 않음으로써, [역설적으로] 우리는 이질성을 내재성의 속성들( 수평성과 상호행위) 환원할 위험 또한 가지게 됩니다. 외부성으로 개념화된 내재성이 자신 또한 정치의 바깥 같은 과잉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면 말입니다. 카르상티를 다시 인용해보겠습니다.

 

푸코의 관점은 다음과 같은 문턱에 정확히 걸려 있다. 한편으로, 우리는 (…) 왜냐하면 정치는 외부성을 대신할 있었던 바를 제거(résorber)하지 않고 이를 흡수(absorber)했기 때문에, 그리고 이를 권력의 장치들의 원동력 자체로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가 정치의 경험과는 다른 정치의 경험이 무엇일지 실증적으로 수가 없다는 점을 (…) 인정해야만 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푸코는 또한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불가피성(inéluctabilité) 시작되었던(s’est nouée)[ 맺어졌던] 지점을 보라. 이를 통해, 투쟁들의 중심에 항상 존재해 왔던 이러한 훼손되지 않은 전도(conduction inaltérée)[순수한 형태의 전이]라는 형태를 가지지 않을 대항-품행이 무엇일지를 상상해보려 노력하라(…). 당신은 이를 해낼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찌 되었든 정치는 우리가 생각하는 그러한 밀도(compacité)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며, 또한 정치란 근본적으로 불순하고 혼합적인 이질적인 것의 연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구 정치가 구현하는(incorpore) 것과는 다른 유형의 바깥을 재구성함에서, 모든 의거점들은 전략적 차원에서 적절한 것들이다. 어떠한 장소에서부터 우리가 이러한 의거점들에 대해 질문해보는지를 안다는 조건에서 말이다(…). 하지만 그러므로 사람들이 당신이 작용[내기판] (hors du jeu) 존재한다고, 당신은 사실 정치 자체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었다고[정치 바깥에 있다고] 항상 당신에게 말할 있음 또한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각주:44]

 

작용[내기판] 내에서 작용[내기판] 밖에서’, 이는 공간적 표상에 고유한 (연결과 밀도의) 위상학적 결정요소들을 과잉결정하는 동역학적이고 갈등적인 차원의 도입입니다. 따라서 이는, 심지어 변증법 없이도, 이러한 표상에 의해 규정되지(commandée) 않으며 대신 힘관계들이라는 관념(여기에서 전략적이라고 말하는 그러한 관념) 자체에 의해 규정되는 그러한 바깥 사유를 제안하는 것이죠. 우리는 주체와 권력이라는 텍스트에서 푸코가 명료히 설명했던 (그리고 통치성이라는 동시대 계보학들 내에서 적용된) 다음과 같은 주제계를 여기에서 발견하게 됩니다. 권력은 하나의 관계이지만, 관계는 특정한 몇몇 행위들이 별로 효과적이지 않은 양식인 제약(contrainte)으로부터 [효과적인 양식인] 조절(régulation), 혹은 타자들의 품행들에 대한 품행’, 효율성을 극대화(혹은 절약’)하는 양식으로 나아감으로써 다른 행위들에 작용할 특정한 몇몇 행위들이 증거하는 효율성과 특수하게 관계되어 있다는 주제계를요. 그러한 상호행위주의(interactionnisme) 모든 행위들혹은 품행들 이질적인(혹은 비타동적 자유로부터 변용된) 것으로 사고함과 동시에 행위들혹은 품행들 내재면(plan d’immanence) 내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상호행위주의는 가능 공간의 구축(“타자들의 잠정적 행위의 장을 구조화하기[각주:45])으로서의 사회 내에서 권력(혹은 권력의 장치들’) 효과들을 표상할 있게 해줍니다.[각주:46] 하지만 또한 이와 동시에, 상호행위주의는 자유의 비타동성(혹은 갈등의 전략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권력들과 저항들(푸코의 작업은 저항들에 대한 풍부한 현상학을 제공해주는데요, 불법행위, 일탈, 비정상성, 불복종 등등이 그것이죠) 작용’(jeu) 내재하는(inhérentes) 한계들-- 한계들 위에서, 본질적으로 예견 불가능한 방식으로, (권력이 촉발하는 저항들 자체에 대한 권력의 효과성 내로의 통합을 통한) 권력의 강화와, (만일 우리가 푸코의 이론화 다른 계기로부터 용어를 차용한다면 우리가 일반적인 방식으로génériquement 헤테로토피아라고 부를 있을) 기존 권력에 대해 근본적/급진적으로 이질적인 자유의 체제를 향한 미끄러짐, 사이의 양자택일이 작동(se joue)합니다-- 예상할 있게 해줍니다. 헤테로토피아 일반은 작용을 수행하지 않는(ne jouent pas le jeu), 권력의 관계들(relations) 내에서 소화되지 않거나(indigestes) 다시 획득할 없는(irrécupérables) 그러한 품행들--비록 품행들이 다른 관계들(relations) 촉발해야 한다고 해도-- 전개되는 장소, 혹은 오히려 품행들이 자기와 자기의 관계와 자기와 타자들 사이의 관계라는 다른 관계를 수단으로 창조해내는 그러한 장소를 의미할 것입니다. [비아 네가티바, 부정신학에서와 같이] 하나의 부정성(négativité) 표현하기보다는 하나의 대안적 실정성(positivité alternative), 하나의 긍정적 거부’(refus affirmatif) 표현할 이러한 분기점에서(푸코는 이러한 분기점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했는데요, 그는 분할’, ‘전도점’, ‘불복종점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죠[각주:47]), 어떠한 내부성과 관련된(relatif), 이러한 내부성에 대립하는 그러한 바깥 아니라, 내재적인, 혹은 단지 자기 자신에만 관련된, 심지어 자기 자신에만 대립되는 그러한 바깥 사유할 있는 가능성이 새롭게 존재하게 되는 같습니다. 이러한 사유는 아마도 블랑쇼로부터 유래하는 것은 아닌 같은데, 그렇지만 사유는 19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푸코가 성찰하지 않을 없었던 핵심 텍스트에서 블랑쇼가 (의미의 통일성으로의 진보의 계기, 비록 의미의 통일성을 파편화하고 방해하며 교란을 일으킨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공통의 말의 작용jeu 여전히 행하는 그러한 단절로서 자신이 이전에 대화적 혹은 변증법적 중단이라고 불렀던 바와, 그리고 그가 더욱 수수께끼적이고 더욱 심각한 다른 종류의 중단이라고 불렀던, 축소 불가능한 거리를 측정하는 바를 세심하게 구분하고자 노력하면서) ‘중단’(interruption)이라고 불렀던 바와 (비록 문자적인[축자적인] 것일 뿐이라고 해도 어쨌든) 어떠한 친화성(affinités) 가지고 있습니다.[각주:48] 무한성과 기이성의 관계(relation) 담지하는것으로서의 말의 경험에 조응하는 이러한 번째 종류의 중단에, 블랑쇼는 “[타자를 - 발리바르] 무한히 (moi) 바깥에 남겨두는 간극(intervalle), 하지만 또한 이러한 중단 자체 위에서 타자와 내가 맺는 관계를 정초한다고 주장하는 그러한 간극”, 달리 말해 이질적인 것의 돌발 위에서 간극과 내가 맺는 관계를 정초한다고 주장하는(prétend) 그러한 간극 존재의 중단(interruption d’être)이라는 이름을 예비해 놓았습니다.[각주:49][각주:50]

 

따라서 제가 푸코의 자기비판이라고 불렀던 바는 역설적 효과들을 만들어냅니다. 푸코의 자기비판은 문학적 공간에 대한 블랑쇼적 개념화의 (그리고 이와 평행하게 바타이유의 반복répétition) 영감을 받은 바깥의 사유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한계와 위반에 대한 푸코의 이론화가 내부성과 외부성 사이에서 확립했던 관계를, 구성적 내부성의 가장자리(bord)에서 외부성 혹은 타자성의 극단, [대문자] ‘바깥 발견함으로써, 해체(dénouer)하는 것처럼 보입니다.[각주:51] 동시에 푸코의 자기비판은 외부성의 관점(권력의 관계들relations 대한 기술description로서의 실증주의’ - 극대화된 효과성의 획득을 위해 권력의 관계들relations 저항들의 힘으로 통합되는 것까지도 포함하는) 자기의 배려와 자기 통치에 대한 추구(recherche)( [후기 푸코의 탐구 혹은] 추구에서 몇몇 이들은 인간주의의 회복과 주체성의 우위의 회복을 보고자 했죠) 특징지어지는 내부성의 관점(혹은 최소한 성찰성의 관점) 사이의 진부한 동요로 되돌아오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아마도 모든 것은 하나의 외양(apparence) 불과한, 혹은 관계들(relations)이나 관계들(rapports)이라는 질문에 이제부터 부여된 중요성이 이끄는 논리적 실행들(opérations) 대한 푸코의 신중함이 유도하는 너무 성급한 독해의 효과에 불과한 아닐까요? 비록 역설적이라고 할지라도, 오히려 푸코의 자기비판은 역의 방향으로, 그러니까 어떤 의미에서는 바깥으로부터’(du dehors) 읽혀야만 합니다. (권력의 불복종점혹은 전도점에서) 권력관계들의 외부성의 중심에 자리하는 내부성 혹은 내부성 효과 자기에 대한 동일성(identité à soi) 속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이미 알다시피) 자기의 변형(transformation de soi) 속하는 것이라고 말이죠. 어느 때보다도 , 자기는 내가 타자라는 점을 느끼(éprouve) 있습니다.[각주:52] 자기는 어떠한 의미에서는 회고적으로/사후적으로(rétroactivement) ‘내가 타자라는 점을 느끼고 있죠. 그리고 이와 동시적으로 푸코가 항상 우리의 품행이 행위와 맺는 권력관계들 혹은 예속관계들이 우리를 개별화’[혹은 개인화’]하고 주체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듯, 또한 우리는 그러한 변형을 다양한 양태들-- 양태들 하에서, 우리를 권력의 행위에 노출시키면서도 동시에, 우리는 품행을 중단(interrompre)시키는 기획에 착수합니다-- 관계맺도록 해야만 합니다. “작용을 수행하지 않기”(Ne pas jouer le jeu) 작용의 규칙(règle) 내에서 작용을 영속시키지 않으면서도 작용 내에서 존재하는 하나의 방식인 것입니다.[각주:53]

 

4. 따라서 어떻게 바깥의 사유 내부 외부사이의 관계라는 고전적 아포리아들과 마주하게 되는지, 하지만 또한 어떻게 바깥의 사유 외부성에 대한 취급 속에서 공간적 표상들에 대한 지도적 기능을 다시 의문에 부침으로써 아포리아들을 문제화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지의 질문은 바깥의 사유 관한 이러한 재독해들에서 영원한 배경을 구성하게 것입니다. 들뢰즈는 지점을 완벽하게 식별해 내었죠. 블랑쇼--푸코는 명백히 바로 블랑쇼 곁에서 주체를 자기 바깥으로 회복 불가능하게 추방하기 위해서만이 주체의 말을 수용하는 이러한 역설적 공간으로서의 언어를 사유하기 위한 수단들을 찾았죠--에게 할애한 1966년의 에세이에서부터 존재의 미학이라는 관념-- 관념 내에서 자기의 통달(maîtrise) 혹은 자기의 통치의 독립성은, 위반, 저항, 익명성, 편향(déviation), 더욱 일반적으로 말해 헤테로토피아들 혹은 대항-자리들’(contre-emplacements) 초래하는 대항-품행들이라는( 대항-품행들 바로 헤테로토피아들 혹은 대항-자리들에서 자신들의 안식처를 발견하는 한에서) 형상들을 편력함으로써, 독립성의 양태들 자체의 변형으로 구축되죠--에까지 이르는 바는, 바로 이러한 공간적 혹은 공간화하는(spatialisante) 표상의 한계들과 위상학과의 끈질긴 대결(affrontement)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결이 전제하는 바는, 내부성과 외부성의 구분[할당](assignation), 그리고 내부성과 외부성의 교환이라는 작용’(jeu) 혹은 내부성과 외부성의 상호대체라는 작용 내부성과 외부성의 상보성을 우리가 개념화하는 방식, 혹은 정반대로 내부성과 외부성을 근본적/급진적으로 이질적인 것으로 만들어내는 방식, 이것이 대상성/객체성/객관성(objectivité)--그것이 물리-우주론적인 것이든, 혹은 특히 경우에는 역사-문화적인 것이든-- 구성하는 서로 다른 가능성들 뿐만 아니라 사유가 스스로를 스스로 사유하는 방식 혹은 사유가 스스로를 스스로 사유하기 위해(하나가 다른 하나만큼이나 내재적인 여러 결정요소들로, 사유가 언어와 맺는 관계와 사유가 권력 혹은 제도와 맺는 관계를 서로가 밀접하게 연결되는 방식으로 포함시키면서) 스스로를 대상화/객체화/객관화하는 방식 또한 개진한다는 점입니다.[각주:54] 결국 이러한 대결이 전제하는 (여전히 저는 들뢰즈와 들뢰즈의 푸코 독해에 관해 말하고 있습니다) 사유의 표상들에 대한 비판이 관계들(relations)(혹은 관계들rapports) 대한 하나의 논리의 구성을 통과한다는 것인데, 구성 내에서 내부와 외부의 결정은 하나의 사전적 도식화와 같은 것이 아니라 관계들(relations) 변형들(transformations) 대한 하나의 양태와 같은 것일 것입니다. 우리는 푸코에게서, 최소한 어떤 특정한 계기에서부터는(저는 담론의 질서 이미 이를 나타내기 시작한다고 주장하고자 하는데요), 모든 관계가 힘들의 관계 사유된다는 들뢰즈의 주장에는 완전히 동의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푸코의 관념이 관계의 사유를 힘들’(혹은 생명의 힘들forces vitales) 사유 아래로 포섭하도록 이끈다는 들뢰즈의 주장(결국 이러한 들뢰즈의 주장은 주름혹은 주름화라는 이름으로 외부성을 내부성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아가버리는데, 이는 내부성을 주체화의 토대, 주체화의 존재론적 지표로 만들기 위한 것이죠) 논박해야 합니다. 역설적으로, 비록 이러한 들뢰즈적 관념이 유심론보다는 생기론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들뢰즈적 결론은 외부성의 내부성으로의 지양, 변형, 위치변화로서의 주체의 생성(혹은 실체의 주체-생성)이라는 헤겔적인 변증법적 거대서사와 다시 조우하게 되지요. 이로부터 최소한 우리는 들뢰즈의 철학적 -전제들에 대해 다시 검토해보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러한 파생화[연역](dérivation) 멈추어야 합니다.

 

들뢰즈의 철학적 -전제들은 사유의 형이상학에 대한 모든 동시대적 탈구축들의 숨겨진 원천인 칸트의 텍스트와의 긴밀한 대립을 통과하는데요, 여기에서 제가 말하는 것은 [칸트의 텍스트] ‘반성개념들의 모호성(amphibologie) 관하여 (아마도) 헤겔적 본질논리학 공간의 시간으로의 내부화를 함축하는 역사성 혹은 과정이라는 관념(반면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공간의 공간으로의 외부화죠) 위해 이러한 모호성을 지양’(relève, aufhebt)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는 발표와는 다른 연구가 취해야 대상일 것입니다. 하지만 어쨌든 그러한 연구는 무한한 대화 동일하게 재수록된, 블랑쇼의 1962 에세이( “121 선언혹은 불복종 권리선언 집필 바로 직후인) ‘3 장르의 관계(지평 없는 인간)’[각주:55]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겠지요. 또한 모호성(amphibologie)이라는 질문을 취급하는데요, 하지만 이번에는 지양 없는 갈등과 텔로스(telos) 없는 생성의 양태들이 여기에서 대립들(oppositions) 관계(rapport) 대한 개념화(conceptualisation) 무매개적으로 통합된다는 의미에서 포스트-헤겔적인(그리고 포스트-니체적인) 취급이죠. 

 

5. 저는 제가 바깥의 사유라는 기호 아래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푸코를, 그의 궤적의 전체성(intégralité) 내에서, 이러한 정식화들의 흔적(trace) 혹은 계보(descendance) 안으로 넣을 있을지 확신하지는 못합니다. 아마도 이와는 정반대로 우리는 푸코가 이러한 정식화들로부터 끊임없이 멀어진다고 주장해야 하겠지요(또한 이는 푸코를 상상하고자 하는, 혹은 자신과 푸코 사이의 가까움proximité 정도를 사후적으로 특징짓고자 하는 블랑쇼가 마주하게 되는 명백한 당황스러움을 설명해줄 것입니다). 하지만 푸코가 타자성 혹은 자기 자신과는 다른 이로의 생성을 주체의 진실’(vérité) 만들 뿐만 아니라 또한 더욱 정확히 낯섦(étrangèreté)(Verfremdung 뿐만 아니라 Veräusserung 의미에서, 그러니까 외부에서 발견되는, 혹은 정확히는 우리가 시도할 있는 경계 위반의 모든 경험들/실험들 내에서, 경계 위에서 발견되는 그러한 낯섦[각주:56]) 용어의 완전한 의미에서 관계--자기에 대한 관계와 타자들에 대한 관계를 상관적으로 모두 포함하는 그러한 관계-- 조건 자체로 만들기도 한다는 그러한 테제를 푸코가 자신의 핵심 원리로 항상 유지해 왔다고 우리가 제안할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론의 여지 없이 가장 명백한 낯섦, 이는 아마도 언어의 낯섦일 것이며, 푸코는 블랑쇼의 흔적들 위에서 언어의 낯섦으로부터 출발합니다. 가장 예상치 못한 낯섦, 그것은 아마도, 특히 (단순히 하나의 정서이기만 것이 아니라 하나의 행위이기도 그러한 것으로서의 - 그리스인들이 원했듯 하나의 수동성에 대해 행해지는 행위이든, 근대인들이 원하듯 다른 행위에 대한 행위, 하나의 권력이든 말이죠) 사랑 속에서 경험되는 낯섦으로서 고유한 신체’(corps propre) 낯섦일 것인데, 푸코는 고유한 신체 1967년의 강연들에서 헤테로토피아의 상관항(혹은 아마도 극단적 경우cas) 취했습니다. 점에 대해서 저는 헤테로토피아들 상관항으로서 유토피아적 신체 대해 푸코가 행한 라디오 방송을 대상으로 (Materiali foucaultiani 출간된[각주:57]) 필립 사보(Philippe Sabot) 분석들을 참조하실 것을 여러분께 권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언어의 낯섦과 고유한 신체의 낯섦이라는 가지 경험들을, 가지 경험들의 경험의 다른 경험에 대한 수수께끼적인 외부성 내에서 혹은 가지 경험들의 불안정한 결합(composition) 내에서, (우리는 -존재préexistons하지 않으며 대신 항상 우리는 우리를 구성하거나 우리를 현재의 우리 만드는 그러한 관계들rapports 혹은 관계들relations 이후에 존재한다suivons 점에서) 회복 불가능하게 우리들 바로 자신인 바깥 도주점으로 지시하기 위해, 연결하는 것일 것입니다.[각주:58] []   





  1. [옮긴이] 이 번역본은 프랑스의 저명한 푸코 연구자 쥐디트 르벨(Judith Revel) 등이 편집해 2017년 Éditions de la sorbonne에서 출판한 Foucault(s), 즉 ‘복수의 푸코들’이라는 논문모음집에 수록된 발리바르의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와 모리스 블랑쇼(Maurice Blanchot), 그리고 질 들뢰즈(Gilles Deleuze)에 관한 논문 “Pensée du dehors? Foucault avec Blanchot”를 완역한 것이다. 사실 한국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이 주제에 대해서는 프레데릭 그로의 주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웹진 인무브(www.en-movement.net)에 실린 ‘문학적 경험’을 참조하고, 들뢰즈의 푸코 해석에 대해서는 “고쿠분 고이치로의 들뢰즈 제대로 읽기”, 고쿠분 고이치로 지음, 박철은 옮김, 동아시아, 2015의 5장 ‘욕망과 권력-정치’를 참조하라. 블랑쇼를 중심적으로 다루는 이 텍스트는 굉장히 난해하기 때문에 과도한 원어병기를 피하기 위한 목적에서, 게다가 이 번역이 정식 출판을 겨냥한 것은 아니기에, 불필요해 보이더라도 몇 가지 번역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또한 원문 자체가 워낙 난해해 가독성을 해치더라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슬래쉬로 여러 뜻들을 모두 병기해주었다). marque는 ‘표지’로, excès는 ‘과잉’으로, homme은 ‘인간’으로, l’humain은 (조금 과도한 번역일 수도 있지만) ‘인간’이 아니라 ‘인간적인 것’으로, (fil directeur와 동의어인) fil conducteur는 ‘핵심 원리’로, radical은 ‘근본적/급진적’으로, fondamental은 ‘근본적’으로, (‘사고’로 번역해도 무방한) pensée는 일관되게 ‘사유’로, 그래서 impensé, 즉 ‘사유 혹은 사고되지 않은 바’는 ‘비사유’로, dehors는 ‘바깥’으로, 그래서 pensée du dehors는 ‘바깥의 사유’로, expérience du dehors는 ‘바깥의 경험’으로, dedans은 ‘안’으로, appropriation은 ‘전유’로, expropriation은 ‘수탈’로, intérieur는 ‘내부적’으로, intériorité는 ‘내부성’으로, intrinsèque는 ‘내재적’으로, immanent은 원어병기한 ‘내재적’으로, immanence는 ‘내재성’으로, extérieur는 ‘외부적’으로, extériorité는 ‘외부성’으로, énonciation은 ‘언표행위’로, énoncé는 ‘언표’로, expérience-limite는 ‘한계-경험’으로, dénoter는 ‘외시하다’로, dénotatif는 ‘외시적’으로, référentiel은 ‘지시적’으로, référence는 ‘참조’ 또는 ‘준거’로, renvoyer와 référer는 (대부분) ‘준거하다’로, renvoi는 ‘상호준거’로, singularité는 ‘특이성’으로, singulier는 ‘특이한’으로, particulier는 ‘특별한’으로, (기존 발리바르 번역 관행에 따라) notion은 ‘통념’, concept는 ‘개념’으로, parole은 (‘파롤’이라고 음차하는 경우도 많지만) ‘말’로, dicible은 ‘말할 수 있는’으로, indicible은 ‘말할 수 없는’으로, visible은 ‘가시적’으로, invisible은 ‘비가시적’으로, altérité는 ‘타자성’으로, rapport de force는 (‘세력관계’로 의역해주는 경우도 많지만) 여기에서는 일관되게 ‘힘관계’로, 마찬가지로 force는 일관되게 ‘힘’으로, programmatique은 ‘강령적’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어휘로 뉘앙스까지 모두 살려주는 한국어가 없어 ‘프로그램적’으로, (사실 뉘앙스를 고려하자면 정확히는 ‘체크’라는 의미를 지니는) contrôle은 ‘통제/관리’로, dispositif는 ‘장치’로, terme는 ‘용어/관점’으로, place는 (position과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위치’보다는) ‘자리’로, emplacement은 원어병기한 ‘자리’로, absence는 ‘부재’로, présence는 연구자 진태원을 따라 (‘현전’보다는) ‘현존’으로, expérience는 프랑스어에서 영어와 달리 ‘경험’과 ‘실험’이라는 의미 모두를 지니므로 (조금 과잉번역일 수도 있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경험/실험’으로, contre-science는 (anti-science로서의 ‘반-과학’보다는) ‘대항-과학’으로, limite는 ‘한계’로, frontière는 ‘경계’로(사실 ‘한계’와 ‘경계’ 사이의 구별은 칸트적인 것인데, “칸트의 인간학에 관하여”, 미셸 푸코 지음, 김광철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2에서 옮긴이가 작성한 번역어 일람표를 참조하라), bord는 ‘가장자리’로, marge는 ‘여백’으로, marginalité는 ‘여백성’으로, norme는 기존 푸코 번역에 따라 ‘규범’으로, normalisation은 ‘정상화’로, insistant은 ‘끈질긴/지속적’으로, surgir는 기존 알튀세르 번역에 따라 ‘돌발’로, pli는 ‘주름’으로, plissement은 ‘주름이 잡히는 혹은 만들어지는 그러한 작용’을 뜻하므로 조금 어색하더라도 ‘주름화’로, saisir는 (‘이해하기’, ‘잡기’, ‘파악하기’ 등의 의미가 모두 들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일관되게 ‘포착’으로, conduite는 ‘행동’과 ‘품행’이라는 역어가 경쟁 중에 있는데 옮긴이의 경우 순전히 ‘행동’이 comportement의 번역어로 널리 쓰인다는 점에서 구분을 위해 이를 ‘품행’으로(그렇다고 ‘품행’이라는 역어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 것은 전혀 아니다), résistance는 ‘저항’으로,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쓰이는 단어인 contestation은 맥락에 따라 적절히 여러 단어들로, souveraineté는 ‘주권/지배’로, subjectivation은 ‘주체화’로, assujettir는 ‘예속화하다’로, assujettissement은 ‘예속’ 혹은 ‘예속화’로, a-subjectivité는 ‘비-주체성’으로, neutraliser는 ‘무력화’와 ‘중화’의 의미가 모두 들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블랑쇼의 문학적 철학과 관련해 ‘중화’보다는 ‘중성화’의 의미가 조금 더 강하다고 판단해 ‘무력화/중성화’로, neutre는 ‘중성적’으로, transcendantal은 ‘초월론적’으로, 그래서 empirico-transcendantal은 ‘경험적-초월론적’으로, thème은 ‘주제’로, thématique은 ‘주제계’로, discours는 ‘담론’으로, transgression은 ‘위반’으로, champ은 ‘장’으로, affect는 (기존 발리바르의 스피노자론 번역을 따라) ‘정서’로, affecter는 ‘변용하다’로, action은 ‘행위’로, ‘타동성’인 transitivité와 대립되는 intransitivité는 ‘비타동성’으로, incertitude는 ‘불확실성’으로, instable은 ‘불안정한’으로, traitement은 ‘취급’으로, étrange는 ‘기묘한’으로, formulation은 ‘정식화’로, topologie는 ‘위상학’으로, mode는 ‘방식’ 혹은 ‘양식’으로, modalité는 ‘양태’로, (‘효과성’, ‘효율성’, ‘유효성’ 모두를 의미하는) efficacité는 맥락에 맞게 ‘효과성’이나 ‘효율성’으로, effectif는 ‘유효한’으로, dépassement은 원어를 병기한 ‘지양’으로(relève는 원어를 병기하지 않은 ‘지양’으로), (블랑쇼와 푸코 사이의, 푸코와 들뢰즈 사이의 지적 대화라는 맥락에서 쓰이는) dialogique는 ‘대화적’으로, délinquence는 ‘비행’으로, déviance는 ‘일탈’로, anormal은 ‘비정상적인’으로, détermination은 맥락에 따라 ‘결정’ 혹은 ‘결정요소’로, vide는 맥락에 따라 적절히 우리말 ‘텅빔’ 혹은 한자어 ‘공백’으로, vitalisme은 ‘생기론’으로, spiritualisme은 ‘유심론’으로, 되돌릴 수 없다는 의미에서 ‘치유 불가능’ 혹은 ‘복구 불가능’을 의미하는 irrémédiablement은 ‘회복 불가능하게’로, présupposé는 ‘선-전제’로, point de fuite는 ‘도주점’으로, transposition은 ‘위치변화’로, devenir는 ‘되기’와 ‘생성’ 모두를 의미하지만 여기에서는 모두 ‘생성’으로, 거의 대부분 ‘권력관계’는 rapport de pouvoir이지만 아주 가끔 relation de pouvoir가 쓰인 곳에서 ‘권력관계’에는 원어 relation을 병기한 ‘관계’로(역시 rapport와 구분하기 위해 모든 relation은 원어병기한 ‘관계’로), totalisant은 ‘총체화하는’으로(물론 푸코의 논의와 관련해서는 ‘전체화’라는 역어가 더 많이 쓰이지만), 이와 짝이 되는 단어인 individualisant은 ‘개별화하는’으로 옮겼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만 더 지적하자면, 첫 번째로 jeu는 ‘작용’과 ‘놀이’를 동시에 의미하는 영어의 play의 동의어인데, en jeu는 ‘작용 내에 있는’ 혹은 ‘내기판 내에 있는’이라는 의미이고 enjeu는 이러한 맥락에서 ‘쟁점’ 혹은 ‘내깃물’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에서는 jeu를 ‘작용’으로 옮기면서도 원어를 대부분 병기해주었다. 왜냐하면 ‘실행’이나 ‘작동’을 뜻하는 다양한 단어들, 예를 들어 exerce, opération이나 뒤에 나올 à l’œuvre 등과 혼동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œuvre는 ‘행함’이나 ‘작업’ 혹은 행한 것의 결과로서 ‘저작’이나 ‘작품’을 뜻하는데, 그래서 동사 œuvrer가 작업 등을 ‘행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랑스어에서 많이 쓰이지만 한국어로 번역하기가 너무나 까다로운 à l’œuvre는 ‘작용/작동하고 있는’이라는 의미이고 mettre en œuvre는 ‘적용하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에서는 이 œuvre를 (‘작품’보다는) ‘저작’으로 통일해 옮긴다. 여기에 ‘탈’을 의미하는 de라는 접두사를 붙인 désœuvrement은 프랑스어에서도 거의 쓰이지 않는, 블랑쇼가 만들어 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단어인데, 이는 ‘안하기’, ‘하지 않음’, (장-뤽 낭시 전문가 박준상 교수의 “무위의 공동체”, 즉 La communauté désœuvrée의 역어를 참조하자면) ‘무위’ 등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사실 de의 의미를 살려 ‘탈위’라는 어휘를 선택하고 싶었지만 전혀 쓰이지 않는 인공적인 단어라 고심 끝에 ‘하지 않음’으로 옮겼다. 가독성이 높은 번역본을 생산하지 못해 독자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전하는 바이다. [본문으로]
  2. Gilles Deleuze, Foucault (1986), Paris, Éditions de Minuit, 2004. (이 저서의 가장 좋은 번역본은 “푸코”, 질 들뢰즈 지음, 허경 옮김, 동문선, 2003이다 - 옮긴이) [본문으로]
  3. Ibid., p. 98. [본문으로]
  4. Michel Foucault, Les corps utopiques, les hétérotopies, Daniel Defert 후기, Paris, Lignes, 2009. (한국어본으로는, “헤테로토피아”, 미셸 푸코 지음, 이상길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4를 참조하라. 또한 essai를 ‘에세이’라고 옮겼으나 프랑스어 essai는 ‘붓 가는대로 쓰는 글’, 즉 ‘수필’과는 전혀 다른 장르의 글이다. essai는 파스칼의 “팡세”와 같은 철학적 사유를 담은 글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 옮긴이) [본문으로]
  5. Id., Maurice Blanchot, The Thought from Outside, Brian Massumi 옮김 / Maurice Blanchot, Michel Foucault as I Imagined Him, Jeffrey Mehlman 옮김, New Yrok, Zone Books, 1990. [본문으로]
  6. Michel Foucault, “Qu’est-ce qu’un auteur?” (1969), in Dits et Écrits I. 1954-1975, Daniel Defert & François Ewald 편, Paris, Gallimard, 2001, pp. 789-821. [본문으로]
  7. Id., “La pensée du dehors” (1966), in Dits et Écrits I. op. cit., p. 553. [본문으로]
  8. Ibid., p. 556. [본문으로]
  9. Ibid., p. 557 [본문으로]
  10. [옮긴이] 여기에서 double는 이중, 이중체, 분신, 이중의미 등으로 번역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는 “문학의 고고학”(미셸 푸코 지음, 허경 옮김, 인간사랑, 2015)의 옮긴이 서문(p. 9-10)을 참조할 수 있다. “푸코는 “광기의 역사”에서 처음으로 서로 겹쳐지며 스스로를 드러냈던 두 영역, 과학적 의학과 서정적 문학을 1963년 두 권의 책, 곧 의학의 영역을 다룬 “임상의학의 탄생”과 프랑스의 한 소설가를 다룬 문학비평서 “레몽 루셀”로 출간한다. 푸코가 출간일자마저도 같은 날로 조정하고자 했던(실제로는 전자가 4월, 후자가 5월에 발간된다) 이 두 권의 ‘쌍둥이’ 책에서 단연 돋보이는 것은 이중-분신(double)의 사유이다. 이중 혹은 분신의 사유란 ‘언어의 이중적 존재론’이라 말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하나의 언어가 언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조건(condition)이란 언어의 메타적(meta) 기능, 곧 논리적, 현실적으로 스스로에 대하여 스스로를 지칭, 지시하는 기능(fonction)으로서, 이때 언어는 내재적인 동시에 메타적인 것이고, 내적인 동시에 외적인 것이자, 돌아옴인 동시에 떠남이며, 안인 동시에 밖이 된다(그럼에도 일정한 강조점은 늘 후자 쪽에 놓여 있다). 그리하여, 가장 먼 것과 가장 가까운 것은 만나게 된다. 이는 언어를 어떤 본성(nature) 혹은 본질(essence)을 갖는 하나의 고정된 실체(substance)가 아닌 ‘늘 작용하며 작동하는 하나의 기능’으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언어의 기능은 스스로에 대해 이중화되면서 스스로로부터 달라지는 것, 곧 자기와의, 자기로부터의 차이화 작용(différenciation)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의 놀이는 동일자(le Même)가 아닌 타자성(l’Autre)에, 동일성(identité)이 아닌 차이(différence)에 기반한 것이다.” [본문으로]
  11. [옮긴이] ‘약속’과 ‘위협’이라는 대당은 자크 데리다가 즐겨 쓰는 것이다. [본문으로]
  12. [옮긴이] “지극히 높은 자”, 즉 Le Très-Haut의 국역본으로는 “지극히 높은 자”, 모리스 블랑쇼 지음, 김예령 옮김, 그린비, 2019를 참조하라. Il은 ‘그’, 즉 영어의 he인데, 그러나 영어와 달리, 영어의 비인칭 주어 it 또한 Il로 표현된다. On은 들뢰즈의 “푸코”의 역자 허경이 지적하듯, 그 정확한 번역어는 바로 ‘옹’이다. 영어와 한국어에는 이에 대응되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데, 기본적으로 ‘우리들’과 ‘그들’을 의미하며, 비인칭 주어로도 쓰인다. 여기에서 Il 혹은 On은 담론으로부터 배제된 것 혹은 배제된 자로서의 동무인데, 대문자 Il은 음독하고 소문자 il은 번역해주었다. 참고로 바로 아래에 등장하는 Je는 ‘나’이고 Tu는 ‘너’이다. 대문자로 쓰였다는 의미에서, 어떠한 낯설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역시 음독했다. [본문으로]
  13. Ibid., p. 562. [본문으로]
  14. Ibid., p. 564. [본문으로]
  15. Émile Benveniste, “L’appareil formel de l’énonciation”, in Problème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ris, Gallimard, 1974, 2권 5장, pp. 79-88. Citoyen Sujet et autres essais d’anthropologie philosophique, Paris, PUF, 2011에 실린 방브니스트에 대한 나의 논평 “De la certitude sensible à la loi du genre : Hegel, Benveniste, Derrida”를 보라. [본문으로]
  16. [옮긴이] 일상적인 프랑스어에서 visiblement과 apparemment은 모두 ‘명백히’라는 뜻이지만, 문어에서, 특히 철학 문헌에서는 어원적 놀이를 통해 이 두 단어의 양의성을 항상 살려준다. 이것이 번역이 어려워지는 지점인데, 사실 visiblement과 apparemment은 ‘표면적으로’라는 의미 또한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하며, 특히 언어유희를 좋아하는 철학자들은 서로 모순되는 두 가지 의미, 즉 ‘명백하다’라는 뜻과 ‘표면적으로만 그러하다’라는 의미를 모두 살려준다. 여기에서도 발리바르 역시 이 두 가지 의미를 모두 살려주고 있다고 보는 것이 조금 안전한 해석일 것 같다. [본문으로]
  17. “Maintenant, c’est maintenant que je parle”, Maurice Blanchot, Le Très-Haut (1948), Paris, Gallimard, 1975, p. 243. (국역본 425쪽에 따르면 이는 “이제, 바로 지금, 나는 말합니다.”로 번역된다. - 옮긴이) [본문으로]
  18. 나의 글 “Foucault’s Point of Heresy: ‘Quasi-Transcendentals’ and the Transdisciplinary Function of the Episteme”, Theory, Culture & Society, É. Alliez, P. Osborne, S. Sandford 책임지도, 32/5-6, 2015년 9-11월, pp. 45-77을 보라. [본문으로]
  19. [옮긴이] ‘철학적 구조주의’의 핵심을 정확히 표현하는 이 개념에 대해서는,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질 들뢰즈 지음, 박정태 옮김, 이학사, 2007에 수록된 ‘구조주의를 어떻게 인지할 것인가?’를 참조하라. [본문으로]
  20. 들뢰즈는 텍스트 ‘바깥의 사유’에서 푸코가 비판적인 방식으로 “모든 주체는 문법적 주름에 불과하다”라는 점을 전제했다는 사실을 활용할 수 있었다(Michel Foucault, “La pensée du dehors”, art. cité, p. 565). 하지만 이보다 전에 푸코는 이 비유의 의미를 제한적인 방식으로 정확히 설명한 바 있었다. “만일 이러한 ‘자기 자신의 바깥’으로 놓기(즉 언어 - 발리바르) 속에서 그 고유한 존재가 밝혀지게 된다면, 이러한 급작스러운 빛clarté은 기호들의 침잠repli보다는 기호들 사이의 간극을, 기호들 자신으로의 기호들의 회귀보다는 기호들의 분산을 드러낼 것이다.”(ibid., p. 548) 따라서 실천적으로/사실상(pratiquement) 모든 것은 주름에 불과한 것과 주름 혹은 주름화의 본질--이 주름 혹은 주름화의 본질로부터 생명은 ‘사유’로서 그 스스로가 변용된다--을 발현하는 것(manifester) 사이에서 작동한다(se joue). [본문으로]
  21. 들뢰즈가 여러 해 전에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그 자신의 칸트 해석의 열쇠를 구성했던 바를 사실은 푸코와 관련해 재생산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은 흥미롭다. 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 Système des facultés, Paris, PUF, 1963을 보라. (한국어본으로는, “칸트의 비판철학”, 질 들뢰즈 지음, 서동욱 옮김, 민음사, 2006를 참조. - 옮긴이) [본문으로]
  22. [옮긴이] 여기에서 ‘배가’란 위에 등장한 ‘사유의 사유’, ‘권력의 권력’이라는 배가를 의미한다. [본문으로]
  23. [옮긴이] 여기에서 ‘우발성’과 ‘사실성’은 동일한 의미이다. 프랑스어 facticité는 ‘이유도 정당화도 없이 순수하게 우연적인 방식으로 존재하는 것의 특징’을 표현하는 철학적 어휘이다. 사실로서 (우연에 의해) 이미 주어져 있다는, 논리적 필연성과 무관하다는 의미에서 그러한 것인데, 이로부터 우리가 쉽게 유추할 수 있듯, 이 어휘는 하이데거의 철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하이데거 철학에서는 이를 ‘현사실성’으로 번역한다. [본문으로]
  24. [옮긴이] 프레데릭 그로의 “푸코의 철학”에서의 “담론의 질서”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자. “담론 제한(limitation)의 과정 -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로 임명된 이후, 푸코는 “지식의 고고학”의 주요 이론적 주제들을 요약하고 이 주제들로부터 구체적인 방법적 원리들을 확립할 필요를 느낀다. 그래서 푸코는 (1970년 12월 2일에 행한 콜레주 드 프랑스 취임 강연록인) “담론의 질서”에서 자신의 연구의 큰 축들을 정식화하려 시도한다. 푸코의 이러한 시도는 지금까지 철학의 주제에 속한 적이 없었던 익명의 존재 영역인 담론의 문제설정으로부터 출발한다. 첫째로 이는 담론 제한의 모든 과정들을 상술하는 것인데, 이 담론 제한의 모든 과정들을 통해 담론의 힘과 위험(담론의 물질성과 사건의 차원에 사로잡힐 수 있다는 위험)이 제거된다. 이는 한편으로 배제를 통해 작동하는 외적 과정들--금지: 섹슈얼리티나 정치와 같은 영역들은 극도로 제약적인 말의 체제에 종속되어 있다. 분리와 거부: 이성과 광기 사이의 분리. 광인의 말은 이 분리로 인해 자기 자신의 차원 안으로 억압된다. 참과 거짓 사이의 이항대립: 진실은 항상 우리가 사물들에 대해 행하는 폭력이다--을, 다른 한편으로 제한(limitation)을 통해 작동하는 내적 과정들--담론을 순수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기입된 단순한 표면으로 사고하는 해석, 흩어져 있는 문서 전체를 취합하는 원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저자라는 개념, 규정된 진리의 작용들에 따라 담론을 분배하는 “분과학문”(역사학, 식물학 등등)의 규칙들--로부터 구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푸코는 결국 담론의 제한을 설명하기 위해 언표행위의 주체들에 대한 분배와 담론의 사회적 점유를 관리하는(이러한 관리는 어떠한 담론이든 그것을 점유하는 이는 누구에게라도 제재를 가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는데, 이 과정의 중심에 교육체계가 자리잡는다) 방식들(procédés)과 최종적인 이론적 보증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철학적 주제들(정초적 주체, 기원적 경험, 보편적 매개)을 활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담론 제한의 과정은 항상 담론의 물질성, 즉 담론의 우연적 폭발에 의해 각인된 불연속성, 말하기라는 행위의 제거불가능한 다수성을 피해가야만 한다. 왜냐하면 결국 공백/결함을 가진 익명의 면으로서의 담론은 동시에 역사적 실천들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며, 의식적 주체에게 자신의 규제된 시간적 전개(déploiement)를 규정해줄 어떠한 하나의 기원의 단단한 단일성이 주어지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더 이상 정초적 심급으로서의 담론이라는 것이 그 주체에게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지식의 전통적 역사 전체는 인간의 얼굴을 가지지 않는 담론의 무의미한 필연성, 위험한 물질성, 불안한 우연성에 대한 부인(dénégation) 속에서 쓰여져 왔다. 반면 지식의 “계보학”은 담론을 인간학적 종합으로는 환원 불가능한 그 담론 고유의 존재 속에서 복원하려 시도한다.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행한 초기 강의들에서 푸코는 이러한 이론적 기획을 구체적으로 실행한다(이 이론적 기획은 취임강연 당시 푸코가 부정적인 방식으로 제시했었던 것이다).” “푸코의 철학”, 프레데릭 그로 지음, 배세진 옮김, 미출간. [본문으로]
  25. Maurice Blanchot, L’entretien infini, Paris, Gallimard, 1969, pp. 289-299. [본문으로]
  26. Ibid., p. 299. [본문으로]
  27. Michel Foucault, “Préface à la transgression” (1963), in Dits et Écrits I. op. cit., p. 242. [본문으로]
  28. [옮긴이] 조 불필요해 보이더라도 chapitre는 ‘장’으로, section은 ‘편’으로 일관되게 옮겼다. [본문으로]
  29. Maurice Blanchot, Foucault tel que je l’imagine, Montpellier, Fata Morgana, 1986. [본문으로]
  30. [옮긴이] exprience de la limite는 ‘한계의 경험’으로, expérience-limite는 ‘한계-경험’으로 구분해 옮겼다. [본문으로]
  31. [옮긴이] 푸코의 칸와 푸코의 니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최상의 설명으로는, “권력과 저항”, 사토 요시유키 지음, 김상운 옮김, 난장, 2012의 푸코편을 참조하라. [본문으로]
  32. Michel Foucault, Les mots et les choses. Une archéologie des sciences humaines, Paris, Gallimard, 1966, pp. 385-398. [본문으로]
  33. Ibid., pp. 397-398. [본문으로]
  34. Ibid., p. 395. [본문으로]
  35. Ibid. [본문으로]
  36. Michel Foucault, Folie et déraison. Histoire de la folie à l’âge classique, Paris, Plon, 1961, pp. 640-642. (“광기의 역사”, 미셸 푸코 지음, 이규현 옮김, 나남출판, 2003, 811-814쪽에서 인용했으며, 번역은 맥락에 맞게 조금 다듬었다. - 옮긴이) 1965년 “‘자본’을 읽자”의 서문인 ‘“자본”에서 마르크스의 철학으로’에서 알튀세르가 제시했던 이에 대한 아름다운 주해를 떠올려보자. “(…)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 서문의 매우 탁월한 구절들은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 가시적인 것을 정의하는 이론적 장의 안과 바깥의 가능조건들(을 상기시킨다. - 발리바르) 일반적으로, 가시적 장의 비가시적인 것은 어느 한 이론의 발전 내에, 그러니까 바로 이 장에 의해 정의되는 가시적인 것의 외부에 위치하며(extérieur) 이로부터 낯설어진(étranger) 아무것(n’importe quoi)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비가시적인 것은 자신의 비가시적인 것으로서의, 자신의 보는 것의 금지로서의 가시적인 것에 의해 정의된다. 그러므로 비가시적인 것은 단순히 (…) 가시적인 것의 바깥, 배제의 외부적 어둠(ténèbres)인 것이 아니다. 오히려 비가시적인 것은 가시적인 것 그 자체에 내부적인, 배제의 내부적 어둠이다. 왜냐하면 이 배제가 가시적인 것의 구조에 의해 정의되기 때문이다. 다른 용어로 말하자면, (…) 이 또 다른 공간은 또한 자기 고유의 한계들 내에서 이 공간이 배제하는 바에 대한 부인(dénégation)을 통해서만 정의될 수 있는 (…) 최초의 공간 내에 존재한다. 이 또 다른 공간이 내적이기만 한 한계들만을 가지고 있다라고까지, 이 또 다른 공간이 자기 자신 안에 자기 자신의 바깥을 담지하고 있다고까지 말한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Paris, PUF, 1996, pp. 29-31) (국역본으로는, “‘자본’을 읽자”, 진태원, 김은주, 안준범, 배세진 옮김, 그린비, 근간을 참조하라 - 옮긴이) [본문으로]
  37. 이 지점에서 나는 2012년 12월 12일 릴 3대학에서 아빌리타시옹(박사논문 지도자격부여 시험 - 옮긴이) 심사를 위해 제출했던 그녀의 텍스트에 준거한다. 이 텍스트에서 우리는 그녀가 최근 출간한 저서 Foucault avec Merleau-Ponty. Ontologie politique, présentisme et histoire, Paris, Vrin, 2015에서 제시된 그녀의 성찰의 요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p. 64와 그 이후인 “Attitude, êthos, vie”를 참조하라. [본문으로]
  38. Michel Foucault, “L’extension sociale de la norme” (1976), in Dits et Écrits II. 1976-1988, Daniel Defert & François Ewald 편, Paris, Gallimard, 2001, p. 77. Michel Foucault et les prisons, Paris, PUF, 2003에서의 François Boullant의 주해 또한 참조하라. [본문으로]
  39. [옮긴이] ‘불명예스런’ infâme이라는 형용사를 옮긴 것인데, 사실 발리바르의 지적대로 ‘어원적 의미’를 살려 옮기자면 ‘이름 없는’ 정도가 더 적절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본문으로]
  40. [옮긴이] ‘개별화’는 inividualisation을 옮긴 것으로, 참고로 윤소영 교수의 경우 individualisation을 ‘개별화’로, individuation을 ‘개인화’로 구분해 옮긴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individuation이라는 단어는 등장하지 않아 고민의 여지가 없다. [본문으로]
  41. Bruno Karsenti, D’une philosophie à l’autre. Les sciences sociales et la politique des modernes, Paris, Gallimard, 2013, pp. 135-154. [본문으로]
  42. Michel Foucault,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Cours au Collège de France. 1978-1979, Michel Senellart 편, Paris, Seuil/Gallimard, 2004, p. 44.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미셸 푸코 지음, 오트르망 옮김, 난장, 2012, 75-76쪽에서 인용하되, 발리바르는 몇몇 부분을 생략했지만 옮긴이는 생략하지 않고 문장 전부를 가져왔다. - 옮긴이) [본문으로]
  43. [옮긴이] ligne de foce를 ‘세력선’(혹은 이 맥락에서의 공간적 은유를 고려한다면, ‘역선’)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지만 rapport de force를 ‘세력관계’가 아니라 ‘힘관계’라고 옮겼기에 여기에서도 어색하더라도 ‘힘의 선’으로 옮겼다. ‘구부러진 선’은 ligne de courbure를 옮긴 것으로, courbure는 ‘구부러짐’(즉 ‘곡률’)을 의미한다. ‘장소적 차이화’는 différenciation de lieux를 옮긴 것이다. 이 단어들은 모두 그 뒤에 나오는 hétérotopie, 즉 ‘헤테로토피아’와 공간적으로 혹은 위상학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본문으로]
  44. Bruno Karsenti, D’une philosophie à l’autre, op. cit., p. 154. [본문으로]
  45. Michel Foucault, “Le sujet et le pouvoir” (1982), in Dits et Écrits II. op. cit., p. 1056. [본문으로]
  46. [옮긴이] 여기에서 ‘가능 공간’은espace possible을 옮긴 것이고, ‘잠정적 행위의 장’은 champ d’action éventuel, 즉 ‘행위의 잠정적 장’을 옮긴 것이다. ‘가능 공간’ 또한 ‘잠재 공간’으로 충분히 옮길 수 있으나 구분해 주었다. 참고로 프랑스어 possible은 ‘잠재’와 ‘가능’이라는 의미가 모두 들어 있고, 프랑스어 éventuel에는 영어와 달리 ‘사건적’이나 ‘결국’이라는 의미가 전혀 들어있지 않으며 오로지 ‘잠정적’이라는 의미만을 지니며 구어에서도 굉장히 많이 쓰인다. [본문으로]
  47. [옮긴이] ‘분할’은 ‘나눔’으로도 옮 수 있는 partage를, ‘전도점’은 point de renversement을, ‘불복종점’은 point d’insoumission을 옮긴 것이다. [본문으로]
  48. [옮긴이] 블랑쇼의 문장을 인용한 곳에서 단절’은 rupture를 옮긴 것이고 ‘진보’는 progression을 옮긴 것이며, ‘의미의 통일성’은 unité de sens를 옮긴 것이다. ‘의미의 통일성’은 ‘의미의 단위’로도 옮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의미의 통일성을 ‘파편화’하고 ‘방해’하며 ‘교란을 일으킨다’고 할 때의 원어는 각각 fragmenter, contrarier, troubler이다. [본문으로]
  49. [옮긴이] ‘무한성’은 infinité를, ‘기이성’은 étrangeté를 옮긴 것이다. [본문으로]
  50. Maurice Blanchot, L’entretien infini, op. cit., pp. 108-109. [본문으로]
  51. [옮긴이] défaire와 동일하게 dénouer 또한 ‘해체’로 옮겼으나 이 두 단어의 뉘앙스는 조금 다르다. défaire는 faire, 즉 ‘하다’에 ‘탈’의 의미를 뜻하는 접두사 dé를 붙인 것이며, dénouer는 nouer, 즉 (추상적 의미의 관계나 구체적 의미의 끈이나 실 등을) ‘맺다’에 dé를 붙인 것이다. 즉, 이 단어의 뉘앙스는 맺었던 관계를 다시 풀어버린다는 것으로, 만들었던 것 혹은 행했던 것을 다시 이전 상태로 되돌려 놓거나 파괴해 버린다는 défaire와는 뉘앙스가 조금 다르다. 위에서 이미 se nouer라는, 즉 ‘시작하다’의 의미를 지니는 대명동사가 등장했는데,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 대명동사는 직역하면 ‘맺어지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본문으로]
  52. [옮긴이] 여기에서 ‘나는 타자다’는 je suis un autre가 아니라 je est un autre를 옮긴 것으로, 굳이 영어로 치면 I am an other이 아니라 I is an other로 be 동사를 일부러 문법적으로 틀리게 바꿔 놓은 것이다. 주지하듯 이는 프랑스 시인 아르튀르 랭보(Arthur Rimbaud)가 사용한 표현이다. 그리고 위에서 이미 expérimenter, 즉 ‘실험/체험하다’와 함께 등장했던 éprouver는 시험이나 시련 등을 ‘겪다’ 혹은 ‘경험하다’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que 절과 함께 쓰인 éprouver 동사로서 ‘깨닫다’ 혹은 ‘느끼다’(물론 ‘경험하다’와 의미차이가 크지는 않지만)를 의미한다. 발리바르는 프랑스어 éprouver를 가지고 말놀이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지만 한국어로 이를 살리기는 어렵다. [본문으로]
  53. [옮긴이] 이 문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 발리바르는 ‘작용’과 ‘놀이’를 동시에 의미하는 jeu, 그리고 그 동사형인 jouer를 가지고 끊임없이 말놀이를 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ne pas jouer le jeu는 ‘작용을 수행하지 않기’라고 직역할 수도 있으나, 조금 더 뉘앙스를 살려서 번역하자면 ‘놀이에 참여하지 않기’, 즉 ‘판에 끼지 않기’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본문으로]
  54. [옮긴이] ‘사유가 스스로를 스스로 사유한다’는 se penser elle-même, 즉 대명동사 se penser와 la pensée elle-même 둘 모두의 의미를 살려주기 위해 조금은 억지로 과잉번역한 것이다. [본문으로]
  55. Maurice Blanchot, L’entretien infini, op. cit., pp. 94-105. (이는 “Le rapport du troisième genre (homme sans horizon)”을 옮긴 것이다. - 옮긴이) [본문으로]
  56. [옮긴이]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카를 마르크스 지음, 김현 옮김, 책세상, 2015의 옮긴이 주석 80번의 도움을 받아 이 구절과 연결시켜 우리 식대로 정리해보자면, Veräusserung은 ‘양도’, Entäusserung은 ‘외화’, Entremdung은 ‘소외’, Verfremdung은 특히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연극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소격’(‘효과’ 즉 effekt를 뒤에 붙인 Verfremdungseffekt는 ‘소격효과’, ‘외화 효과’, ‘낯설게하기 효과’, ‘생소화 효과’라고도 번역하는데, 우리 논의에서는 혼동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소격’만을 생각하도록 하자)으로 옮길 수 있다. 앞의 두 단어, 즉 ‘양도’와 ‘외화’는 ‘밖으로 내어놓다’라는 뜻의 단어 äusseren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모두 Entremdung 즉 ‘소외’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데, (거칠게 구분하자면) ‘양도’가 내가 소유하고 있는 것(그것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건이든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떠한 속성이든)이 타인에게로 귀속된다는 점을 의미한다면, ‘외화’는 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 바깥으로 표출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 구절에서 발리바르는 이 ‘낯섦’(étrangèreté)이 (Entremdung, 즉 ‘소외’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그리고 Verfremdung, 즉 ‘소격’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äusseren으로부터 파생된, 이 ‘소외’와 밀접히 관련되는 Veräusserung, 즉 ‘양도’라는 의미 또한 뜻한다고 지적한다. 독일어로는 이렇게 네 가지 단어가 존재함에도 영어와 프랑스어에서는 alienation과 aliénation이 사실상 ‘소외/양도’만을 의미하여 ‘낯섦’이라는 폭넓은 의미를 살려주기 힘들다. 그러한 이유로 발리바르는 이 구절에서 이 네 가지 의미를 모두 뜻할 수 있는 étrangèreté라는, ‘밖으로 내어놓다’ 혹은 ‘낯설게 하다’라는 더욱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는 명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aliénation이 ‘소외/양도’로 번역된다면, étrangèreté는 소외, 양도, 외화, 소격 이 네 가지 역어 모두에 공통된 ‘밖으로 내어 놓다’ 혹은 ‘낯설게 하다’의 의미를 폭넓게 포함하는 ‘낯섦’으로 번역되는 것이다. [본문으로]
  57. Philippe Sabot, “Langage, société, corps. Utopies et hétérotopies chez Michel Foucault”, Materiali foucaultiani, 1, 2012, pp. 17-35. (‘유토피아적 신체’는 ‘유토피아적인 몸’이라는 제목으로 국역본 “헤테로토피아”에 수록되어 있다. - 옮긴이) [본문으로]
  58. [옮긴이] ‘현재의 우리’란 푸코가 ‘계몽’과 관련해 근대인을 정의할 때 사용했던 ce que nous sommes(영어로는 what we are)이라는 유명한 표현을 의역한 것이다. [본문으로]
댓글 로드 중…

최근에 게시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