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인-무브

쪽방촌은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가?  (1/2)

 

 

강준모 | 캔자스대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취약성이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잦아지면서 기후 취약계층이라는 표현을 자주 있는데, 취약성(vulnerability) 기후 변화, 재난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개념 하나이다. 실제로 1967년부터 2005년까지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학에 걸친 기후변화/재난 취약성에 초점을 맞춘 논문의 수가 900편이 넘는다고 한다. [1]

이렇듯 다양한 학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다 보니,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이를 개념화하고 해석하는 접근 방식이 달라 혼란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는 크게 결과적 취약성(outcome vulnerability) 맥락적 취약성(contextual vulnerability)으로 살펴볼 있다. [2]  

 

결과적 취약성은 자연과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개념으로, 취약성을 어떠한 요인들의 결과로써 수량화하고 측정할 있다고 본다. 대체로 이러한 선형적인 관점에서의 취약성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양적 데이터로 산출된다. 예를 들어 우리는 폭우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할 , 폭우의 규모, 지속 기간, 노출 정도, 폭우에 대한 사회적 제반 시설 준비 정도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예상 인명피해나 경제적 피해 규모 등을 산출할 있다. 이렇게 예측된 피해 규모가 바로 폭우에 대한 취약성이 되는 것이다. 흔히 유엔이나 월드뱅크와 같은 대형 국제 비정부기구가 발행하는 기후변화 취약성에 관련된 연구 보고서에서 이러한 결과적 접근이 많이 사용된다.


이에 반해 기후변화의 취약성을 맥락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방식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흔히 사회적 취약성(social vulnerability)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얼마만큼의 취약성이 발생했는지보다는 (피해의 규모), 피해가 발생했는지,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의 맥락이 더욱 중요한 정보가 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역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이것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대처하는 역량을 어떻게 제한하는지에 집중하게 된다. 실제로 취약성(vulnerability) 라틴 어원인  vulnerabili 전장에서 부상을 입어 추가 공격의 위험에 처해 있는 병사를 뜻하는 것으로, 원인 (전장) 상태(부상당함)를 함께 내포한.

 

지난 2022년의 발생한 기록적 폭우의 취약성을 논의할 , 결과적 관점에서는 폭우로 인한 피해의 규모를, 맥락적 관점에서는 반지하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는지를 주거 불평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지 접근 방법은 해결책 논의에 있어도 차이를 보이는데, 결과론적인 접근에서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해결책에 집중한다. 최근 서울시가 발표한 집중 호우 대비 대심도 배수 터널 계획 건설이 결과적 취약성에 기반한 해결책의 예가 있다. 이와 반대로 맥락적 관점은 사회구조적 해결책에 집중한다. 2022 폭우로 인한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반지하에 거주하는 주거 취약계층이라는 , 기후변화와 재난을 사회의 구조적 문제인 불평등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해결책 역시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 반지하 침수 방지 시설 의무 설치, 공공임대주택 확대를 통한 주거권 보장 ).

 

취약성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실 가지 접근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취약성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결과론적인 접근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대부분의 해결책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하는 모델링 연구 등이 주를 이룬다. 이것 역시 중요하지만, 여기에만 초점을 맞추고 정치, 사회적 근본적인 원인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잃고 외양간 고치는 꼴이 것이다. 재난 불평등을 연구하는 학자인 Ribot 논문 제목처럼 취약성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아니기 때문에 (Vulnerability does not fall from the sky)”, 재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사회의 문제에 집중 해야한다. 이에 필자는 쪽방촌의 기후 취약성을 맥락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쪽방촌의 폭염/한파의 취약성

 

글에서는 맥락적 접근을 기반으로 재난 취약성 분석 틀인 Pressure and Release (PAR) 모델[3] 활용해, 쪽방촌이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PAR 모델은 재난위험을 높이는 압박 요인(pressure) 재난 위험을 낮추는 완화 요인(release) 구분하는데, 사회적 취약성(vulnerability) 압박 요인에 해당된다. 이 글에서는 사회적 취약성을 일상에서 구성하는 여섯 가지 요인 (자연 환경적, 환경적, 인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 자연환경을 제외한 다섯 가지의 요인들이 어떻게 쪽방촌을 폭염과 한파에 더욱더 취약하게 만드는지를 분석해 보았다[4].

 

1) 환경적 요인

여기서 환경적 요인은 인간 생활과 관련된 물리적 구조인 건조 환경(built environment) 말한. 쪽방촌의 열악한 건조 환경은 굳이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너무나 알려져 있다. 예들  들어, 동자동 쪽방촌에는 주민들 사이에서 거지 아파트 불리는 건물이 있는데, 필자가 현지 조사를 당시 쪽방촌 사회복지기관인 쪽방 상담소의 간호사 선생님과 건물로 아웃리치를 나간  있다. 이름에서 있듯이 거지 아파트 쪽방촌에서도 가장 열악한 건물로 꼽힌다. 임시 지지대가 받치고 있는 건물의 외부 시멘트벽에는 건물이 재난 위험시설이라는 것을 경고하는 노란색 알림판이 붙어있다. (그림 1)

 

그림1. 거지아파트 외부 모습(왼쪽) 재난위험시설 안내문 (오른쪽)

 

 

연구 진행한 인터뷰에서 간호사님은 거지 아파트에 들어갈 때마다 심호흡을 번씩 하고 무너질 상황을 대비해 매번 탈출 경로를 생각하고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처럼 언제 붕괴해도 이상하지 않은 이곳에는 (2020 기준) 여전히 2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서울시가 매년 실시하는 쪽방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동자동 쪽방촌 주민들의 상당수가 건물 상태가 열악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참여자의 66%), 일조량이 부족하며(63.6%), 방의 방음 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하였다(82%). 또한 건물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으며 (79.7%) 화재 위험도 있다고 (56.3%) 응답했다. 주민들이 인식하는 것처럼 쪽방촌은 특히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5]. 서울시가 발표한 쪽방 화재 취약 주거시설 소방 안전대책(2013) 따르면 쪽방촌의 화재 취약성의 원인은 크게 다음  가지로 요약된다. 1) 화재 예방 시설 부족 노후된 전기 설비, 2) 열과 화재 연기에 취약한 건물, 3) 소방차의 통행이 어려울 정도로 좁은 골목과 쪽방 건물의 복도,  4) 주민들의 화재위험 인식 부족.

 

쪽방은 남짓한 좁은 공간이지만, 공간은 주민들의 안방이자, 마루이자, 부엌이다. 그러다 보니 좁은 공간에 다양한 짐이 많은 경우가 많다. (그림 2 왼쪽) 좁은 방에 하나 있는 콘센트에 여러 개의 멀티탭을 문어발식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대부분이 안에서 가스버너로 요리하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다. 또한 많은 쪽방건물이 여러 개의 방을 세를 주기 위해 불법 개조된 경우도 많아 전기설비 역시 위험 요인이 된다.  (그림 2 오른쪽)

 

그림2. 쪽방의 좁은 방에 있는 다양한 용품들(왼쪽) 쪽방 외부에 설치된 복잡한 전기,가스설비 (오른쪽)

 

 

폭염과 한파가 오면 쪽방촌이 지닌 여러 위험 요소가 더욱더 악화되는데, 혹한기의 경우 특히 화재의 위험성이 올라간다. 쪽방 건물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쪽방은 난방과 온수가 아예 제공되지 않거나, 추가 비용을 받고 아주 미약하게 새벽에만 틀어주는 정도이다. 그러다 보니 주민들은 전기장판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고, 장시간 전기장판을 사용하다보면 열이 축적돼 화재로 이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추위를 피하고자 가스버너를 켜서 히터로 쓰기도 한다. 화재에 취약한 물건들로 가득한 좁은 공간에서 가스 버너를 쓰면 화재의 위험도가 배가 뿐만 아니라, 화상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2) 인적 요인

주민들의 건강 상태는 쪽방촌의 취약성을 설명하는 있어 대표적인 인적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쪽방촌 주민들의 경우 대부분 고령이고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앓고 있다. 그림 3 필자가 현지 조사의 일한으로 도시락배달 사업에 봉사자로 참여하며 찍은 사진인데, 도시락을 받는 주민이 직접 메모지에 글을 써서 본인의 방문에 붙여놓은 사진이다. “위암 수술해가지고 밥을 된거 먹어요. 밥을 질게 해주세요.” 라는 메모 밑에 본인이 앓고 있는 질병을 세세하게 적어두었다. 삐뚤빼뚤한 글씨에서 글을 주민의 절박성이 느껴져 사진을 찍었다. 실제로 필자가 만나본 많은 주민이 음식 섭취를 제대로 없을 정도로 다양한 질병을 앓고 있었다. 쪽방촌 복지관의 간호사는 인터뷰에서 주민들의 40% 정도가 호스피스/요양병원에 계셔야 한다고 말했는데, 그만큼 쪽방촌 주민들의 건강 상태는 심각하다. 실제 쪽방에서는 매년 20-30명의 주민이 방에서 사망한 채로 발견되는데, 필자가 동자동에 머물던 기간에도 무연고 사망자의 시신을 수습하는 업체를 여러 보았다. 이렇듯 주민들의 고령이나 건강 상태 등은 주민들이 폭염과 한파 등의 극한 기후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렵게 만드는 인적 요인이 되는 것이다.

 

그림3. 도시락 배달 방문한 쪽방주민의 건강상태가 적힌 쪽지

 

 

이러한 주민들의 건강 상태는 폭염과 한파 극한 기후 변화에 더욱 악화되며 장기적으로는 쪽방촌의 취약성을 높이게 된다는 점에서 관심이 필요하다. 이미 다양한 연구에서 논의 되었듯, 폭염은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탈수, 고열, 탈진, 열사병 기타 합병증을 유발해 기존 질환을 악화시킨다. 실제 폭염과 한파가 주민들의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쪽방촌의 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님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름이 특히 위험하죠. 쪽방촌에서 근무하는 다른 간호사들도 여름에 돌아가시는 분들이 많다고 저한테 많이 이야기해요. 여름에는 열사병이 걸리기도 쉽고, 냉장고가 없으신 분들의 경우 음식이 상하기도 쉽고. 그걸 먹으면 탈수증상이 오고. 방은 덥고. 그러니까 계속 악순환인 거죠. 그렇게 며칠 방에서 앓다가 돌아가시는 경우도 있구요.”

 

 

-> 2편에서 계속

 

 

[1] Janssen, M. A., Schoon, M. L., Ke, W., & Börner, K. (2006). Scholarly networks on resilience,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within the human dimensions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6(3), 240–252. https://doi.org/10.1016/j.gloenvcha.2006.04.001

[2] O’Brien, K., Eriksen, S. E., Schjolden, A., & Nygaard, L. P. (2004). What’s in a word? Conflicting interpretations of vulnerability in climate change research. (CICERO Working Paper.) https://pub.cicero.oslo.no/cicero-xmlui/bitstream/handle/11250/192322/CICERO_Working_Paper_2004-04.pdf?sequence=1

[3] Wisner, B., Blaikie, P., Cannon, T., & Davis, I. (2004). At risk: Natural hazards, people’s vulnerability, and disasters. Routledge.

[4] 쪽방촌의 경우 도심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환경은 제외하였다.

[5] 바로 올해 3월에도 서울의 쪽방촌 건물에서 불이 1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을 입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33269.html

 

 

댓글 로드 중…

최근에 게시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