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연재완료/사회의 바깥, 소설의 안쪽8

7화 변신의 정치경제학 7화 변신의 정치경제학 지영(국문학 연구자) 1. 자살 방지 그물 과로는 인간의 육체만을 망가뜨리는 것이 아니다. 부족한 절대 시간, 불규칙한 수면, 균형이 깨진 영양 상태 등을 동반하는 과로는 정신적 안정과 더불어 인간으로서의 ‘존엄’도 훼손한다. 그래서 만성적인 과로 상태에 놓인 사람들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비율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높게 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노동 시간이 많은 국가와 기업을 중심으로, ‘과로’와 ‘자살’이라는 사회의 두 문제 영역이 결합된 ‘과로 자살’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된 것 역시 필연적이다. 중국에 진출한 타이완 기업이자 아이폰의 부품을 생산하는 ‘팍스콘’에서는 2010년 한 해 동안 노동자 14명이 연속해서 투신자살을 하였다. 이 상황을 직면하고 .. 2018. 12. 24.
6화 우리집 살인마 6화 우리집 살인마 지영(국문학 연구자) 1. 대중문화 속 재벌들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대중문화 속에 재벌이 등장하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드라마를 보면서 고단한 삶에서 벗어나 감정적인 위안을 받으려 했다. 그래서 대부분의 드라마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과 그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화해, 부절적한 욕망과 그에 대한 응징 등이 주된 서사를 이루었다. 드라마마다 한두 명의 부유층이 등장하긴 했지만 그들도 중소기업 정도의 경제력을 지닌 인물이었다. 이 시기 드라마에서 재벌은 말 그대로 ‘예외적인 존재’였다. 그러던 것이 1990년대 후반 이후가 되면 재벌은 ‘백마 탄 왕자’의 모습으로 가난하고 씩씩한 여주인공 앞에 자주 나타난다. 외로워도 슬퍼도 울지 않는 캔디형 여성과 강력한 재력을 지.. 2018. 1. 8.
5화 아직도, 가족? 5화 아직도, 가족? 지영 | 국문학 연구자 1. 가족을 둘러싼 환상들 혼자 감당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가장 먼저 가족을 떠올린다. 나의 문제를 아무 대가없이 해결해 주고, 지친 나의 마음까지 끌어안아줄 것이라고 기대되는 존재가 바로 가족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공유하는 가족에 대한 이미지는 “엄하신 아버지와 자상하신 어머니 밑에서 화목하게 자란 사람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그런 삶을 한 번도 살아보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그 이미지는 고착되어 있다. 톨스토이가 『안나 카레리나』의 첫 문장에서 말한 것처럼 “행복한 가정은 모두가 엇비슷하다.” “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그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 확률적으로 생각해도 후자가 압도적일 것 같은데 왜 우리는 행복한 소수가 만든 가.. 2017. 11. 7.
4화 지옥의 문이 열리면, 죽지 못한 자들이 돌아온다 4화 지옥의 문이 열리면, 죽지 못한 자들이 돌아온다 지영/국문학 연구자 1. 이곳이 ‘지옥’이라고 불리는 이유 2015년 대한민국에서는 ‘헬조선’이라는 말이 유행을 했다. 지옥을 뜻하는 ‘헬(hell)’에 과거의 시공간을 뜻하는 ‘조선’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이 단어는 처음에는 디시인사이드에서 통용되는 특수 용어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청년들의 절망을 나타내는 보편 용어로 자리 잡는다. ‘지옥불반도’나 ‘망한민국’ 등과 유사어로 사용되고, ‘N포세대’, ‘노오력’,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어’의 준말)’ 등과 연결되면서 ‘지옥 같은 대한민국’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한국 사회의 부조리함을 보여주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담겨 있는 헬조선닷컴(hellkorea.com)까지 등장하면서 ‘헬조선’이라는 이름은 .. 2017. 10. 11.
3화 만국의 오타쿠여, 덕질하라! 3화 만국의 오타쿠여, 덕질하라! 지영(국문학 연구자) 1. 대잉여의 시대 1997년 7월 연재를 시작한 오다 에이치로의 는 2014년에 3억 부 이상을 발행하여 “가장 많이 발행된 단일 작가의 단일 만화 시리즈”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의 세계는 해적왕 골드D 로저가 죽으면서 남긴 “나의 보물? 원한다면 주도록 하지. 잘 찾아봐. 이 세상 전부를 거기에 두고 왔으니까.”라는 말로 인해서 ‘대해적 시대’를 맞이한다. 그리고 주인공인 밀짚모자 루피와 그의 친구들 역시 각자의 보물을 찾아 항해를 시작한다. 이 작품이 대해적 시대를 표방하고 전개될 수 있는 이유는 작품의 배경 공간이 육지가 거의 없는, 즉 주로 섬들로만 이루어진 행성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적과 해군이라는 설정이 개연성을 지니며 작품 속에 들어.. 2017. 9. 7.
2화 명멸(明滅)하는 데이터 디스토피아 2화 명멸(明滅)하는 데이터 디스토피아 지영(국문학 연구자) 1. 온라인의 비트 세계 2017년 7월 28일 인문 예능프로그램을 표방하며 등장한 이 끝났다. 감독판인 마지막 회에서는 편집되어 방송에 나가지 못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정재승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을 다음과 같이 문장으로 정리했다. “현실 세계의 모든 것들이 온라인의 비트 세상으로 옮겨간다.” MC인 유희열이 ‘온라인의 비트 세계’란 말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되뇌이자, 그는 좀더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인다. 이것은 오프라인에 있는 모든 사물에 인터넷이 붙어서 사물의 작동뿐 아니라 사람의 행동이나 생각까지가 ‘데이터화’ 되는 것이다. 원자로 이루어진 물질세계는 본질적으로 공간을 점유하고, 이 물질들을 이동하기.. 2017.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