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프랑스 지식인들로부터 구체적 부당함에 직면하여 철학하는 법을 배웁니다”
교차성 개념을 통해 바라본 이주노동자 속헹씨 산재사망 사건
생명 : 경험과 과학
마르크스주의는 역사주의가 아니다
19세기 법정신의학의 “위험한 개인” 개념에 대하여 (2/2)
[금요일의 시방] 이연주의 시전집을 읽고
19세기 법정신의학의 “위험한 개인” 개념에 대하여(1/2)
벤저민 그레이엄의 경제사상과 건전 화폐로서의 상품준비통화(2/2)
벤저민 그레이엄의 경제사상과 건전 화폐로서의 상품준비통화(1/2)
위험이 모이면 힘이 된다_공공운수노동조합 산재 투쟁 사례
<낸 골딘, 모든 아름다움과 유혈사태>를 보았습니다.
한국사회 산업재해는 어떻게 숨겨졌나
미셸 푸코의 1971-72년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형벌의 이론과 제도』의 편집자 버나드 하코트에게 보내는 발리바르의 서한(2014년 12월 4일)
팔레스타인 국가 독립 선언문
산재 유가족 운동과 진상조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