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명 없음 - 안나 아흐마토바의 시 몇 편 (1)
김인숙의 소설 [핏줄]을 아브젝시옹 개념으로 읽기 (페미니즘 이론학교 시즌4 최종 에세이)
마리나 츠베타예바와 『끝의 시』 (2)
마리나 츠베타예바와 『끝의 시』 (1)
영화 <벌새>가 보여주는 여성 서사의 개방성: 저 남자 왜 울어?
정동으로서의 ‘공정’ - 누가 고통을 말하는가.
[번외편]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3)
[번외편]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2)
[번외편]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1)
달력, 아침, 페테르부르크, 권총 - 레오니드 아론존의 시 몇 편 -
일본군'위안부'라는 역사 이미지를 구성하는 시간
인정 이론과 이데올로기라는 문제 (2/2)
인정 이론과 이데올로기라는 문제 (1/2)
신자유주의 금융화 시기 도시 재개발의 전략적 수단 - 2
신자유주의 금융화 시기 도시 재개발의 전략적 수단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