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4

『재난 이후, 사회』 서평 『재난 이후, 사회』  서평   배경진(서교인문사회연구실)    세월호 참사와 페미니즘 리부트, 이 두가지가 아무래도 내 10대 후반, 20대 초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될 것이다. 세월호 참사를 기점으로 난생 처음 집회에 나갔던 나는 집회 현장의 분위기에 상당히 매료되었다. 이후로 계속해서 찾아 다녔던 집회와 투쟁의 현장, 그 속에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며 역시 세상을 바꾸려면 일단 현장으로 나가서 싸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물론 늘 현장만 찾아갔던 건 아니고, 대안학교의 “은총”을 받아 학교에서 사회를 진단하는 좌담회니, 강연이니 이것저것 듣기도 많이 들을 수 있었다. 그 때마다 기분이 썩 좋지는 않았는데, 현장에서 싸우지도 않는 사람들이 말로만 떠든다고 생각 해서였다. 세월호 참사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 2025. 1. 18.
커먼즈와 사회 전환 커먼즈와 사회 전환 권범철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커먼즈(commons)라는 말이 자주 보이고 들린다. 아무래도 생소한 말이니 — 한국어가 아니다 — 낯설고 어렵게 느껴진다. 그러나 사실 전혀 그렇지 않다. 커먼즈라는 운동 혹은 삶의 양식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말 그대로 인류에게 공통적인 것이다.[1] 그럼에도 그것이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단지 외국어여서만은 아니다. 그 용어가 가리키는 삶의 양식이 우리에게 낯설어졌기 때문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듯 우리는 공통의 삶보다는 각자도생에 이미 익숙해져버린 것 같다. 하지만 커먼즈는 사라졌다기보다는 우리에게 잘 보이지 않게 되었을 뿐이며 가끔씩 선명하게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 모습은 어떤 것일까? 우선 그 .. 2025. 1. 16.
짐 배곳(Jim Baggott): 양자 변증법(Quantum Dialectics): 마르크스주의와 양자역학의 마주침 양자 변증법(Quantum Dialectics): 마르크스주의와 양자역학의 마주침  저자: 짐 배곳역자: 김강기명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저자 소개저자 짐 배곳(Jim Baggott)은 케이프타운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수상 경력의 영국 과학 저술가이다. 그는 존 하일브론(John Heilbron)과 함께 『양자 드라마: 보어-아인슈타인 논쟁에서 얽힘의 수수께끼까지』(Quantum Drama: From the Bohr-Einstein Debate to the Riddle of Entanglement, 2024)의 공저자이다. *출처: Quantum dialectics, AEON (https://aeon.co/essays/how-soviet-communist-philosophy-shaped-postwar-q.. 2025. 1. 1.
전쟁에 대한 성찰(1933) 전쟁에 대한 성찰(1933)  시몬 베유(Simone Weil)번역 | 황유경(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현재의 상황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정신의 상태가 다시 한 번 전쟁의 문제를 오늘의 의제로 가져온다. 우리는 지금 끊임없이 전쟁을 예상하며 살아간다. 그 위험은 어쩌면 상상의 것일 수 있으나 위험에 대한 느낌은 존재하며 꽤나 중요한 요소를 구성한다. 이때 우리는 공황이 아닌 다른 어떠한 반응도 확인할 수 없다. 이는 학살의 위협에 직면했을 때 용기가 처하는 공황이라기보다는 그 위협이 제기하는 문제들에 직면했을 때 정신이 처하는 공황의 상태이다. 노동 운동에서보다 혼란이 더 분명하게 드러나는 곳은 없다. 만일 이를 분석하기 위한 진지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머지않아 언젠가 전쟁으로 인해 .. 2024. 12. 23.
김용균 털어내기 : 김용균 사망사고와 중대재해처벌법 김용균 털어내기 : 김용균 사망사고와 중대재해처벌법  전주희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 이 글은 황해문화 122호(2024.03)에 실린 글입니다. 황해문화 통권 제122호 - 새얼문화재단 논문 : 전문잡지 - DBpia 1. 김용균 사망사고에 대한 사법적 결론 2023년 12월 7일, 김용균 사망사고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내려졌다. 대법원 2부(주심 이동원 대법관)는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업무상과실치사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병숙 전 한국서부발전(주) 대표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한국서부발전(주) 태안화력발전소의 하청노동자 김용균이 점검 중이던 컨베이어벨트에 신체가 빨려 들어가 사망한 사건은 5년 전, 2018년 12월 11일에 발생했다. 김용균 5주기를 며칠 앞두고 대법원 판결을 끝으로.. 2024. 12. 8.
재난 ‘이후’의 공통의 삶 재난 ‘이후’의 공통의 삶 권범철(서교인문사회연구실)    *이 글은 서교인문사회연구실의 회원들이 함께 펴낸 의 서평입니다.   2014년 4월 16일 오후 나는 어느 식당에서 점심을 먹다 뉴스를 통해 세월호를 처음 보게 되었다. TV 화면에는 큰 배가 바다에 누워 있었다. 그 배는 비록 기울어져 가라앉고 있었지만 그 엄청난 크기는 어쩐지 안도감을 주었다. 저렇게 큰 배가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것이고 다 구조되겠지. 그러나 우리가 다 알고 있듯이 이후의 상황은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수시로 기사를 보고 여러 소식을 전해 들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세월호에 관한 기사를 보면 볼수록 알 수 있는 건 이 참사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사실이다. 마치 엄청난 구조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 2024.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