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1

여자-노인, 김언희의 「늙은 창녀의 노래」를 읽기 위한 프롤로그 ① 여자-노인, 김언희의 「늙은 창녀의 노래」를 읽기 위한 프롤로그 ① 길혜민(서교인문사회연구실) RISS(한국교육학술정보원)홈페이지에서 ‘행려병자’와 ‘여성’을 동시에 검색하면, 가 발행하는 학술지인 『나혜석연구』가 화면에 나타난다. ‘아, 그러니까 행려병자인 여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나혜석이 만능키가 되어있는 수준인가?’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내가 찾으려는 형상과 행려병자라는 단어는 서로 다른 관점을 표현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국어기초사전에 따르면, ‘행려병자’는 집이 없이 떠돌아다니는 병든 사람이다. 여기에서 ‘집’이 당사자 소유의 ‘집’이어야 하는지, 또는 소유 여부와는 관계없이 자신의 생활을 영유할 수 있는 천장과 문이 달린 ‘집’도 포함될 수 있는지 그 .. 2025. 6. 27.
공장과 사회, 마리오 뜨론띠 공장과 사회 마리오 뜨론띠 | 권범철 옮김 *이 글은 Mario Tronti, 'Factory and Society', in Workers and Capital, trans. David Broder (verso, 2019)를 옮긴 것입니다. 『자본』 1권 3편의 끝 부분에서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을 다룬 후, 맑스는 자본주의적 생산의 두 측면을 구별하는 것으로, 따라서 자본주의적 상품 생산 형태를 고찰할 수 있는 두 관점을 구별하는 것으로 돌아간다. 노동 과정과 가치화 과정이 그것이다. 첫째, 노동자는 생산수단을 자본으로 취급하지 않고, 생산수단을 자신의 생산 활동을 위한 재료로서 소비한다. 둘째, “노동자가 생산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수단이 노동자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노동력을 소비하는 .. 2025. 6. 26.
웹진 인-무브 소개문 & 필진 모집 **웹진 인-무브 소개문**인-무브는 사유와 현장이 상호 번역되는 교차로에서 '과정으로서의 연구'를 제안합니다. 거친 노트, 다듬어 지지 않은 원고, 출판이 요원한 번역물, 서툰 사유의 파편들을 용감하게 세상에 내놓고 그 구체적인 자리를 같이 찾아갑니다. 단절되고 고립된 작업들이 서로 얽히며, 이론과 운동을 함께 키워가는 연구자들의 생태계를 만들어갑니다.+참고: "웹진 인-무브, 시작합니다" https://en-movement.net/15 [인-무브 필진 상시 모집]고이 잠자고 있는 원고들을 깨워서 세상에 내놓아주실 "필진"을 기다립니다!!! 웹진 인-무브는 2017년 첫 문을 열었습니다. "이론"에 관한 낙관과 비관을 모두 경계하며,기성 학술-교육 제도의 경계 위에서 연구자들이 서로의 지식 생산 과정을.. 2025. 6. 11.
비어있는 기표가 정치학에서 왜 중요한가 이 글은 (Verso, 1996) 3장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비어있는 기표가 정치학에서 왜 중요한가Why Do Empty Signifers Matter to Politics? 김내훈(연세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비어있는 기표(empty signifer)란 엄격히 말하자면 기의 없는 기표(signifer without signifed)다. 그러나 이 정의는 그 자체로 하나의 문제를 제기한다. 기표가 어떤 기의에도 연결되지 않으면서도 어떻게 의미작용 체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말인가? 비어있는 기표가 다만 일련의 소리로서, 아무런 의미작용의 기능을 하지 않는다면 ‘기표’라는 용어부터가 과잉일 것이다. 소리의 흐름이 특정 기의와 단절된 채 여전히 기표가 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은, 비.. 2025. 6. 10.
스피노자, 혹은 관계론적 평등 이론의 탄생 스피노자, 혹은 관계론적 평등 이론의 탄생 김강기명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평등은 평등한가? 근대 이후 많은 의문과 비판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인류 역사를 논할 때 여전히 선형적이고 진보적인 서술을 택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 평등의 점진적인 증가에 대한 서사일 것이다. 이 서사는 수천 년에 걸친 노예제, 계급 사회, 전제정치, 카스트제, 그리고 가부장제의 역사를, 현재의 평등하고 ‘민주적인’ 현실과 대비하면서, 우리 시대의 근본적 신조를 드러낸다.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인권 선언, 1948). ‘평등’은 현재 인류.. 2025. 6. 2.
잭 스테터, <스피노자와 전쟁> In: "Spinoza after Politics": Dan Taylor, Gil Morejon, Marie Wuth, and Jack Stetter (Keywords: Human Nature; Affects; Anarchism; State; Law; Imagination; War) https://www.thephilosopher1923.org/post/spinoza-after-politics "Spinoza after Politics": Dan Taylor, Gil Morejon, Marie Wuth, and Jack Stetter (Keywords: Human Nature; Affects; Anarchism; Sta"The more we affect and are affected by others, .. 2025.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