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플라토노프3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3부, 끝)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3부, 끝) 저자: 발레리 포도로가 (러시아학술원 철학연구소) 번역: 김수환 (한국외대) 3) 에테르, 전자기 또는 광학 기계. 플라토노프가 가장 좋아했던 기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테르의 값싼 에너지를 활용하는 전기장치다. 이 기계는 『체벤구르』의 드바노프, 『사유의 악마』의 보굴로프, 『마르쿤』과 『불가능한 것』의 주인공, 『달의 폭탄』의 페테르 크레이츠코프, 『많은 흥미로운 것에 관한 이야기』의 주인공 이반 코르치코프, 『태양의 후예』의 등장인물, 『바클라자노프의 모험』의 주인공 옐피디포 바클라자노프 등이 발명한 기계다. 제작자의 비전에 따르면 그것은 인간 이성의 놀라운 가능성을 구현한 결과물에 해당한다. 그와 같은 기계를 어찌 사랑하지 않을.. 2025. 8. 15.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1부)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1부) 저자: 발레리 포도로가 (러시아학술원 철학연구소) 번역: 김수환 (한국외대) - 요약 - 이 글은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저작의 핵심 중 하나인 기계의 테마를 고찰한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일반적인 기계가 아니라 혁명적인 기계, 그것의 목적이 삶과 자연, 그리고 세계를 근본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에 놓인 기계다. 그런데 이 변화는 어떤 성격을 띠고 있는가?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 중 어느 일방으로 분류될 수 없는 플라토노프의 아방가르드적 성찰의 배후에 놓인 혁명의 개념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는 공히 미래와 관련을 맺고 있지만, 플라토노프의 기계가 무대에 오를 때 그 시간은 미래와도 현재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그것은 특정한 혁.. 2025. 7. 20.
김수환 - 두브로브니크 강좌(1990)와 수전 벅-모스의 『꿈의 세계와 파국』: 연대에 이르지 못한 우정에 관하여 3 두브로브니크 강좌(1990)와 수전 벅-모스의 『꿈의 세계와 파국』: 연대에 이르지 못한 우정에 관하여 3  김수환 | 한국외대  2-3. 두 개의 주권: 냉전의 종식과 꿈의 소멸 앞서 언급했듯이, 약 10년간의 모색을 통해 벅-모스가 도달한 통찰의 핵심은 지난 세기 동쪽과 서쪽을 지배했던 두 체제가 서로 떼어놓을 수 없는 공통 기획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두 체제를 “공통의 기획의 서로 다른 부분들”로 바라보게 되었다는 사실이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그것은 벅-모스가 이제껏 (주로 벤야민을 통해) 고찰해온 근대성의 주요한 매개변수들, 이를테면 기계, 대중, 영화, 무엇보다 ‘충격’과 ‘마비’ 같은 키워드들을 더 이상 하나가 아닌 두 개의 유형으로 ‘몽타주’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 2024.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