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인-무브


너의 음식은 그림자처럼 싱거워

- 게오르기 오볼두예프의 시 몇 편 -

 

 

이 종 현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레기스트라치야

지난 6월 중순에 프세볼로트 네크라소프에 대한 글을 쓰고 한동안 연재를 하지 못했습니다. 게오르기 오볼두예프를 소개하겠다며 호언장담하고 그의 시집 두 권[각주:1]을 중고책 직거래로 구해 읽어보았는데 시가 너무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여름마다 모스크바에 찾아오는 잡다한 손님들을 맞이하며 돈을 좀 벌었고 바로 집 옆에 있는 티미랴젭스키 숲에 가서 보드카를 좀 마셨고 가장 더울 때는 조지아를 다녀왔습니다. 신비로운 트빌리시에서는 포도주 찌꺼기를 증류한 독한 술 차차를 마셨고 탄산수로 유명한 보르조미에서는 계란 썩은 냄새가 나는 약수를 마셨고 산마루에 있는 유황온천에서 수영도 했습니다. 흑해 연안에 있는 바투미의 수산시장에서는 새우와 가재를 사다가 조지아식 초장집에 가져가 데쳐먹고 튀겨먹었습니다. 그렇게 여름 휴가를 보내고 모스크바에 돌아오니 거주등록법이 바뀌어서 난리였습니다. 지금까지는 학교나 직장에 외국인의 거주등록을 했는데 이제는 실제로 살고 있는 주소지에 집주인의 동의를 얻어 거주등록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스크바의 집주인들은 자기 집에 세입자의 거주등록을 해주지 않으려고 합니다. 레기스트라치야(거주등록)를 받지 못한 무레기가 될 뻔 했지만 집주인을 구워삶아 간신히 3개월짜리 거주등록만 받았습니다. 러시아의 철학자 블라디미르 베니아미노비치 비비힌(В.В. Бибихин, 1938-2004)세계(Мир, 1995)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인간은 시간과 공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즉 가장 정확한 지도와 가장 상세한 지도 속에서 자신이 차지한 점을 아주 정확하게 찾을 수 있지만 어쨌든 자기 자신은 찾지 못한다. 공간 속에서 자신을 찾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세계 속에서 자신을 찾아야 한다. 인간은 그를 둘러싼 환경 속에서 산다. 이것으로는 부족하다. 둘러싼 환경, 말하자면 동부 유럽 분지의 이런저런 도시 또는 마을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설령 그가 집을 찾고, 더 나아가 거주등록을 받았다 하더라도 인간은 아직 자기 자신을 찾은 것은 아니다. 세계 속에서 자신의 장소를 찾아야 한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각주:2]

 

레기스트라치야로 속이 썩어가고 있을 때, 비비힌의 이 구절을 읽고 눈물을 흘릴 뻔 했습니다. 그래, 난 레기스트라치야를 받지는 못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 자신을 찾지 말라는 법은 없어. 그래, 세계 속에서 나의 장소를 찾아야 하겠다. 레기스트라치야를 받은 사람들아, 너희도 아직 세계 속에서 너희의 장소를 찾은 것이 아니니 코 들지 말거라.

 

세계란 무엇일까요? 비비힌도 이 질문에 답하려고 거주등록 이야기까지 했던 것입니다. 모스크바 티미랴젭스키 숲 근처에 살고 보르조미와 트빌리시를 돌아다닌 것도 모자라 바투미에서 새우를 튀겨 먹었다고 해서 세계를 보고 맛보았던 것일까요? 비비힌은 자신이 생각하는 세계에 대해서 어렵게 이야기하는데 그의 철학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회가 되면 정리해 보겠습니다. 역시나 너무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다보니 세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오볼두예프의 시들을 찾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시인 게오르기 니콜라예비치 오볼두예프


 지옥과 천국의 집수리

다음에 인용하는 시는 총 열두 편의 시로 이루어진 연작 레테의 재잘거림(Лепетанье Леты, 1938)의 다섯 번째 시입니다. 이 연작에는 오비디우스의 사랑의 비가(悲歌)191절에 나오는 구절 사랑에 빠진 이는 모두 군인이고 큐피드에게도 제 진영이 있다”(militat omnis amans, et habet sua castra Cupido)라는 에피그라프가 있습니다. 에피그라프의 내용대로 이 연작에는 주로 사랑에 대한 시가 많습니다. 그런데 집 문제 때문에 정신이 사나워서인지 집수리라는 단어가 나오는 시가 눈에 띄었습니다



5

Пресна, как тень, твоя еда,

Многоуважаемый мир.

Твоя поверхность - ерунда:

Под скорлупой ты рыхл и сыр.

 

Несчастная звезда! - пеки,

Хоть жару вечности поддай:

А то, пожалуй, не с руки

Ремонтировать ад да рай.

5

너의 음식은 그림자처럼 싱거워,

존경하옵는 세계여.

너의 표면은 하찮아

달걀껍질 아래 너는 푸석한 날것

 

불행의 별이여! - 빵을 구워라,

영원의 열기라도 내와라:

그렇지 않다면 지옥이고 천국이고

집수리하기 어렵겠다.



비비힌이 세계에서 자신의 장소를 찾아야 한다고 말할 때는 세계라는 말이 거창하게 들리더니 오볼두예프의 시에서는 하찮고 덧없는 것이 되어 버립니다. 세계를 뜻하는 러시아어 미르(мир)’는 형용사일 경우 날 것’, 명사일 경우 치즈를 뜻하는 싀르(сыр)’와 각운을 이루고, 음식을 뜻하는 예다(еда)’는 하찮은 것을 뜻하는 예룬다(ерунда)’와 소리가 비슷합니다. 이처럼 각 시행의 마지막 단어들이 이루는 세로축에서는 세계 날것 - 음식 하찮은 것이라는 의미의 사슬이 생깁니다. 이렇게만 보면 마치 세계가 아주 일상적인 차원으로 내려와 친숙해지는 것 같지만 이 연의 첫 번째 가로축인 1행에 나오는 단어들을 보면 그림자처럼이라는 말 때문에 세로축의 사슬에 덧없음’, ‘실제가 아님이라는 의미가 덧붙여집니다.

 

이 연의 마지막 단어 싀르’(날 것)는 마지막 가로축의 단어로서 세로축과 꼭짓점을 이루는데, 첫 번째 가로축과 세로축이 꼭짓점을 이루는 단어 예다(음식)’와 위치적으로도, 의미적으로도 대립합니다. 이때, 이 연이 이루는 사각형에서 싀르의 대각선 방향에 있는 첫 단어 프레스나(싱거워)’를 직선으로 이어보면 싀르’, ‘예다’, ‘프레스나는 삼각형을 이룹니다. 음식이 아직 날것이니 싱거운 것은 당연한 일인데, 이 삼각형의 가장 넓은 변 한가운데에 그림자라는 말이 들어 있습니다. 조리하지 않은 날것을 음식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음식인 듯 하지만 제 역할을 하는 실체가 아니니 음식의 그림자라고 해야 할까요? 지금까지 설명한 것들을 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원문의 어순에 따르면 싱거워가 제일 처음에 나옵니다)




세계란 날것이므로 시적 화자는 2연에서 지구별을 가리켜 불행한 별이라고 말하는 걸까요? 아니면 여기서 불행한 별은 다른 별을 가리키는 걸까요? ‘불행한 별의 실체에 대해 알 수는 없지만 2연은 요리와 집수리 등 살림살이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런데 이 살림살이와 관련된 단어들은 영원’, ‘천국’, ‘지옥이라는 어마어마한 단어들과 결합됩니다. 무언가 맛있는 것을 든든히 먹어야 형이상학적인 문제들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시는 오로지 세계를 벗어나려는 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연에서 각 행의 마지막 단어들이 이루는 세로축이 세계를 사소한 것의 차원으로 끌어 내린다면, 2연에서 각 행의 마지막 단어들이 이루는 세로축은 살림살이와 관련된 단어들에서 갑자기 천국으로 비약하기 때문입니다. “빵을 구워라(пеки) 음식을 내와라(поддай) 손쉽지 않다(не с руки) 천국(рай)”. 2연도 사각형을 그려서 대각선을 그어보면 첫 단어 불행한 별천국을 이을 수 있습니다



1연의 대각선이 싱거워에서 날 것으로 거의 동어반복적인 단어들을 잇는다면, 2연의 대각선은 서로 반대되는 말들을 잇습니다. ‘불행한’ - ‘천국’. ‘천국은 불행하다라는 아이러니로 읽힐 수도 있겠지만 시를 읽을 때 왼쪽 위에서부터 오른쪽 아래를 향해 읽는다는 것을 염두에 두면, 시는 불행에서 천국으로의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세계에는 아무 것도 없습니다. 시적 화자는 세계에서 살림을 차리고 싶어 하고 천국과 지옥도 생활에 편리하게 집수리(ремонтировать)하고자 합니다. 러시아에서 길을 걷다 보면 수리를 뜻하는 레몬트(ремонт)’라는 말이 자주 눈에 띕니다. 시계 레몬트, 신발 레몬트, 휴대폰 레몬트 등등. 부동산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아파트는 유럽식으로 집수리한 예브로레몬트(евроремонт)’입니다.

 

시적 화자는 레몬트라는 단어처럼 천국과 지옥을 친근한 일상으로 가져오고 싶지만 눈앞에 보이는 것은 먹을 것이 없는 날 것 그대로의 세계입니다. 비비힌의 말처럼 시적 화자도 물리적으로는 불행한 별에서 어느 한 점을 차지하고 있겠지만 불모의 세계 앞에 먹먹하게 서 있습니다. 날 것인 세계는 어떠어떠한 맛으로 규정할 수 없는 무맛입니다. 세계의 일부인 그 역시도 날 것으로 서 있을 것입니다. 하이데거의 표현을 빌려보자면, 세계, 영원, 천국, 지옥 등이 손-안에-있게 할 수 있도록(Zuhandenheit), 날 것의 세계도 조리하고 사후 세계도 수리하고 싶지만 그는 어느 것도 손 안에 쥐고 있지 못합니다. 그는 세계, 영원, 천국, 지옥을 자신에게 등록하고 싶어 하지만 날 것의 세계 속에서는 그 자신도 그 어느 곳에 등록되지 못한 무레기가 됩니다.

 

 

백 한 번째 킬로미터

게오르기 니콜라예비치 오볼두예프(Г.Н. Оболдуев, 1898-1954)는 블라디미르 현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성만 들으면 그가 귀족이라는 걸 누구나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프세볼로트 네크라소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언급했던 19세기 시인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의 서사시 루시는 누구에게 살기 좋은가(Кому на Руси жить хорошо)에서도 오볼트-오볼두예프라는 지주가 풍자의 대상이 됩니다. 네크라소프가 오볼두예프 가문을 염두에 둔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성이 뭔가 귀족적이라는 데에는 의심이 없겠습니다. 1933년 게오르기 오볼두예프는 반소비에트 선동을 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고 1934년부터 3년 동안 러시아의 서북단 카렐리야 지방에서 유형을 살았습니다.

 

그의 생애를 훑어보던 중 재미있는 표현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101-ый км인데 우리말로 직역하면 백 한 번째 킬로미터입니다. 처음에는 “101킬로미터인 줄 알았지만 다시 보니 백 한 번째 킬로미터가 맞았습니다. 영어로 하자면 원헌드레드 퍼스트 킬로미터가 되겠습니다. 유형에서 돌아온 오볼두예프는 백 한 번째 킬로미터밖에서 사는 것만 허용되었다고 합니다. 백 한 번째 킬로미터는 소련 당국이 시민을 등급별로 분류하는 기준의 일종으로서 이 등급을 부여받은 시민은 모스크바, 레닌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 키예프, 민스크 등 소련 주요공화국들의 수도에서 101킬로미터 떨어진 곳 밖에서만 살아야 했다고 합니다. 그에 따라서 시민으로서의 각종 권리도 누릴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백 한 번째 킬로미터라는 말은 시민권이 제한된 상태를 가리키는 비공식적 표현으로 굳어졌다고 합니다.(2001년에는 <백 한 번째 킬로미터>라는 영화도 개봉되었고, 이 제목의 노래도 두 곡이나 있습니다!) 지금도 모스크바에서 지방으로 교외열차를 타고 가다보면 저렇게 킬로미터 이름이 붙은 플랫폼들이 종종 보입니다.


"쯧쯧, 가서 도리깨질이나 좀 해라!" - "아야아야, 배 아파서 못해요!" 소련 당국은 집시, 부랑자, 거지 및 “꽃피는 소련의 수도”의 인상을 해칠 수 있는 게으름뱅이, 무위도식자 등을 수도에서 101km 밖으로 퇴출했다.


 요즘에도 모스크바시의 가장 바깥을 두르고 있는 모스크바자동차순환로인 므카드(МКАД)’가 삶의 질을 결정한다고 합니다. 시내에 그나마 가까운 므카드 안은 집값이 비싼 대신 어느 정도 윤택한 생활을 보장하고 집값이 싼 므카드 밖의 삶은 힘겹다는 것이겠지요. 그래서 러시아의 삶은 두 가지다. 므카드 안과 므카드 밖.’이라고 종종 농담한다고 합니다. (저는 다행히도 므카드 한참 안에 삽니다) 이등시민이 된 오볼두예프에게 세계는 모스크바를 기준으로 백 한 번째 킬로미터 과 백 한 번째 킬로미터 으로 나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비비힌의 말을 다시 떠올려 본다면, 백 한 번째 킬로미터 안에 거주등록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세계에서 자신을 찾은 것은 아니니 껍데기일 뿐입니다.

 

다음에 전문 인용하는 시는 오볼두예프가 반소비에트 선전으로 체포된 해인 1933년에 쓴 연작시 삼각형입니다. 체포 전에 쓴 것인지 체포된 후에 쓴 것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세계에서 자신을 찾으려는 시도로 보입니다.



ТРЕУГОЛЬНИК

 

1

Роскошен и лишнь, как палец,

Указывающий слепым,

Жил я под взмахом палиц,

Падающих в меня, как в дым.

Этим жестом цапающей руки,

Я пытался направить в стержень

Бледные щупальцев ростки.

Если удаётся уравновесить

Невзыскательную игру,

Так счастлив я, словно месяц,

Синенький, горланящий: “тпру!”

삼각형

 

1

맹인에게 무언가 가리키는 손가락처럼

사치스럽고 잉여로운

나는 연기를 가르듯 내 안으로

곤두박질치는 곤봉들 아래 살고 있었다.

할퀴는 손의 제스처로

나는 촉수의 창백한 새싹들을 축대로

몰아가려 애썼다.

그다지 까다롭지 않은 게임에서

균형을 잡게 된다면,

나는 워워워!” 외쳐 세우는

새파란 초승달처럼 행복하여라.



왜 연작의 제목이 삼각형일까요? 세 편의 시를 통틀어서 삼각형과 관련된 것은 전혀 나오지 않습니다. 앞에서 읽은 시 <너의 음식은 그림자처럼 싱거워>에서 의미의 사슬을 이루는 단어들을 연결하면 삼각형이 나오긴 했습니다. 시의 이미지들이 가리키는 방향들을 이어보면 어떻게 될까요? 우선 맹인에게 무언가를 가리키는 손가락같은 시적 화자는 수평선에 있는 듯합니다. 왜냐하면 그 안으로 곤봉들이 수직으로 곤두박질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위태로운 상황에서 시적 화자는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는 촉수에서 난 창백한 새싹들을 축대로 몰아가려고 합니다. 이 촉수의 새싹들을 떨어지는 곤봉들로부터 피하게 하려는 것일까요? 그런데 새싹들을 축대로 몰아가는 일이 그다지 까다롭지 않은 게임이라고 하지만 축대에서 균형을 잡는 것은 쉽지 않은 모양입니다. 왜냐하면 마지막 두 행이 긴장감으로 가득하기 때문입니다. “워워워는 달리는 말을 세우는 소리인데, 이때 뒷발로 선 말이 앞다리와 몸통을 위로 들어 올리는 모습이 떠오릅니다. , ‘새파란 초승달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공포영화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기 전이면 새파랄 정도로 깊은 밤에 초승달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보름달을 더 자주 보여주던가요?) 시의 마지막 두 행에서는 일촉즉발의 두 가지 긴장감이 겹치는데 화자는 이것에 행복을 빗댑니다.

 

, 이렇게 해도 왜 삼각형인지 모르겠습니다. 시적 화자가 위치한 수평선, 떨어지는 곤봉들의 수직선, 축대로 촉수의 새싹들을 모는 움직임을 이어 봐도 삼각형이 안 나옵니다. 시의 마지막 단어들이 이루는 각운을 따져보니 전체 11행으로 이루어진 이 시에서 6행의 마지막 단어 축대(стержень)’만 짝이 없습니다. ‘축대를 가운데 두고 5행의 (루키, руки)’7행의 새싹들(로스트키, ростки)’이 각운을 이룹니다. , ‘축대11행 중 한가운데 있어서 왠지 이 시의 축대인 것처럼 읽히기도 합니다. 축대라는 단어를 꼭짓점으로 하고 첫 행의 첫 단어와 마지막 행의 첫 단어를 이어보면 삼각형이 만들어지긴 합니다. 이렇게 보니 꼭짓점으로 서 있는 삼각형이 급하게 멈춰 세워 앞발을 든 말이나 초승달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원문에서는 첫 행과 마지막 행이 길어서 안정적으로 바닥에 붙어 있지만요... 그런데 억지로나마 삼각형을 그려놓고 보니 축대의 꼭짓점과 마주한 변을 이어보면 가 나옵니다.




연작의 두 번째 시를 읽어보면 왜 삼각형인지 알 수 있을까요? 두 번째 시는 불안감과 긴장감이 지배하던 첫 번째 시와 다르게 사랑스러움으로 넘칩니다.

 


2

Я расплёскан и пролит

В её милое существованье.

Маленькое чудо, вспотевшее

Упрямым запахом ромашки,

Доверчиво прокладывает взгляд

В мой опротестованный мир.

Лёгкое тело облетает

Невольным лепестком улыбки;

Верные шаги ведут её

К моему проклятому забвенью.

Нет сил мне пыжиться, девочка,

За твоим родимым доверьем;

Я готов зачерпнуть тебя:

Берегись - погибнешь или сдохну.

2

나는 엎질러져 그녀의 사랑스러운

존재로 흘러들었다.

들국화의 고집 센 향기에

흠뻑 땀 흘리는 작은 기적은

항의 받은 나의 세계에

순진한 시선을 얹는다.

가뿐한 육체가 미소의 짓이겨진

꽃잎이 되어 사방을 날아다닌다:

듬직한 발걸음은

나의 몹쓸 망각으로 그녀를 이끈다.

내게는, 소녀야, 무엇이든 잘 믿는

너를 뛰어넘을 힘이 없구나:

나는 너를 길어낼 준비가 되었다:

조심하렴 네가 파멸하거나 내가 뒈질테니.


 

여기서도 시적 화자는 수평선에 존재합니다. 그는 바닥에 엎질러져 그녀의 존재로 흘러들고, 그녀 역시 그의 세계에 시선을 얹습니다. 그래서 두 가지 수평선이 겹쳐집니다. 그녀에게로 그가, 그녀가 그에게로. 두 수평선이 교차되자 육체는 원을 그리며 나는데(‘오블레타예트(облетает)’은 둥글게 주변을 날아다니는 것을 뜻하는 동사입니다) 왠지 교차육체라는 말이 더해지니 에로틱한 분위기를 풍깁니다. 그런데 시적 화자의 세계는 어둡습니다. 그의 세계는 누군가로부터 항의 받은 떳떳하지 못한 세계이고, 무엇이든 망각되는 몹쓸 세계입니다. 그는 무엇이든 잘 믿는 밝은 그녀를 피해가고자 그녀의 순진함을 뛰어넘으려고 합니다. 수직의 도약이 시도되지만 시적 화자는 그럴 힘이 없어서 차라리 땅 아래를 향합니다. ‘나는 너를 길어낼 준비가 되었다.’ ‘너를 길어낸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이 시에서도 마지막 두 행은 긴장감으로 가득합니다. 두 세계들이 교차하여 생겨난 힘의 작용 속에서 둘은 함께 살아남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 상황에서도 시적 화자는 그녀를 아껴 그녀의 죽음에 대해서는 파멸이라는 고상한 단어를 씁니다. 자신의 죽음은 뒈지는 것으로 격하합니다. 자신이 뒈져낮아짐으로써 그녀가 높아진다는 것이 너를 길어낸다는 것의 의미일까요?

 

두 수평선의 마주침, 원을 그리며 날아다니는 육체, 좌절된 상승의 시도, 그 대신 수평선 아래로 내려가는 시적 화자. 그는 마지막 시에서는 그녀가 없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3

Посеет ловкость кривотолка

Такую скромность нас,

Что она вспомнится, как чолка,

Как рабочий танцкласс.

Замурованных жертв

Обозначит, что позабыто

Множество милых черт,

Что восторженность узких знаний,

Мыслей, кокетств, чувств -

Только не более чем знамя

Старинной системы прокруст”.

Исход из таких оснований

Всё же не столь велик,

Чтоб я вложенными перстами

Пренебрёг, как мужик.

 

VI. 1933

3

날쌘 헛소문이 뿌려대는

우리의 소박함 덕분에

앞머리 같은 그녀,

노동자 댄스수업 같은 그녀가 생각날 것이다.

사랑스러운 윤곽들이

망각되었다는 것, 편협한 지식들,

생각들, 교태들, 감정들의

들뜸은 프로크루스테스가 써먹던 낡은

시스템의 깃발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은

밀폐된 회생자들을 가리킬 것이다.

그런 밑변들에서 탈출한다는 것도

꽂아 넣은 손가락들을

투박한 농부처럼 아무렇지

않게 넘기기엔

어쨌든 대단치 않아.

 

VI. 1933



여전히 왜 제목이 삼각형인지는 오리무중이지만, ‘앞머리 같은 그녀’, ‘노동자 댄스수업 같은 그녀라는 비유가 매우 신선합니다. 노동자를 위해 개설한 댄스수업에서 그녀가 춤을 추며 앞머리가 통통 튀어 오르는 모습이 떠오릅니다. 앞머리는 러시아어로 촐카(чолка)’입니다. 발음도 발랄하고 촐싹거리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가볍고 신선한 첫 문장 다음은 정말 어렵습니다. 아마도 그녀에 대한 기억이 잊힐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아닐까요? 가장 문제가 되는 구절은 편협한 지식들, 생각들, 교태들, 감정들의 / 들뜸은 프로크루스테스가 써먹던 낡은 / 시스템의 깃발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프로크루스테스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악당입니다. 그는 지나가는 사람들을 붙잡아 집에 있는 철로 된 침대에 눕혀 그 사람의 키가 침대보다 작으면 늘여서 죽이고 크면 큰 만큼을 잘라 죽였다고 합니다. 침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있어서 그 누구도 침대에 키가 들어맞을 수 없었습니다. 프로크루스테스는 미노타우로스를 죽인 유명한 테세우스의 손에 죽었습니다. 테세우스는 프로크루스테스가 써먹던 방법 그대로 그의 침대에 눕혀 다리와 머리를 잘라 죽였습니다. 신화를 염두에 둔다면, 시적 화자가 프로크루스테스처럼 자신의 감정, 지식, 교태로 그녀에 대한 상을 재단했다고, 그녀의 섬세한 윤곽들을 자신의 틀에 맞추느라 잊어버린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가 만들어낸 도식에 그녀의 특성들이 모두 희생되어 도형 아래 묻혀버렸다고 읽어도 좋을까요?

 

이 구절을 지나면 더 큰 고비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스노바니예(основание)’라는 단어는 바탕, 근거, 근본 등을 뜻하는데, 도형의 밑변이라는 뜻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밑변이라고 옮겨 보았습니다. 시적 화자는 자신이 프로크루스테스처럼 만들어 낸 도형의 밑변들, 일정하게 굳어진 그녀에 대한 상들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듯합니다. 그런데 그런 도식들에서 벗어난다는 것도 시적 화자의 마음에는 들지 않는 모양입니다. ‘꽂아 넣은 손가락들을 / 투박한 농부처럼 아무렇지 / 않게넘긴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갈퀴로 건초를 휙휙 퍼 넘기는 단순하고 소박한 농부를 가리키는 걸까요? 이 구절은 정말 미스터리입니다. 의미를 파악하지 못해도 다시 읽고 싶어지는 시이긴 합니다.

 

 


단순함이 도둑질보다 나쁜 곳

오볼두예프의 가장 유명한 시는 <삼각형>이 아닙니다. 오볼두예프에 대한 글도, 연구도 거의 없다시피 하지만 그나마 널리 알려진 시는 바로 <잠수복>입니다. 잠수복은 러시아어로 스카판드르인데 배를 뜻하는 그리스어 스카포스(σκάφος)’와 사람을 뜻하는 안드로스(ανδρός)’가 합쳐진 말이라고 합니다. 앞에서 읽은 시 <삼각형>에서 시적 화자는 그녀를 길어내기 위해 아래로 내려가거나 그녀에 대한 기억을 온전하게 돌이키려고 삼각형의 밑변에서 탈출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시 <잠수복>에서는 오로지 심연으로 내려가고자 합니다



СКАФАНДР

 

В потугах творческих сначала

Я нужных слов не находил:

Мне всё вокруг обозначало

Желанный символ тайных сил.

 

И не в названьях было дело,

А в том, чтоб наспех продохнуть

Всем тем, что пело и летело,

Стремглав переполняя грудь.

 

Потом пришёл отбор понятий,

И вместе с ним такая стать,

Чтоб на натянутом канате

Стоять, ходить и танцевать.

 

Теряя силы на размене,

Копя проросшее зерно,

Дыша тугим обменом мнений,

Задохнуться немудрено.

 

Но в крепко спаянном скафандре

Я проникал до дна глубин,

Где б надлежало быть Кассандре,

Куда сходился клином клин.

 

И там отстаивалось слово,

Там слово начинало петь,

Там ветренность всего живого

Оно в свою ловило сеть.

 

Скафандр мой цел. Надёжен ворот,

Меня влекущий на волну.

И я, уютом не поборот,

Готов спускаться в глубину.

 

XII. 1947

잠수복

 

창작의 산통을 겪으며

필요한 단어를 찾지 못했다.

주변의 모든 것은 그토록 바라던

비밀스러운 힘들의 상징이었다.

 

문제는 제목이 아니었다,

노래하고 날아다니던 모든 것들이

부리나케 가슴을 부풀리며

숨을 크게 내쉬어야 했다.

 

잘 골라낸 개념들이 밀려왔다.

팽팽한 밧줄 위에 올라

서고 걷고 춤도 출 수 있는

멋진 자세가 생겨났다.

 

잔돈을 바꾸다 힘을 잃고

싹 난 알곡을 저장하고

의견 교환으로 팽팽하게 부풀어 올라

숨 막혀 죽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나는 촘촘히 땜질한 잠수복을 입고

깊은 바닥으로 스며들었다

카산드라에게 속해야 할 곳

쐐기와 쐐기가 한판 붙는 곳.

 

단어가 가라앉던 곳

단어가 노래를 시작하던 곳

단어는 살아있는 모든 것의 바람 같은

경박함을 그물로 잡고 있었다.

 

나의 잠수복은 튼튼하다. 파도로

나를 잡아끄는 옷깃은 믿음직하다.

안락이 때려눕히지 못한 나,

심연으로 내려간다.





삼각형에 대한 시를 읽고 이 시를 읽으니 이렇게 술술 읽힐 수가 없습니다. 시적 화자는 시인이 시를 쓰는 과정을 순서대로 이야기하는데 호흡 곤란’, ‘심해등의 모티프로 긴장감을 만들어 냅니다. <삼각형>에서는 꼭짓점으로 서 있는 삼각형이라는 균형 잡기 어려운 구도, ‘그녀혹은 라는 위기의 상황으로부터 긴장감이 생겨난다면, <잠수복>의 시적 화자는 팽팽한 밧줄 위에 올라 / 서고 걷고 춤도 출 수 있는 / 멋진 자세를 만들어 냈습니다. 그런데 시적 화자는 이 균형 잡힌 상황에 만족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심연으로 제 발로 내려갑니다. 그곳에서는 시인이 단어들로 삶의 단편들을 포착해내는 것이 아니라, 단어가 살아있는 모든 것의 바람 같은 / 경박함을 그물로 잡고있습니다. 그런 단어들을 만나러 시인이 내려가는 것입니다. 잠수복이 없다면 그는 죽을 것입니다. 그런데 단어들이 가라앉은 심연에서 시인의 목숨을 구해 줄 잠수복은 무엇일까요


1775년 프랑스의 라 샤펠 신부는 자신의 책 <스카팡드르 또는 인간배의 실제적, 이론적 제작에 대한 논고(Traité de la construction théorique et pratique du scaphandre ou du bateau de l’homme)>에서 ‘스카팡드르’라는 말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조지아에 다녀오고 레기스트라치야 문제로 고민하던 중 친구를 따라서 칼루가라는 지방소도시에 간 적이 있습니다. 그곳에는 소련 때 세워진 우주학역사박물관이 있는데요, 온갖 전시품들은 로켓을 쏘아 올리게 된 인류의 역사와 과거 소련이 누렸던 우주 패권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우주인들이 입는 우주복도 스카판드르라고 한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러시아어 사전을 찾아보니 스카판드르를 가리켜 인간 (혹은 동물)을 외부환경으로부터 고립시키기 위해 고안된 특별 장치라고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비비힌은 외부환경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점을 찾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세계 속에서 자신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세계가 무엇인지, ‘자기 자신이 무엇인지 규정해야 하겠지만 오볼두예프의 시적 화자처럼 일단 스카판드르를 입는다면 외부환경을 소거시킬 수 있으니 세계에서 자신을 찾는데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 점에서 다음 시는 오볼두예프가 내려간 심연의 특징들 중 하나를 보여줍니다. <시인>의 시적 화자도 아래로 내려갑니다



В едином мании перста

Залог чудес: глубокомыслье

Провалит, “будто в немца”, мысли

В тупой подвал, где простота

Бывает хуже воровства.

 

XI. 1948

한 번의 손가락 까딱거림에

저당 잡힌 기적: 심오한 사고는

독일인에게 빠져들 듯생각들을

먹먹한 지하실로 떨어뜨린다,

단순함이 도둑질보다 나쁜 곳.





독일인에게 빠져들 듯이라는 구절을 보고 도대체 이건 또 무슨 소리야 비명을 질렀습니다. 그런데 시집에 편집자가 단 주석을 보니 19세기 시인 표트르 안드레예비치 뱌젬스키(П.А. Вяземский, 1792-1878)의 시 <다른 쪽의 마슬레니차(Масленица на другой стороне)>(1853)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고 합니다


 

Немец к мудрецам причислен,

Немец — дока для всего,

Немец так глубокомыслен,

Что провалишься в него.

독일인은 지혜로운 사람,

독일인은 모든 일의 대가(大家),

독일인의 사고는 심오하기 짝이 없어

너는 그에게로 굴러 떨어질 것이다.



뱌젬스키는 장난스럽게 독일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오볼두예프는 뱌젬스키의 한 구절을 가져와 익살스러운 척 심각한 내용 한가운데에 박아 넣습니다. 그는 아마도 자신을 찾을 수 있는 세계란 단순함이 도둑질보다 나쁜 곳이라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잠수복>의 마지막 연과 겹쳐 읽어본다면 단순함이 줄 수 있는 안락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고 심연으로 내려가고자 잠수복을 주섬주섬 입겠지요. 그런데 이 구절은 지난 번에 읽었던 얀 사투놉스키의 시에도 있었습니다. 사투놉스키가 오볼두예프의 구절을 가져온 것이 명백해 보입니다


 

723

 

ПРОСТОТА СТИХА

была обманчива.

Она была

ХУЖЕ ВОРОВСТВА.

723

 

시의 단순함은

기만이었다.

그것은

도둑질보다 더 나빴다.



세계는 얼마나 더 복잡하고 어려워야 할까요? ‘단순함이 도둑질보다 나쁘다니 세계의 복잡함은 윤리적인 것인가 봅니다. 세계는 복잡해야 하는 것인가 봅니다. 외부환경에서 차지하는 공식적인 점을 찍는 거주등록도 복잡해 죽겠는데, 세계는 얼마나 어려워야 하는 것이기에 단순함은 도둑질보다 나쁘다는 것일까요? 비비힌이 설명하는 세계의 개념이 어려워서 오볼두예프의 시로 피신 왔는데 더 세게 흠씬 두드려 맞은 기분입니다. 결코 오볼두예프의 시를 두고 너의 음식은 그림자처럼 싱거워라고는 말할 수 없겠습니다. 일단 거주등록만큼은 쉽게 할 수 있는 한국이 그리워지는 요즘입니다.(한국에는 거주등록제도가 있긴 한가요?)

 

다음에는 레닌그라드에서 살다가 197031세로 요절한 시인 레오니드 르보비치 아론존의 시를 읽어보겠습니다. 얼마 전에 그의 책을 다시 출간하기 위한 크라우드 펀딩에 돈을 내서 작품집 두 권을 받았거든요.

 

 

P.S.

이렇게 해서 시는 복잡한 것이냐, 단순한 것이냐는 논쟁으로 되돌아옵니다.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1932<2의 탄생(Второе рождение)>이라는 시집을 발표합니다. 이 시집에서 그는 그동안 자기가 썼던 아방가르드적인 복잡한 시를 버리고 이교도적인 단순함에 빠져들고 있다고 말합니다. 한편, 오볼두예프는 파스테르나크의 단순함에 대한 지향을 비난하는 시<인용 19>를 씁니다. 사투놉스키는 시를 짧게 쓰세요 / 그래야 헛소리가 적고 / 금방 읽힌 답니다라고 충고했던 예브게니 크로피브니츠키를 겨냥했었지요. 기회가 된다면 파스테르나크-오볼두예프-크로피브니츠키-사투놉스키의 단순함에 대한 시적 논쟁을 살펴보고 싶습니다


  1. Оболдуев Г.Н. Стихотворения. Поэма. М.: Виртуальная галерия, 2005; Оболдуев Г.Н. Стихотворения 1920-х годов. М.: Виртуальная галерея. 2009. [본문으로]
  2. Бибихин В. Мир // Мир. Язык философии. СПб.: Азбука. 2015. С. 14. [본문으로]
댓글 로드 중…

최근에 게시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