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1

당신은 “no war”이 적힌 피켓을 들고 서 있다 - 할리나 크루크의 시 한 편 당신은 “no war”이 적힌 피켓을 들고 서 있다 서문 및 번역 이종현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거의 세 달 전 이리나 슈발로바의 시를 러시아어에서 우리말로 옮기고 슈발로바로부터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우크라이나 시인들을 더 추천해달라고 부탁했더니 할리나 크루크를 소개해주었습니다. 크루크의 시는 러시아어가 아니라 영어로 옮겨진 것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시를 러시아어에서 옮긴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궁여지책이었습니다. 그런데 어족 관계 상 거리가 훨씬 먼 영어에서 옮기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거의 유일한 초급 우크라이나어 교재 을 사서 틈틈이 공부했습니다. 러시아어를 안다고 해서 우크라이나어가 술술 읽힐 것이라는 생각은 아주 틀렸습니다. 우크라이나어 공부를 하지 않은 채 크.. 2022. 8. 17.
마이클 로우보텀, 《통화 개혁의 중요성 - Part 1. 왜 세상에는 부채가 그렇게나 많은가?》 (1999년 COMER 강연) 통화 개혁의 중요성(Significance of Monetary Reform) 마이클 로우보텀(Michael Rowbotham) 번역 l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강연록 소개: 이 글은 1999년 캐나다 COMER(통화 및 경제 개혁 위원회)에서 마이클 로우보텀(Michael Rowbotham)이 진행한 강연의 녹취록입니다. 이 강연에서 그는 현대 경제 시스템에서 화폐가 창조되는 방식을 규명합니다. 그리고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들을 현대 경제의 화폐 창조 메커니즘과 연결지어 간명하게 설명해냅니다. *강연자 소개: Michael Rowbotham(마이클 로우보텀)은 영국의 정치경제학자다. 두 권의 저서 과 를 썼다. 현대 경제가 부채 기반 통화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으며, 상업은행의.. 2022. 8. 10.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과 1,5,6,7장 (5/5)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 & 1, 5,6,7장 (5/5) 번역 연구공간 L. * 텍스트 서지사항 - Donna J. Haraway,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16, pp. 126-133. -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가제) 》 7장 호기심어린 실천 흥미로운 연구는, 존재를 흥미롭게 만드는 조건 하에서 행해진 연구이다. - 뱅시안 데스프레 확대된 정신능력으로 생각한다는 것은 우리가 우리의 상상력을 방문하도록 훈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한나 아렌트, 《칸트 정치철학 강의》 뱅시안 .. 2022. 8. 10.
저런의 <근대성에 젠더를 기입하기> 근대성에 젠더를 기입하기-리타 펠스키, 김영찬/심진경 역, 『근대성과 젠더』, 자음과 모음, 2010 저런(서교인문사회연구실 세미나 회원)         1.1990년대 후반 『근대성과 페미니즘』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던 이 책은 당시 한국문학 근대성 연구에서 젠더의 주제화부터 연구의 대상과 방법론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끼친 텍스트 중 하나다. 한편으로 이 책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유효한데, 리타 펠스키는 이분법적 비판을 넘어선 젠더적 관점을 통해 근대성과 근대적 이론의 보편적 신화를 해체하고 연구 대상 역시 다양한 문화적 텍스트로 확장시켰기 때문이다.  가령 근대성에 대한 대표적 저작인 버먼의 『현대성에 대한 경험』에서 ‘파우스트, 마르크스, 보들레르’로 제시되는 전형적인 근대적 영웅은 남성성과 근대.. 2022. 8. 5.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3/3)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3/3) 마가렛 데이비스(Margaret Davies) 김우리 5. 폭력을 보존하기 따라서 법 안에 박혀 있는 침묵 혹은 신비적 요소는 법 안의 결정불가능성의 계기를 표시한다. 나는 이것을 곧 더 설명하겠지만, 우선 이것이 단순히 법의 기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단순히 법을 규정하는 외재적인 힘이 아니라 법에 내재적인 힘이다. 이것은 데리다가 이 두 가지 유형의 법과 관련된 폭력 사이 벤야민의 구별을 해체하는 『법의 힘』 2부에서 상세하게 검토한 문제이다. 여기서의 핵심은 법이 진행 중인 적법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정초적 폭력이 반복되어야 한다는 것, 보다 정확히는 되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초는 약속이다. 모든 정립(즉.. 2022. 8. 3.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과 1,5,6,7장 (4/5)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 & 1, 5,6,7장 (4/5) 번역 연구공간 L. * 텍스트 서지사항 - Donna J. Haraway,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16, pp. 117-125. -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가제) 》 6장 세계에 씨뿌리기: 지구의 타자들과 함께 땅을 일구기 위한 씨앗 주머니 식물언어학자는 미학적 비평으로 이렇게 말할 것이다. “그들이 가지eggplant를 읽을 수조차 없다는 것을 너는 알겠니?” 그리고 그들이 배낭을 메고 산에 올라, 산 북쪽정상에 낀 이.. 2022. 7. 28.
학술커먼즈를 구성하는 암묵지에 대한 질문 학술커먼즈를 구성하는 암묵지에 대한 질문 조지훈(서교인문사회연구실) *본 원고는 2022년 4월 21일 성신여대 인문도시사업단 주최로 발표한 심광현 선생님의 「커먼즈의 한 형태로서의 지식순환협동조합 대안대학의 교육이념: 과 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입니다. 따라서 심광현 선생님의 발표문의 논지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을 던지는 형식으로 쓰여진 글입니다. 우선 심광현 선생님의 발표문에서 제시된 의 교육이념을 보면서, 이러한 프로그램 속에서 수업을 듣게 될 학생들이 부러워졌습니다.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이념 하에 사회과학, 자연과학, 인문학, 인지과학을 공부하게 될 학생들, 단순히 지식의 축적만이 아닌, 자본주의 사회에서 요구하는 경쟁적 주체가 아닌 협력적 주체로 전환되는 실천적인 지식을 배우게 될 학생들은 얼.. 2022. 7. 22.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과 1,5,6,7장 (3/5)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 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기》서문 & 1, 5,6,7장 (3/5) 번역 연구공간 L. * 텍스트 서지사항 - Donna J. Haraway,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16, pp. 104-116. - 도나 해러웨이, 《트러블과 함께 머물기:대지세 시대의 친족 만들(가제) 》 5장 오줌으로 넘쳐나는: 다종 응답-능력에서의 데스DES와 프레마린 한 배에서 나온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2차 대전 후의 정보기술과 전 지구화된 디지털 신체 및 정치, 그리고 인간 및 비인간의 문화 등의 ‘잡동사니에서 탄생한’[한 배에서 나온] 친족이다. 사이.. 2022. 7. 20.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2/3)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2/3) 마가렛 데이비스(Margaret Davies) 김우리 2. 법의 법의 법 서구 법 이론에 대한 이러한 입문적 요점을 염두에 두면서, 나는 이제 소설(아마도 허구)로 시작하는 데리다의 법에 대한 성찰을 자세히 설명하고 싶다. 데리다는 『법 앞에서』의 서두에서 몽테뉴(Montaigne)를 인용한다. “우리의 법마저 적법한 허구들을 가지며, 그 위에 자신의 정의의 진리의 기반을 둔다.” 적법한 허구의 수수께끼(enigma)는 데리다가 『법의 힘』에서 재론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켈슨 또한 전체 법질서를 하나의 허구로, 적절한 허구로 적법화하는 기본 규범을 기술했다는 것을 기억하라.) 우리는 적법한 허구가 법의 권위의 아포리아를 메운다(fill)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을 설.. 2022.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