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Project88 전쟁에 반대하는 러시아 좌파들 - 반전운동이 건설되다 [번역자의 말: 아래는 독일의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이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하여 홈페이지에 게시한 여러 소식과 분석자료들 중 하나를 번역한 것이다. 원문은 다음 주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rosalux.de/news/id/46037/russische-linke-gegen-den-krieg] 전쟁에 반대하는 러시아 좌파들 반전운동이 건설되다 루츠 브랑쉬(Lutz Brangsch) 번역 한상원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이미 러시아 군대의 침공 이전에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좌파 조직들과 여타의 반전론자들은 일관적으로 이 지역의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라는 요구를 제기하였다. 습격 이후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이 지속되었다. 러시아의 여러 도시들에서 평화시위가 발생했다. 인터넷에 퍼져.. 2022. 2. 28. [니 비니!]를 시작하며 니 비니! нi вiйнi! 우크라이나어로 '전쟁 반대'를 뜻하는 말입니다. 코미디언을 대통령으로 뽑아서 이런 비극이 일어났다는, 국방력을 미리 키우지 않아서 침공을 당했다는, 책임 없는 말들이 떠돌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사람들을 더 잘 알고 그들의 저항을 지지하기 위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반대하는 각국 시민들과 연대하기 위해 라는 코너를 만들었습니다. * 위의 이미지는 멕시코의 아티스트 파비안 엠마누엘이 삼지창을 형상화한 우크라이나 국장 '트리주브'를 비둘기 모양으로 만든 포스터입니다. 2022. 2. 28. 분리된 고용과 통합적 업무의 딜레마 : 건보공단과 건보고객센터의 이상한 원-하청 구조 더보기 아래 글은 2021년 1월 26일 열린 '국민건강보험고객센터 민간위탁 적절한가' 국회토론회 발표문입니다. 건강보험고객센터 노동자들은 2월 1일부로 전면 파업 중에 있으나 건보공단은 정규직 노조의 반대를 방패삼아 어떠한 대화도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 아래 발표문이 실린 자료집 전체를 함께 첨부합니다. 분리된 고용과 통합적 업무의 딜레마 : 건보공단과 건보고객센터의 이상한 원-하청 구조 전주희(서교인문사회연구실) 1. “나는 공단직원이 아닙니까?” 1) 민간위탁 고객센터 노동자들에게 사번 부여한 건보공단 2009년에 입사한 건보고객센터 김** 상담원은 최근까지 4번의 위탁업체가 바뀌었고, 바뀔 때마다 위탁업체에서 부여하는 사번도 바뀌었다. 그러나 입사한 이래 건보고객센터에서 동일한 업무를 지속적으로 .. 2021. 2. 7. 영화 <벌새>가 보여주는 여성 서사의 개방성: 저 남자 왜 울어? 영화 가 보여주는 여성 서사의 개방성: 저 남자 왜 울어? 단감 여성의 이야기에서 남성은 어떤 역할을 맡을 수 있을까? 끝끝내 쓰러뜨려야 할 적일 수도 있고, 적당히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이나 승리의 결과로 따라오는 트로피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떤 식으로 다루든 ‘여성 서사답지 못하다’는 문제제기가 따르기 십상이다. 남성이 적이면 ‘남성에게 맞서는 것도 결국은 남성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일 뿐’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남성이 성적 대상으로 등장하면 ‘여성이 끝내 남성과의 이성애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야기’라는 평을 들으며, 남성이 동지로 등장하는 경우는 거의 공감을 얻지 못한다. 이런 논쟁을 피하려면 남성이 아예 등장하지 않는 편이 가장 안전한 선택지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작년에 한국에서 호평을 .. 2020. 7. 20. 정동으로서의 ‘공정’ - 누가 고통을 말하는가. 정동으로서의 ‘공정’ - 누가 고통을 말하는가. 전주희 ‘다시’ 공정의 한 복판 2019년 문재인 정부의 최대 위기였던 조국사태에 대한 논란은 ‘공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증폭되었다. 그리고 이는 86세대와 2030 세대간의 갈등으로 표현되었다. 최순실 게이트가 박근혜 퇴진과 문재인 정부의 등장으로 이어진 ‘촟불정국’에서 정유라 이대 입시 및 수업 특혜문제는 전체 정국에서 곁가지에 불과했지만 분명한 변곡점을 이룬다. 문재인 정부는 그 어느 정부보다 공정을 화두로 삼았다. 2017년 5월 10일 제19대 대통령 취임선서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조국사태를 거쳐 최근 불거진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화를 둘러싼 갈등에서 문대통령에.. 2020. 7. 6. 과로자살의 사회적 인정과 배제를 넘어: 과로 개념을 다시 생각하다(2) 과로자살의 사회적 인정과 배제를 넘어: 과로 개념을 다시 생각하다 (2) 전주희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1) 들어가며: 요약(2) 국가의 자살예방정책(3) 과로자살의 법적 이해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 ‘업무상 재해’로서의 자살(4) 프랑스 텔레콤 사례를 통해 본 ‘경영상의 학대’에 따른 노동자 자살(5) 과로자살을 통해 다시, 과로를 생각한다. ① 과로자살의 인정과 배제의 변증법 ② ‘집단’으로서의 과로자살, 그리고 과로 (이어서) (3) 과로자살의 법적 이해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 ‘업무상 재해’로서의 자살. 과로가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나아가 사회적 문제로 회자된지 오래지만 법은 과로라는 개념을 채택하고 있지 않다. 다만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보험법)에서는 ‘업무상 재해’라는 단어가 과로로 .. 2018. 12. 10.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