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나 츠베타예바와 『끝의 시』 (1)
영화 <벌새>가 보여주는 여성 서사의 개방성: 저 남자 왜 울어?
정동으로서의 ‘공정’ - 누가 고통을 말하는가.
[번외편]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3)
[번외편]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2)
[번외편]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1)
달력, 아침, 페테르부르크, 권총 - 레오니드 아론존의 시 몇 편 -
일본군'위안부'라는 역사 이미지를 구성하는 시간
인정 이론과 이데올로기라는 문제 (2/2)
인정 이론과 이데올로기라는 문제 (1/2)
신자유주의 금융화 시기 도시 재개발의 전략적 수단 - 2
신자유주의 금융화 시기 도시 재개발의 전략적 수단 - 1
과로자살의 사회적 인정과 배제를 넘어: 과로 개념을 다시 생각하다(2)
과로자살의 사회적 인정과 배제를 넘어: 과로 개념을 다시 생각하다(1)
너의 음식은 그림자처럼 싱거워 - 게오르기 오볼두예프의 시 몇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