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10

제국주의와 금융주의 : 어느 결합체에 관한 이야기(비클러 & 닛잔 2012) (1/2) 제국주의와 금융주의 : 어느 결합체에 관한 이야기 심숀 비클러(Shimshon Bichler) & 조나단 닛잔(Jonathan Nitzan) 번역 l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저자 소개 심숀 비클러는 이스라엘에 살면서 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가르치고 있고, 조나단 닛잔은 캐나다에 살면서 토론토의 요크 대학교(York University)에서 정치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닛잔과 비클러는 자본을 자본주의 사회의 중심적 권력 형태로, 자본 축적을 그 권력 자체가 계속 상품화되는 과정으로 본다. 자본주의에 관한 그들의 분석틀과 이론적 입장은 한국에도 소개된 (홍기빈 옮김, 2004, 삼인)에서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닛잔과 비클러는 권력자본론(Capital as Power, 줄임말로 CaP)을 토.. 2023. 1. 30.
<서교연 포럼> 체제 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 3 : 화폐팽창과 제국주의(김종철, 2022.09.13) Part.2 화폐팽창과 제국주의 :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정치학적 의미 김종철 ㅣ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정리: 박기형ㅣ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여는 말 이 글은 2022년 9월 13일 서교연 포럼 에서 진행한 김종철의 "화폐 팽창과 제국주의 -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정치학적 의미"라는 제목의 발표를 녹음하고 녹취록을 푼 것이다. 녹취록 내용과 그래프는 모두 김종철의 발표문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아래 발표 내용과 관련해 더 정리된 내용을 보거나 인용을 하고자 한다면, 2022년 제136호에 실린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제국주의 :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정치사회학적 의미"라는 논문을 참고하길 바란다. 논문을 볼 수 있는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 2023. 1. 18.
<서교연 포럼> 체제 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 3: 화폐팽창과 제국주의(김종철, 2022.09.13) Part.1 화폐팽창과 제국주의 :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정치학적 의미 김종철 ㅣ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정리: 박기형ㅣ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여는 말 이 글은 2022년 9월 13일 서교연 포럼 에서 진행한 김종철의 "화폐 팽창과 제국주의 -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정치학적 의미"라는 제목의 발표를 녹음하고 녹취록을 푼 것이다. 녹취록 내용과 그래프는 모두 김종철의 발표문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아래 발표 내용과 관련해 더 정리된 내용을 보거나 인용을 하고자 한다면, 2022년 제136호에 실린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제국주의 :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정치사회학적 의미"라는 논문을 참고하길 바란다. 논문을 볼 수 있는 링크는 다음과 같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 2023. 1. 9.
마이클 로우보텀, 《통화 개혁의 중요성 - Part 1. 왜 세상에는 부채가 그렇게나 많은가?》 (1999년 COMER 강연) 통화 개혁의 중요성(Significance of Monetary Reform) 마이클 로우보텀(Michael Rowbotham) 번역 l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강연록 소개: 이 글은 1999년 캐나다 COMER(통화 및 경제 개혁 위원회)에서 마이클 로우보텀(Michael Rowbotham)이 진행한 강연의 녹취록입니다. 이 강연에서 그는 현대 경제 시스템에서 화폐가 창조되는 방식을 규명합니다. 그리고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들을 현대 경제의 화폐 창조 메커니즘과 연결지어 간명하게 설명해냅니다. *강연자 소개: Michael Rowbotham(마이클 로우보텀)은 영국의 정치경제학자다. 두 권의 저서 과 를 썼다. 현대 경제가 부채 기반 통화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으며, 상업은행의.. 2022.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