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91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5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5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 2017. 9. 4. 네 번째 엽서: 현상학과 그라마톨로지 네 번째 엽서― 현상학과 그라마톨로지 ― 최 원 | 독립연구자 그 동안 잘 지내셨나요? 한 동안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더니 몇 번의 비와 함께 벌써 가을이 성큼 다가온 듯 날씨가 선선합니다. 이번 엽서에서는 전에 말씀 드린 것처럼 현상학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하는데, 이게 저로서는 조금 조심스러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오랜 기간 맑스주의나 포스트-맑스주의(특히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논의들), 그리고 정신분석학(특히 라캉의 논의들)에 관심을 기울여 왔기 때문에 현상학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부할 기회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저의 엽서를 받아보시는 당신도 어쩌면 현상학을 조금 낯설게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상학은 앞으로도 몇 차례에 걸쳐서 당신께 말씀드려야 할 주제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우선 데리.. 2017. 8. 31.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4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4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 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2017. 8. 18.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1/3)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1/3) 마르크뱅상 올레 번역 : 황재민 | 알튀세르 번역집단 (1) 원문은 Howlett, Marc-Vincent, «Le Théatre n’est-il pour Althusser qu’un «Risque Fictif»?», dans Lire Althusser aujourd’hui, l’Harmattan, 1997. http://www.multitudes.net/Le-theatre-n-est-il-pour-Althusser/ (2) 옮긴이의 개입은 중괄호 { } 안에 넣었다. 대개 인용 문헌들의 한국어판 서지 사항이다. 마르크스주의의 용어들 속에서 사고하는 것이 더 이상 긴급한 것이 아닌 몇몇 사람들의 눈에는 알튀세르에 대한 독해를 오늘날 다시금 끌어들.. 2017. 8. 16. 나의 학생운동 : Theoractical Moments 나의 학생운동 : Theoractical Moments 고준우 | 고려대 학생 활동가 4년차 들어가며 “모든 사회적 삶은 본질적으로 실천적이다. 이론을 신비주의로 유도하는 모든 신비는 인간의 실천 속에서, 그리고 이러한 실천의 개념적 파악 속에서 그 합리적 해결책을 찾아낸다.”-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8번왜? 경계인. 나는 세 가지 경계 위에 서있다. 하나는 소속의 경계다. 지금껏 운동을 하면서 다양한 운동단체에 소속된 활동가들과 함께해왔지만 정작 나 자신은 당론이나 강령을 통해 운동방향을 공유하는 정치조직인 정당이나 운동단체에 소속되었던 적이 없었다. 기조와 내규가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그 영향력은 덜한 학회나 학생회 조직에 소속된 경험이 전부였다. 다른 하나는.. 2017. 8. 13.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3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3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 2017. 8. 9.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