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1

[번외편]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1) 혁명적 시간의 시학: 횔덜린과 만델시탐 #1 아르테미 마군번역 이 종 현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소개하는 말] 지난 에서 다음에는 아르카디 드라고모셴코의 시를 읽어보겠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시가 너무 어려워서 '읽기'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의 연작 를 읽고 번역하고 있지만, 심지어 한련화 씨앗을 사서 화분에 심고 그 씨앗이 싹을 틔워 꼬불꼬불 자라나고 있지만 여전히 시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현대의 러시아에서는 어떻게 시를 읽고 있는지 힌트를 좀 얻어보려고 정치철학자 아르테미 블라디미로비치 마군(А.В. Магун)이 횔덜린과 만델시탐의 시를 분석한 것을 읽어보았습니다. 그의 글 역시 대단히 난해해서 번역이라도 해 보면 조금 이해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어 세 번에 나눠 번역을.. 2019. 7. 8.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합본) 2019. 7.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복잡한 시스템: 『남성노.. 2019. 6. 24.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2)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시스템 중심적 교차성: .. 2019. 6. 22.
가장 우울증적인 주체, 이성애 가장 우울증적인 주체, 이성애- 주디스 버틀러, 5장 읽기    쏠|서교연 페미니즘이론학교   최근 출판된 5장 ‘우울증적 젠더/거부된 동일화(identification)’에서 버틀러는 “먼저 자아가 젠더화된 성격을 띠게 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우울증적 동일화가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지 설명하고 둘째로, 이 같은 우울증적인 젠더 형성 분석이 동성애적 애착의 상실을 애도하기에 매우 어려운 문화 안에서 사는 것의 어려움을 밝히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설명”(196)[각주:1] 한다.     우울증적 동일화와 젠더화된 성격 습득   먼저 우울증적 동일시와 젠더화된 성격 습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버틀러는 프로이트의 상실과 대상리비도 집중에 대한 논의들을 끌고 온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 2019. 6. 18.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1)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요약문]이 논문에서 우.. 2019.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