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1

한국인권운동의 현재, 또 한 번의 전환이 필요한가? : 90년대 이후 한국인권운동의 역사와 현재적 도전 (3) 4.한국의 인권운동, 그래서 지금은 무엇이 필요할까? (1)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난다. 새로운 인권운동, 혹은 진보적 인권운동이라고 규정될 수 있는 90년대 이후 인권운동의 흐름이 보여주는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운동이 갖는 장점은 너무나 많다. 그 가운데서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강점은 운동의 유연성과 이로 인한 개입력이다. 한국의 인권운동은 매우 다양한 사회문제들에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하는 능력을 보여 왔다. 개인의 권리침해문제와 권리구제로부터 한국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체제변동을 위한 운동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인권운동은 사회운동의 거의 모든 의제에서 활동을 전개했다. 때로는 새로운 의제들을 설정하고, 새로운 운동방식을 선보였으며,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 2019. 3. 25.
달력, 아침, 페테르부르크, 권총 - 레오니드 아론존의 시 몇 편 - 달력, 아침, 페테르부르크, 권총- 레오니드 아론존의 시 몇 편 - 이 종 현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오볼두예프의 시에 대한 글을 쓰고 한국을 다녀오니 12월 말이었습니다. 연말이라 술을 마시고 정초라서 술을 마시다보니 어느새 세 달이 훌쩍 지나고 있습니다. 새해를 시작하는 마음으로 시인 레오니드 아론존의 을 소개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론존이라는 시인을 알게 된 것은 작년 이맘때쯤 학교에서 열린 학회에서였습니다. 이 학회는 학과에 개설된 “문학에서의 시각적인 것”이라는 세미나에서 봄마다 개최하는데, 학부생들과 대학원생들이 주축이 됩니다. 조직도 학생들이 하고 발표도 학생들이 하고 토론도 학생들이 합니다. 학회의 하루 일정이 끝날 때면 이십분 가량 ‘오늘의 총평’도 합니다. 작년의 학회 주제는 “부조리,.. 2019. 3. 20.
미셸 푸코의 반反-마르크스 이 텍스트의 번역대본은 다음과 같다. ‘L’Anti-Marx de Michel Foucault’, in Marx & Foucault. Lectures, usages, confrontations (La Découverte, 2015). 번역어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자면, 이론의 전개와 발전을 의미하는 développement의 경우, 맥락에 따라 발전, 전개, 이론적 전개 등으로 옮겼으며, divergence의 경우 분기 또는 분기점으로, diverger는 분기하다로 옮겼다. 윤소영 교수는 발리바르 텍스트의 번역에서 individualisation을 개별화, individuation을 개인화로 구분하여 번역하지만, 이 텍스트에서는 구별하지 않고 모두 개인화로 옮겼으나 대신 원어를 병기했다. construct.. 2019. 3. 19.
한국인권운동의 현재, 또 한 번의 전환이 필요한가? : 90년대 이후 한국인권운동의 역사와 현재적 도전 (2) 3.전환 이후 새로운 인권운동의 흐름 (1)자유권운동 전개과정자유권의 경우 새로운 인권운동은 1세대인권운동의 흐름을 기본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국가보안법폐지나 양심수 문제 등과 관련된 국가폭력으로부터의 자유를 지키고자 하는 운동은 90년대나 지금이나 계속되고 있다. 다만 1세대 인권운동이 자유권을 민주화운동, 노동운동, 통일운동, 민중운동 등 활동가들의 인권문제를 중심으로 전개해왔다면 새로운 인권운동은 자유권을 사회운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일반 영역으로 확대해갔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가령 재소자 인권문제도 양심수만이 아니라 소위 ‘일반 잡범’이라고 불리는 수형자 일반의 권리문제로 확장한 것이다. 또한 국가보안법 등 반체제적 활동에 대한 악업적 국가기구의 폭력만이 아니라 성적 표현의 자유와 같.. 2019. 3. 14.
주디스 버틀러, 우연적 토대 (3/3) 우연적 토대: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문제 (3/3) 주디스 버틀러번역: 단감/페미니즘 번역모임 주체에게 존재론적으로 온전하여 주체를 문화적 맥락 속에 배치해주는 성찰성은 없다. 그 문화적 맥락은, 말하자면, 표명되지 않은 채(disarticulated) 그 주체를 생산하는 과정으로서 이미 거기에 존재한다. 그 과정은 기성의 주체를 문화적 관계라는 외적 그물망 속에 위치지으려 하는 프레임에 의해 은폐된다. 주체의 행위 주체성(agency)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주체를 사전에 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빠질 수도 있다. 그러나 주체가 구성되었다는 주장이 그것이 결정되어 있다는 주장은 아니다. 반대로 구성되었다는 주체의 성격이 행위 주체성의 전제조건 그 자체이다. 자신에게 대항하게 될,.. 2019. 3. 11.
노란 조끼 이해하기 이 글은 verso books 블로그에 2019년 2월 15일에 올라온 글을 번역한 것임을 밝힙니다.원문 url : https://www.versobooks.com/blogs/4242-understanding-the-gilets-jaunes   노란 조끼 이해하기 엔조 트래버소 박상빈(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옮김 노란 조끼 운동이라는 이 특이한 형태, 특이한 상징, 특이한 실천은 보는 이들에게 놀라움과 당혹스러움을 선사한다. 우리는 모두 시위대의 급진주의, 투지, 그 놀라운 지속성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운동이 여러 지점에서 낯설고 분류하기 힘든 것임은 여전하다. 때문에 이들의 운동은 혁명의 전조라고 순진하게 이상화되거나 잠재적인 ‘파시즘의 씨앗(proto-fascist)’이며 위험하다고 둔탁하게 낙인.. 2019.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