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40 내부의 위기와 외부의 낙하 내부의 위기와 외부의 낙하 필자: 수차미 “한국에는 하나의 작품에 매몰되어 컷단위 대사단위로 분석과 감상글을 올리는 마이너 갤러리 커뮤니티 문화가 있습니다. 이들은 매주 최신 연재분을 자체 번역해서 공유하여 일본과 시차없이 작품을 소비하며 마치 경주마 감각으로 내가 빠는 이 작품이 판매량이 몇 천만부고 극장흥행 수익이 어떻고 이래서 라이벌 작품보다 우위에 있다는 '갈드컵'을 즐깁니다. 작품이 성장하고 세간의 인정을 받는 게 곧 나의 기쁨으로 환원되는 아이돌 오시 문화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 번역 블로거의 네이버 블로그에 올라온 글 「두유노 원나블헌 금속노조 진귀주톱?」을 읽었다. 이 글은 경기일보에 기고된 모 영화평론가의 글을 지적하며, 최근 일본 애니메이션의 흥행요인을 “좋아하는 사람이 .. 2025. 11. 23. 심숀 비클러 & 조나단 닛잔, 가자에 이르는 길(The Road to Gaza) 1편 가자에 이르는 길The Road to Gaza 심숀 비클러 & 조나단 닛잔[1]Shimshon Bichler & Jonathan Nitzan번역: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2024년 8월, https://bnarchives.yorku.ca/830/ The Road to Gaza - The Bichler and Nitzan ArchivesThe Road to Gaza Bichler, Shimshon and Nitzan, Jonathan. (2024). Working Papers on Capital as Power. No. 2024/0. August. pp. 1-19. (Article - Working Paper; English). Full Text Available As: Alternative Loc.. 2025. 11. 21. 캐슬린 매디언, <들뢰즈의 팔레스타인> 들뢰즈의 팔레스타인[1] 캐슬린 매디언 (Kathryn Medien)번역: 갈피 초록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는 이스라엘 국가의 형성 그리고 뒤이은 팔레스타인과 팔레스타인 민중에 대한 강탈 행위와 식민화를 되돌아보는 일련의 글들을 집필하였다. 지금까지 잘 논의된 바 없는 들뢰즈의 이 텍스트들은 이스라엘 국가를 식민주의 국가로 명명하며, 이스라엘의 식민화 프로그램을 미국의 식민화 프로그램과 선주민족들에 대한 집요한 강탈과 연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들뢰즈는 식민지적 폭력과 자본주의의 관계를 심도있게 고려하는 자본주의적 발전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고 본고는 주장하고자 한다. 들뢰즈의 팔레스타인 관련 저술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면서, 본고의 결론부에서는 왜 이러한 텍.. 2025. 11. 17. 비평의 트랙, 평론가의 자리 비평의 트랙, 평론가의 자리 필자: 수차미 박동수 평론가가 씨네21에 쓴 글 「밀레니얼의 문화 코드를 노려라, 게임 원작 영화의 현재와 미래」를 읽었다. 지면에 올라갈 좋은 글이라고 생각하면서 읽었는데 커뮤니티를 보며 생각 외의 반응이 나와 놀랐다. 씨네21이 왜 영화가 아니라 게임을 다루고 있느냐고 물으면서 대충 ‘씨네21이 망했다’는 식의 지적이었다. 어딜 가나 ‘망했다’는 말은 불만의 표시로 사용되니 별생각이 들지 않았지만, 이 반응이 지적하는 건 사실 유효하다. 게임과 영화를 한 자리에 두는 건 어쩌면 게임 웹진이 해야 할 것일 수 있다. 왜냐하면 영화는 모든 것을 다룰 수 있지만 반대로 게임은 영화가 아니면 다른 분야로 뻗어 나가기가 쉽지 않으니 말이다. 영화는 음식과 음악, 사회학과 인류학 등.. 2025. 11. 14. 스튜어트 홀의 영화적 협업과 이론의 시각화 - 아이작 줄리언의 <프란츠 파농: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을 중심으로 - 스튜어트 홀의 영화적 협업과 이론의 시각화 - 아이작 줄리언의 을 중심으로 - Stuart Hall’s Cinematic Collaboration and Visualization of Theory - Focusing on Isaac Julien's - 전솔비(서교인문사회연구실, 시각문화연구자), 이하림(시각문화연구자) *이 글은 제45권 7호에 게재되었습니다. 인용 시 해당 호를 참고바랍니다. 1. 들어가며“계급투쟁의 개념을 오직 혁명이 일어나는 바리케이드의 순간에만 맡겨두기보다는 저항을 문화적 영역에서 활동하고, 문화적 가능성을 확장하는 지속적 실천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아주 화려한 정치적 작업은 아닐지 모르지만 우리가 반드시 실천해야 할 작업입니다”(Hall, .. 2025. 11. 12. 우리는 웃어야 해서 웃는다 우리는 웃어야 해서 웃는다We Laugh Because We Must 에만 이드 Eman Eid 번역: 서제인 *원문 출처: https://wearenotnumbers.org/we-laugh-because-we-must We laugh because we must - We Are Not NumbersWhen we laugh in Gaza, it’s the kind of laughter that burns in our throats, hides our screams, and keeps us from unraveling.wearenotnumbers.org이 글은 올해 4월에 발행되었습니다. 지금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많은 수의 당나귀를 동물보호 명목으로 압수해서 사람들의 이동이 더욱 힘들어졌으며, .. 2025. 11. 11. 이전 1 2 3 4 ··· 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