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인-무브

2.18 대구지하철 참사에서 주체화 양상

- 유가족, 노동조합,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전주희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성공회대 민주자료관 2022년 1차 학술대회 발표문.(2022.7.8.) 71쪽~

 

학술대회_'국가폭력,_재난,_전쟁'_자료집1 (1).pdf
1.32MB

 

"대구지하철 참사가 해결불능인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20여년간 지속된 대구시와의 갈등이 주요하다. 대구시는 유가족을 고소고발 하는 등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하다 최근에는 회피와 무시와 같은 ‘권력적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또 다른 한 축은 부상자 단체와 희생자대책위와의 갈등이고, 유가족 내부, 즉 ‘희생자대책위’와 희생자대책위에서 분리되어 나온 ‘유족회’와의 갈등이다. 특히 유족회와 희생자대책위는 한때 추모식도 따로 개최할 만큼 갈등이 격화되었으며, 부상자 단체는 재단 기금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세 번째 축은 시민사회단체와 유가족(‘희생자대책위’)와의 갈등이다. 재단설립 과정에서 재단에 참여하는 지역 시민단체 인사들과 갈등이 불거졌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갈등이 축적되고 심화된 지난 20년간의 과정들을 설득력있는 논거로 정리할 수 없다. 다만 당사자들이 공통되게 지적하는 것은 각 주체간의 갈등이 지금처럼 적대시된 것은 대구시의 역할이 크다는 것이었다. 대구시가 ‘갈등’의 틈을 벌려놓았으며, 희생자대책위를 고립시키는 전략을 구사해왔다는 것이다.

특히 부상자와 유족간의 갈등이 그런데, 두 희생자 그룹은 처음부터 대구시와의 관계를 달리 맺게된다. 부상자 그룹은 ‘부상에 대한 치유와 보상’이 중요했고, 대구시가 처음부터 부상자 단체와 긴밀하게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반면 실종자에서 유가족으로 확인되는 과정에서 직접 목소리를 내고 대구시와 싸워왔던 유가족 단체인 ‘희생자 대책위’는 치유와 보상보다는 원인 규명과 책임추궁이 더 본질적인 활동으로 인식했 다.

다른 한편, 2018년에야 2.18 재단이 설립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구시는 희생자대책위의 유가족들을 전면 배제하고 시민단체 소속 인사를 협의대상으로 상정하면서, 일정정도 대구시의 요구를 받는 과정에서 유가족이 배제되고, 유가족과 시민단체 성원과의 갈등이 격화된다. 이는 현재 재단과 유가족과의 갈등으로 전환된 상태이다. 재단은 ‘참사 피해자들의 트라우마 치유’에 집중하고 싶어하지만, 유가족들은 애초에 참사당시 대구시와 유가족이 협의한 추모사업의 완결(추모비, 추모공원, 추모묘역이 제대로 조성되지 않는 문제의 해결) 없이는 치유와 회복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참사의 희생자에게 치유와 회복 그리고 원인규명과 책임의 문제는 모두 중요하다. 그러나 현실에서 참사 희생자에게는 마치 두 갈래의 선택지가 있는 것처럼 두 갈래의 길을 선택해왔다. 치유와 회복을 위해서는 조기수습과 빠른 보상의 길이 연결되어 있 었고, 원인규명과 책임의 문제는 곧잘 ‘피해자의 지나친 요구’와 ‘피해자의 성역화’라는 꼬리표가 뒤따른다.

문제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대구시가 부상자 단체를 대상으로한 치유란 금전적 보상 이외에 아무것도 없으면서, 부상자 단체는 자신들의 사라지지 않는 신체적, 정신적 고통에 대해 금적전 보상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다. 즉 치유의 차원과 가장 먼 방식으로 ‘종결’되었다. 두 번째는 피해자 자신이 ‘화해’를 받아들일 수 있지만, 다른 피해자에게는 ‘화해’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점 이다. 희생자 집단의 내부 분열이라는 프레임은 곧, 누구는 화해를 했는데, 누구는 화해를 거부하고 있다는 전제를 중립화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희생자대책위’는 대구시를 향해 지금까지 매우 구체적인 ‘책임추궁’을 하고 있다. 참사 초기, 수습과정에서 유가족과 합의한 약속을 지키라는 것이며, 이것을 기망하는 지난 20여년간의 대구시의 협박과 날조, 침묵과 회피를 가장 강한 어조로 규탄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 한에서 희생자대책위는 지역적으로 사회적으로 고립적인 상황을 수용하고 있 다. 수용하면서 자신들이 20여년전 규정한 ‘유가족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이들이 앞으로도 유가족 운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고립을 수용하는 방법 외에는 마땅한 길이 없어 보인다. 왜냐하면 유가족 운동의 고유성이 여전히 수용되거나 이해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희생자대책위’가 참사 초기부터 행한 활동 중에 가장 뼈아픈 것은 시민단체와의 연대이기도 했다. 활동 초기부터 시민대책위와 유가족간의 관계가 긴밀하지 않았다. 유가족이 먼저 ‘안전한 지하철 만들기’라는 의제를 사회적으로 제기하면서 의제 를 이끌고 나간 측면도 크다.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시민사회단체들은 ‘희생자대책위’ 를 부담스러워했다. 윤석기 위원장은 시민사회단체의 지지와 조력을 받지 못하는 지금 의 상황을 가장 뼈아프게 후회하고 있다. 하지만 한번 단절된 관계는 쉽사리 회복되지 않는다." 

-본문 중. 

 

 

 

댓글 로드 중…

최근에 게시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