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Project/니 비니! нi вiйнi! (전쟁 반대!)29

당신은 “no war”이 적힌 피켓을 들고 서 있다 - 할리나 크루크의 시 한 편 당신은 “no war”이 적힌 피켓을 들고 서 있다 서문 및 번역 이종현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거의 세 달 전 이리나 슈발로바의 시를 러시아어에서 우리말로 옮기고 슈발로바로부터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우크라이나 시인들을 더 추천해달라고 부탁했더니 할리나 크루크를 소개해주었습니다. 크루크의 시는 러시아어가 아니라 영어로 옮겨진 것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시를 러시아어에서 옮긴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궁여지책이었습니다. 그런데 어족 관계 상 거리가 훨씬 먼 영어에서 옮기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거의 유일한 초급 우크라이나어 교재 을 사서 틈틈이 공부했습니다. 러시아어를 안다고 해서 우크라이나어가 술술 읽힐 것이라는 생각은 아주 틀렸습니다. 우크라이나어 공부를 하지 않은 채 크.. 2022. 8. 17.
(또 다른) 전쟁 비용, 우리는 언제 기후변화와 싸울 수 있을까? 아래는 2022년 3월 31일 안드레아 마자리노(Andrea Mazzarino)가 라는 좌파 매체에 기고한 "The Costs of (Another) War, When We Could Be Fighting Climate Change" 칼럼을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옮긴 것이다. *원문링크: https://www.counterpunch.org/2022/03/31/the-costs-of-another-war-when-we-could-be-fighting-climate-change/ (또 다른) 전쟁 비용, 우리는 언제 기후변화와 싸울 수 있을까? 안드레아 마자리노 번역 ㅣ 박기형 미국의 6세 아동과 러시아의 85세 노인 사이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반대편에 있다는 것 외에 또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 2022. 7. 15.
펜타곤의 군수 하청업자들이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돈을 버는 방법 아래는 2022년 4월 18일 줄리아 글레드힐과 윌리엄 D. 하퉁이 라는 좌파 매체에 기고한 "How Pentagon Contractors Are Cashing in on the Ukraine Crisis" 칼럼을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원문 링크: https://www.counterpunch.org/2022/04/18/how-pentagon-contractors-are-cashing-in-on-the-ukraine-crisis/ 펜타곤의 군수 하청업자들이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돈을 버는 방법 줄리아 글레드힐 & 윌리엄 D. 하퉁 번역 ㅣ 박기형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우크라이나 사람들에게 엄청난 고통을 안겨주었고, 미국과 유럽 모두에서 군사비 지출 증가에 대한 요구를 .. 2022. 6. 18.
전쟁에 대해 쓴다는 것 - 이리나 슈발로바의 시 한 편 전쟁에 대해 쓴다는 것 서문 및 시 번역: 이종현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이리나 슈발로바(Ірина Леонідівна Шувалова)는 1986년 키이우에서 태어난 시인이자 번역가이다. 우크라이나 국민시인 타라스 셰우첸코의 이름을 딴 국립키이우대학교를 졸업했고 2011년 시집 을 발표하면서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2019년에는 우크라이나 최초 퀴어문학선집 의 출판에 공동편집자로 참여했다. 2020년에는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돈바스 전쟁에 대한 노래들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고 한달 후 3월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라는 시를 게시했다. 그리고 3월 26일, 라트비아에 살면서 현대 러시아시 문예지 의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는 러시아 시인 드미트리 쿠지민(Д.. 2022. 5. 24.
대량살상무기, 경제 제재 아래는 2022년 3월 17일 라구람 G. 라잔이 Project Syndicate라는 매체에 기고한 "Economic Weapons of Mass Destruction" 칼럼을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이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막기 위해 전세계의 국가들은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미국이 주도하여 취해진 경제 제재는 평화를 되찾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까? 그럴 때, 경제 제재가 국제질서와 각국의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고 얼마나 될지, 나아가 국가 간에 또 다른 갈등과 긴장을 불러오진 않을지 등을 면밀하게 살피면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모색할 수 있는 국제협력의 가능성은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 비록 짧은 글이고 세계화에 대한 .. 2022. 5. 9.
우크라이나 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 민주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한상원(서교인문사회연구실/충북대) [이 글은 필자가 참여한 4월 11일 학술대회 논평문과 4월 22일 경상국립대학교 학술세미나 발표 과정에서 준비한 원고를 토대로 수정, 보완을 거쳐 작성한 것이다.] 들어가며: 서구중심주의 이후 철학계에서는 ‘서구중심주의 이후’라는 문제로 논쟁이 존재한다. 우리가 잘 아는 위대한 철학사의 전통들, 예컨대 칸트, 헤겔, 맑스는 모두 서구중심주의자들이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학자들이 이를 비판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이에 대해 등장하는 흐름이 ‘반서구’의 관점을 추구하면서 ‘동양적인 것’ 내에서 서구를 극복할 수 있는 원리를 찾아야 한다는 또 하나의 강박에 노출될 것이 아닌가 싶은 것이다. .. 2022.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