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32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1/3)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1/3) 마르크뱅상 올레 번역 : 황재민 | 알튀세르 번역집단 (1) 원문은 Howlett, Marc-Vincent, «Le Théatre n’est-il pour Althusser qu’un «Risque Fictif»?», dans Lire Althusser aujourd’hui, l’Harmattan, 1997. http://www.multitudes.net/Le-theatre-n-est-il-pour-Althusser/ (2) 옮긴이의 개입은 중괄호 { } 안에 넣었다. 대개 인용 문헌들의 한국어판 서지 사항이다. 마르크스주의의 용어들 속에서 사고하는 것이 더 이상 긴급한 것이 아닌 몇몇 사람들의 눈에는 알튀세르에 대한 독해를 오늘날 다시금 끌어들.. 2017. 8. 16.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3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3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 2017. 8. 9.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2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2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 2017. 8. 5.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1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1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 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2017. 7. 28.
파올로 그라시(Paolo Grassi)에게 보내는 편지 (1968. 3. 6.) 파올로 그라시(Paolo Grassi)에게 보내는 편지 (1968. 3. 6.)-루이 알튀세르- 이찬선 옮김 | 알튀세르 번역집단 [편집자 프랑수와 마트롱(François Matheron)이 붙인 소개글]‘밀라노 피콜로 극단’의 책임자(directeur)인 파올로 그라시(Paolo Grassi)에게 부쳐진 이 편지는 골도니(Goldoni)의 희곡, 이 조르지오 스트렐러(Giorgio Strehler)의 연출로 오베르빌리에(Aubervilliers)의 라 코뮌(la commune) 극장에서 공연된 당일 밤과 이튿날에 걸쳐 작성된 것이다. 스트렐러는 1968년 4월 1일 ‘피콜로 극단 후원 협회(l’Association des Amis du Piccolo Teatro)’의 밀라노 본부에서 개최된 알튀세르와의.. 2017. 7. 25.
<젠더를 지배하는 과학, 젠더에 지배받는 과학>, 시작합니다! , 시작합니다!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트렌스레이팅 페미니즘 안에 코너속 코너가 생겼습니다. [젠더를 지배하는 과학, 젠더에 지배받는 과학]이라는 긴 꼭지명입니다. 아래글은 번역연재를 시작하며 번역자가 직접 코너에 대한 소개글을 썼습니다.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번역뿐만 아니라 번역한 내용과 관련된 연구메모를 곁들이게 될 것입니다. 다음 주부터 새롭게 연재하는 번역작업을 기대해 주세요! - 편집장 모든 인간 활동이 그렇듯이 과학의 존재방식도 복합적입니다. 과학 활동과 관련된 사물, 건물, 약품, 기계와 같은 “유물론적 층위”, 이것들의 화폐 값을 매기고, 분배하는 “경제적 층위”, 사람들의 행동이나 성과를 평가하고 자기 서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상징과 기호가 유통되는 “문화적 층위”, 여러 사.. 2017.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