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15

네그리, 『스피노자와 우리 시대』 4장 스피노자: 정동의 사회학 스피노자와 우리 시대정치와 탈근대 7 저자: 안토니오 네그리번역: 연구공간 L 기획, 주현‧이승준 옮김 4장 스피노자 정동의 사회학 1. 스피노자 대 사회학?이 글을 어떻게 틀 잡을지에 대해 고민하던 중 처음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몇 가지 어려움이 불쑥 튀어나오기 시작했다. 이 어려움은 스피노자를 사회학과 연결시키는 기획만큼이나 사회학 분야가 흔히 정의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사회학은 대체로 막스 베버에서 피에르 부르디외에 이르는 전통에서는 특정한 대상(“사회적인 것”)에 관해 가치평가를 하지 않는 학문을 의미하는 ‘가치중립적Wertfrei 학문’의 자세를 취한다. 그게 아니라면 뒤르켐에서 고프만에 이르는 전통에서 사회학은 스스로를 제도적 대상을 다루는 실증적 분과로 제시한다. 따라서 근대적인 학부 구.. 2025. 5. 12.
네그리, 『스피노자와 우리 시대』 3장 다중과 특이성: 스피노자 정치사상의 발전에서 스피노자와 우리 시대정치와 탈근대 6 저자: 안토니오 네그리번역: 연구공간 L 기획, 주현‧이승준 옮김 3장 다중과 특이성스피노자 정치사상의 발전에서 나의 과제가 스피노자 사상에서 다중과 특이성 개념의 발전을 개괄하는 데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래와 같은 짧은 여담으로 시작하는 것에 대해 먼저 독자에게 양해를 구한다. 이 글을 준비하면서 나는 최근 몇 년간 국제적인 철학 학회지 및 학술적 출판에서 자신들을 위한 틈새시장을 찾았던 특정한 저자들에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의 담론은 특이성과 다중이 관계를 맺는다거나 일치한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거부되어 있다는 것으로 압축될 수 있다. [하지만] 특이성과 다중의 관계는 열려있으면서도 완전히 본질적이며, 또한 그것은 1968년경의 민주적 스피노자주의.. 2025. 5. 3.
사변적 경험주의, 자연 그리고 포식적 추상화에 관한 물음: 디디에 드베즈와의 대화 사변적 경험주의, 자연 그리고 포식적 추상화에 관한 물음: 디디에 드베즈와의 대화 대담: 디디에 드베즈(Didier Debaise) & 토마스 P. 키팅(Thomas P. Keating)번역: 박기형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초록디디에 드베즈와의 대화1)에서, 이 글은 『사건으로서의 자연(Nature as Event)』(2017a)과 『사변적 경험주의(Speculative Empiricism』(2017b)를 가로지르며 사유함으로써 그의 철학에서 핵심적으로 다뤄지는 몇 가지 쟁점을 탐구한다. 즉, 사변적 경험주의를 사유하는 과제와 자연의 이분화(bifurcation of nature) 문제 간의 관계이다. 자연, 추상화, 이원론, 실용주의, 그리고 세계에 대한 우리의 감수성을 극적으로 표현하는 이야기의 역.. 2025. 4. 29.
네그리, 『스피노자와 우리 시대』 2장 역능과 존재론: 하이데거 혹은 스피노자 스피노자와 우리 시대정치와 탈근대 5 저자: 안토니오 네그리번역: 연구공간 L 기획, 주현‧이승준 옮김 2장 역능과 존재론 하이데거 혹은 스피노자 실재적인 것, 또는 헤겔이 근대라고 부른 것은 형식과 변증법에서 본질과 실존, 그리고 내부와 외부의 직접적인 통일이다. 즉 당신이 놓인 곳은 거의 2세기 동안 철학적 비판이 진전을 이루기 위해 분투해 온 폭풍우 치는 곶(cape)이다. 마치 헤겔이 이 문제를 해결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당대의 독일 철학의 은의 시대 동안, 그리고 나아가 동의 시대(19세기와 세기말의 “비판적 비판”과 위대한 보편철학의 시대)에, 본질과 실존, 실체와 역능(독일어로는 현실성Wirklichkeit과 현존재Da-Sein)은 점점 더 멀어져 갔다. 한때 유효한 실재로 여겨졌던.. 2025. 4. 15.
댄 테일러, <스피노자와 관계성> In: "Spinoza after Politics": Dan Taylor, Gil Morejon, Marie Wuth, and Jack Stetter (Keywords: Human Nature; Affects; Anarchism; State; Law; Imagination; War) https://www.thephilosopher1923.org/post/spinoza-after-politics 필자: Dan Taylor번역: 김강기명 그동안 스피노자의 선견지명과 정교한 철학적 기여, 특히 사회정치철학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스피노자는 네덜란드 황금시대 중심부인 암스테르담의 유대인 공동체에서 태어났으나, 그의 의심스러운 무신론으로 인해 박해받고 그 공동체에서 추방되었다. 버트란드 러셀과 질 .. 2025. 4. 13.
말하기, 대항말하기: 미셸 푸코에게서 파레시아의 형태들에 관하여 에티엔 발리바르의 저서 『자유로운 말』(Libre parole, Galilée, 2018)의 3장말하기, 대항말하기: 미셸 푸코에게서 파레시아의 형태들에 관하여[1][2]  에티엔 발리바르 지음배세진 옮김     하지만 사람들이 말한다는 사실에서 도대체 어떤 것이 그리도 두려운 것일까요?- 미셸 푸코, 『담론의 질서』(1971)[3] 이 자리에서 저는 파레시아에 할애된 푸코의 최후의 강의들에 대한 하나의 해석을, 그리고 그 어느 때보다도 더 오늘날 우리가 우리 스스로에게 제기하고 있는 푸코의 저작이 취하는 의미와 의도들에 대한 질문들에 대해 이 푸코의 최후의 강의들이 가질 수 있는 [복수의] 함의들을, 소묘해보고 싶습니다. 물론, 바로 이 질문들 사이에서, 푸코의 비판 개념의 변화(évolution)가,.. 2025.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