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Translation230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3부, 끝)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3부, 끝) 저자: 발레리 포도로가 (러시아학술원 철학연구소) 번역: 김수환 (한국외대) 3) 에테르, 전자기 또는 광학 기계. 플라토노프가 가장 좋아했던 기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테르의 값싼 에너지를 활용하는 전기장치다. 이 기계는 『체벤구르』의 드바노프, 『사유의 악마』의 보굴로프, 『마르쿤』과 『불가능한 것』의 주인공, 『달의 폭탄』의 페테르 크레이츠코프, 『많은 흥미로운 것에 관한 이야기』의 주인공 이반 코르치코프, 『태양의 후예』의 등장인물, 『바클라자노프의 모험』의 주인공 옐피디포 바클라자노프 등이 발명한 기계다. 제작자의 비전에 따르면 그것은 인간 이성의 놀라운 가능성을 구현한 결과물에 해당한다. 그와 같은 기계를 어찌 사랑하지 않을.. 2025. 8. 15. 영어의 아시아적 양식들에 대하여 (On the Asiatic Modes of English) 영어의 아시아적 양식들에 대하여On the Asiatic Modes of English *저자: 이택광 (Alex Taek-Gwang Lee)*원문: https://www.facebook.com/alex.t.lee/posts/pfbid0Y6EbWWt2TuuXhSDa9KbvQtba38dWreWCXxHMs9fpzKGZgDp2BvfecDSDtaxtED5hl*번역: 김강기명 (서교인문사회연구실) 가야트리 스피박은 나에게 외국어 학습의 중요성을 처음 각인시킨 인물이었다. 단일하고 동질적인 민족이라는 신화가 여전히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아시아의 작은 "민족 국가"에서 태어난 사람에게 이 교훈은 학문적 삶의 토대가 되었다. 그녀의 입장은 결코 실용주의적 관점으로 포장되지 않았다. 그녀는 언어를 단순히 상업이나 .. 2025. 8. 13.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2부)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2부) 저자: 발레리 포도로가 (러시아학술원 철학연구소) 번역: 김수환 (한국외대) 기계들의 퍼레이드 플라토노프의 작품(특히 20대와 30년대)에 등장하는 수많은 기계는 위치, 기능, 매개변수 등의 측면에서 각기 상이하다. 그럼에도 그것들은 단일한 상상적 뿌리에서 비롯되어 서로를 반영하고 서로를 산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플라토노프의 기계에 관한 아래의 개요는 기계 감각이라 부를 수 있는 그의 문학적 실험의 발전 단계에 따라 구성되었다. 내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기계 미메시스의 일련의 이미지 차원이다. 기계 찬가. 첫째, 이것은 기계들의 시다. 기계들이 울부짖고 삐걱거리고 때리고 찢어진다. 고통과 고문을 거쳐 새로운 신체적 이미지를 향해 가.. 2025. 8. 5. 디디에 드베즈, <사건으로서의 자연> 3장 사건으로서의 자연: 가능한 것들의 유혹 저자: 디디에 드베즈(Didier Debaise)영어 번역: 마이클 헤일우드(Michael Halewood)한글 번역: 박기형(서교인문사회연구실) 3장 경험의 강화The Intensification of Experience 지금까지 나는 이분화의 몸짓(the gesture of bifurcation)으로부터 발생하는 근대적 자연 경험에 맞서 존재에 관한 마니에리슴적 정의(mannerist definition of being)를 제시했다. 양식들을 너머에는 아무것도 없다. 마니에리슴은 다원주의적 우주를 사유하기 위한, 가능하고 일관된 경로로 제시되었다. 이 다원주의적 우주는 각기 동등하게 중요하고 동등하게 능동적(active)인, 무수한 경험의 중심들로 구성된다. .. 2025. 7. 23.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1부) “혁명적 기계들”과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문학 (1부) 저자: 발레리 포도로가 (러시아학술원 철학연구소) 번역: 김수환 (한국외대) - 요약 - 이 글은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저작의 핵심 중 하나인 기계의 테마를 고찰한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일반적인 기계가 아니라 혁명적인 기계, 그것의 목적이 삶과 자연, 그리고 세계를 근본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에 놓인 기계다. 그런데 이 변화는 어떤 성격을 띠고 있는가?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 중 어느 일방으로 분류될 수 없는 플라토노프의 아방가르드적 성찰의 배후에 놓인 혁명의 개념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유토피아와 안티유토피아는 공히 미래와 관련을 맺고 있지만, 플라토노프의 기계가 무대에 오를 때 그 시간은 미래와도 현재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그것은 특정한 혁.. 2025. 7. 20. 디디에 드베즈, <사건으로서의 자연> 2장(3/3) 사건으로서의 자연: 가능한 것들의 유혹 저자: 디디에 드베즈(Didier Debaise)영어 번역: 마이클 헤일우드(Michael Halewood)한글 번역: 박기형(서교인문사회연구실) 2장 보편적 마니에리슴 A Universal Mannerism (후반부) 느낌들의 전파 여기에 이르기까지 느낌의 형이상학을 재건(창설, instauration)하는 과정은 느낌 행위의 개체적 차원, 즉 이 찰나에 이뤄지는 이 사로잡음의 특수한 양식을 강화하는 걸 필요로 했다. 지금까지 제시된 예시들, 가령 미생물, 식물, 경계하는 동물, 심지어 데카르트의 사유하는 자조차도 단순한 행위들로 환원될 수 없다. 가장 자발적인 신체 움직임에서든 가장 단명하는 사유에서든 동물이 환경에 대해 느끼는 아주 미세한 감각은 결코 단순하.. 2025. 7. 20. 이전 1 2 3 4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