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Writing/인-무브 서교연45 "보수적 페미니즘은 '여성'을 구할까?" (김보명, 이화여대 여성학과)(1/2) 보수적 페미니즘은 '여성'을 구할까?(1/2) 발표자 김보명 (이화여대 여성학과) ※ 본 원고는 지난 2022년 6월 14일 서교인문사회연구실에서 진행한 [2022 서교연 연속포럼 체제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2]에서 김보명 선생님께서 발표한 내용의 일부를 녹취 형식으로 기록한 것입니다. 본문에 실린 그림은 모두 김보명 선생님 수업자료에 기반한 것입니다. # 다양한 조합의 동시대 페미니즘 어떤 면에서는 조금 혼란스럽다면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 같고, 이따가 말씀드리겠지만 이 혼란의 와중에 이제 '도대체 우리는 어디에서 무슨 얘기를 해야 되는가' 이런 고민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라고 하면 ’얘들은 또 누구냐’라고 할 수 있겠지만. 아무튼 저와 저희 동료 교수님 선생님들 그리고 학생들이라고 해보겠습.. 2022. 8. 30. 학술커먼즈를 구성하는 암묵지에 대한 질문 학술커먼즈를 구성하는 암묵지에 대한 질문 조지훈(서교인문사회연구실) *본 원고는 2022년 4월 21일 성신여대 인문도시사업단 주최로 발표한 심광현 선생님의 「커먼즈의 한 형태로서의 지식순환협동조합 대안대학의 교육이념: 과 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입니다. 따라서 심광현 선생님의 발표문의 논지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을 던지는 형식으로 쓰여진 글입니다. 우선 심광현 선생님의 발표문에서 제시된 의 교육이념을 보면서, 이러한 프로그램 속에서 수업을 듣게 될 학생들이 부러워졌습니다.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이념 하에 사회과학, 자연과학, 인문학, 인지과학을 공부하게 될 학생들, 단순히 지식의 축적만이 아닌, 자본주의 사회에서 요구하는 경쟁적 주체가 아닌 협력적 주체로 전환되는 실천적인 지식을 배우게 될 학생들은 얼.. 2022. 7. 22. 학술커먼즈의 역사와 경험: <또 하나의 문화>의 기획을 중심으로 학술커먼즈의 역사와 경험: 의 기획을 중심으로 발표자 길혜민 *본 원고는 2022년 4월 28일 성신여대 인문도시사업단 주최의 "학술커먼즈의 역사와 경험"에서 발표한 글입니다. 1. 통로: 고정희로부터 까지 1991년 6월 9일 지리산에서 생을 마감한 고정희 시인의 유고집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을 엮어 낸 사람은 조형이며 편집인은 사회학자 조옥라이다. 예외적이게도 고정희 시인의 마지막 모습은 조옥라, 조(한)혜정, 김은실 등의 사회학자들에 의해 씌어졌다.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에는 1984~1991년이라는 기간 동안 가까운 친구들에게 시인이 보낸 편지가 정리되어 있는데, 편집자인 중의 하나였던 조형은 편집의 글에서 “문학 세계와 실천 운동에 관한 그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서 편지 .. 2022. 6. 29. <서교연포럼>"체제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1: 포퓰리즘, 민주주의를 위한 독이 든 선물?"- 한상원 "포퓰리즘의 이중성과 민주주의의 민주화" 포퓰리즘의 이중성과 민주주의의 민주화 "체제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 1: 포퓰리즘, 민주주의를 위한 독이 든 선물?" 발표 한상원 2022년 서교연은 “같은 현실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다른 미래를 만들어 갑시다” 공동성명[#다른세계로길을내는활동가모임]에 발맞추어(https://en-movement.net/323), #체제전환을_위한_정치학적_모색>이라는 주제로 여러 차례의 포럼을 가질 계획입니다. 이에 첫 포럼으로 한상원 회원은 , 정정훈 회원은 이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습니다. 지난번 정정훈 회원의 발표문에 이어 오늘은 한상원 회원의 글을 공개합니다. (6월 14일 오후 7시 30분에는 "체제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 2: 정치의 새 전선들"에서는 김보명(이화여대 여성학과) 선생님을 모시고 김.. 2022. 6. 13. <서교연포럼> "체제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 1: 포퓰리즘, 민주주의를 위한 독이 든 선물?" -정정훈 "인민이 인민이 되지 못하게 하는 것" 인민이 인민이 되지 못하게 하는 것(ver. 1.5) "체제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 1: 포퓰리즘, 민주주의를 위한 독이 든 선물?" 발표 정정훈 2022년 서교연은 “같은 현실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다른 미래를 만들어 갑시다” 공동성명[#다른세계로길을내는활동가모임]에 발맞추어(https://en-movement.net/323), #체제전환을_위한_정치학적_모색>이라는 주제로 여러 차례의 포럼을 가질 계획입니다. 이에 첫 포럼으로 한상원 회원은 , 정정훈 회원은 이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정정훈 회원의 글을 공개합니다. (6월 14일 오후 7시 30분에는 "체제전환을 위한 정치학적 모색 2: 정치의 새 전선들"에서는 김보명(이화여대 여성학과) 선생님을 모시고 김보명 선생님의 "보수페.. 2022. 6. 8. 자본주의 화폐론과 한국 금융시장 제도화 연결짓기 자본주의 화폐론과 한국 금융시장 제도화 연결짓기 박기형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더보기 본 원고는 2020년 서교연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글입니다. "1950~70년대 한국 금융체계 형성에 대한 시론적 분석 : 자본주의 화폐순환에 대한 국가관리를 중심으로"가 원제로, 향후 연구를 위한 문제설정을 모색하는 시론적 글이라는 점을 미리 밝힙니다. 연구과제를 발전시키는 데 소중한 의견을 나눠준 서교연 회원들, 본 원고의 의의와 한계를 명확히 지적해주시고 향후 연구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신 토론자 지주형 선생님께 감사합니다. 1. 서론 : 자본주의 화폐순환에 대한 국가관리와 한국 금융체계 형성 본 논문은 1970년대 한국의 사금융을 각종 금융기관들로 제도화하는 과정을 ‘자본주의 화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2021. 2. 17.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