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Writing89

대담 <90년대·포스트모더니즘·여성해방문학론> (2/3) - 대담자임옥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사)권보드래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이은솔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일시 : 2022년 1월 6일 오후 2시 ·장소 : 합정 여성문화이론연구소·주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1회 한국학페스티벌- 목차 -0) 대담에 들어가며1) 90년대의 페미니즘 담론과 ‘변두리 페미니즘’2) 80년대 말~90년대 초의 대학 풍경과 경희대 영문학과에서의 지적 경험3) 90년대의 여성 잡지 : 「또 하나의 문화」, 「여성과 사회」, 그리고「여/성이론」4) 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여성 없는 여성주의’의 정치성5) 배수아에서 양귀자까지, 90년대 여성 문학을 기억하는 방식들 6) 「여/성이론」 창간호와 주디스 버틀러의 주체 이론 소개 3) 90년대의 여성 잡지 :.. 2022. 3. 16.
대담 <90년대·포스트모더니즘·여성해방문학론> (1/3) 본 대담은 제1회 한국학 페스티발 (2022년 1월 27일)에서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1월, 임옥희(여성문화이론연구소 이사)·권보드래(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에 대해 이야기 나눈 내용을 이은솔(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이 정리한 것입니다. 대담자인 임옥희·권보드래 선생님, 대담 정리자 이은솔의 도움으로 웹진 인-무브에서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대담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일시 : 2022년 1월 6일 오후 2시 ·장소 : 합정 여성문화이론연구소·주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제1회 한국학페스티벌- 목차 -0) 대담에 들어가며1) 90년대의 페미니즘 담론과 ‘변두리 페미니즘’2) 80년대 말~90년대 초의 대학 풍경과 경희대 영문학과에서의 지적 경험3) 90년대의 여성 잡지 : 「또 .. 2022. 3. 3.
자본주의 화폐론과 한국 금융시장 제도화 연결짓기 자본주의 화폐론과 한국 금융시장 제도화 연결짓기 박기형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더보기 본 원고는 2020년 서교연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글입니다. "1950~70년대 한국 금융체계 형성에 대한 시론적 분석 : 자본주의 화폐순환에 대한 국가관리를 중심으로"가 원제로, 향후 연구를 위한 문제설정을 모색하는 시론적 글이라는 점을 미리 밝힙니다. 연구과제를 발전시키는 데 소중한 의견을 나눠준 서교연 회원들, 본 원고의 의의와 한계를 명확히 지적해주시고 향후 연구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신 토론자 지주형 선생님께 감사합니다. 1. 서론 : 자본주의 화폐순환에 대한 국가관리와 한국 금융체계 형성 본 논문은 1970년대 한국의 사금융을 각종 금융기관들로 제도화하는 과정을 ‘자본주의 화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2021. 2. 17.
김인숙의 소설 [핏줄]을 아브젝시옹 개념으로 읽기 (페미니즘 이론학교 시즌4 최종 에세이) 김인숙의 소설 『핏줄』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 개념으로 읽기 길혜민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저항하며 읽기의 한계 문학 작품을 풍부하게 읽어낸다는 것은 꽤나 까다롭고 쉽지 않은 일이다. 작가가 쓴 글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읽는 것은 상식적으로 쉬운 독서 방법이다. 그게 지루하다 생각이 들면 가장 뒤의 몇 챕터를 읽고 처음으로 돌아가 읽는 방법도 있지만 이러한 방법이 작품을 ‘풍부하게’ 읽도록 보장하지 않는다. 여성주의적 읽기라는 문학 비평은 ‘풍부하게’라는 말과 어울릴 수 있다. 작품은 종이에 씌어진 납작한 잉크 자국이 아니라 그 이야기를 가능하게 하는 문화와 권력과 역사 안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또한 그러한 작품의 창작 배경이 백인 남성 비장애인을 독자를 위주로 형성된 시공간이라면 여성주의적.. 2020. 8. 19.
흑인여성의 모성 : 억압의 지점에서 저항의 공간이 되기까지 흑인 여성의 모성 : 억압의 지점에서 저항의 공간이 되기까지     해미   1. 들어가며  이 글은 패트리샤 힐 콜린스의 흑인 페미니즘 사상> 에서 제시된 통제적 이미지로서의 ‘흑인 모성'의 생성 배경 및 작동 방식과 흑인 모성, 더 나아가 출산 및 양육에 대한 흑인 여성의 대응 방식을 분석한다. 여기서 통제적 이미지란 교차하는 여러 억압을 정당화하고 지속시키는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이미지를 말한다. 흑인 여성에 대한 통제적 이미지는 흑인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노동력의 착취를 정당화하려는 지배집단의 계략과 흑인 확대가족 네트워크 내에서 흑인의 생존을 위해 구축된 문화가 얽혀 생성된다. ‘흑인 모성’은 흑인 여성이 병행한 유모화된 유급노동과 양육이라는 무급노동의 착취를 정당화하는 통제적 이미지로 다양하게 .. 2019. 9. 2.
가장 우울증적인 주체, 이성애 가장 우울증적인 주체, 이성애- 주디스 버틀러, 5장 읽기    쏠|서교연 페미니즘이론학교   최근 출판된 5장 ‘우울증적 젠더/거부된 동일화(identification)’에서 버틀러는 “먼저 자아가 젠더화된 성격을 띠게 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우울증적 동일화가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지 설명하고 둘째로, 이 같은 우울증적인 젠더 형성 분석이 동성애적 애착의 상실을 애도하기에 매우 어려운 문화 안에서 사는 것의 어려움을 밝히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설명”(196)[각주:1] 한다.     우울증적 동일화와 젠더화된 성격 습득   먼저 우울증적 동일시와 젠더화된 성격 습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버틀러는 프로이트의 상실과 대상리비도 집중에 대한 논의들을 끌고 온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 2019.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