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40

“일상이 재난이다.”: 쪽방촌의 재난적인 폭염과 한파 (2/2) “일상이 재난이다.”: 쪽방촌의 재난적인 폭염과 한파  (2/2)   강준모 | 캔자스대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본 글은 강준모 선생님의 지난 글 "쪽방촌은 왜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가?"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앞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링크의 글을 읽기를 권합니다. ①쪽방촌은 왜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가? (1/2) https://en-movement.tistory.com/502,②쪽방촌은 왜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가? (2/2) https://en-movement.tistory.com/507      무엇이 주민들에게 폭염과 한파와 같은 극한적인 상황을 당연한 것으로 만들었을까? 나는 주민들과의 대화를 통해 그것이 현재 너무나 고달픈 삶을 넘어 이런 경험이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고, 그로 인.. 2024. 10. 28.
“일상이 재난이다.”: 쪽방촌의 재난적인 폭염과 한파 (1/2) “일상이 재난이다.”: 쪽방촌의 재난적인 폭염과 한파  (1/2)   강준모 | 캔자스대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본 글은 강준모 선생님의 지난 글 "쪽방촌은 왜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가?"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앞의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링크의 글을 읽기를 권합니다. ①쪽방촌은 왜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가? (1/2) https://en-movement.tistory.com/502,②쪽방촌은 왜 폭염과 한파에 취약한가? (2/2) https://en-movement.tistory.com/507      앞선 글에서 보았듯이, 기후변화가 초래하는 재난에 대한 취약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재난이 형성되는 사회구조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왜 특정 집단이 폭염이나 한파와 같은 재.. 2024. 10. 28.
마이클 델라 로카, <엘리엇의 스피노자: 클레어 칼라일이 편집한 조지 엘리엇 번역 ‘스피노자의 윤리학’에 대한 비평적 고찰> ‘스피노자의 윤리학’에 대한 비평적 고찰>   마이클 델라 로카번역: 김강기명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출처: Mind, 131권 522호, 2022년 4월, 619-630쪽https://doi.org/10.1093/mind/fzaa066   당신이 철학 분야의 학술서 출판사라고 상상해보십시오. 한 친구가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저작 중 하나의 최초 영어 번역본이 여전히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구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이 시점에서 당신의 관심은 아마도 미미할 것입니다. “지금은 더 나은 번역본들이 있을 테니 왜 우리가 이 오래되고 구식일 첫 번역본을 출판해야 하나요?”라고 말할 수도 있겠죠. 이제 그 친구가 이 최초 번역이 당대 주요 철학자들 및 지식인들과 깊고 유명한 관계를 맺고 있던 인물에.. 2024. 10. 21.
[근대 세계의 형성] 제7장 단체와 신탁(1/2) 근대 세계의 형성>, 7장 단체와 신탁 (1/2)원제: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 Visions from the West and East 알란 맥팔레인(Alan Macfarlane)번역: 박기형(서교인문사회연구실) 파트 1. F. W. 메이틀런드: 근대 세계의 본성과 기원 7장 단체와 신탁 (Fellowship and Trust) 메이틀런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유, 평등, 부의 균형을 고려하면서, 사회 진화에 대한 대부분의 생각에 기초였던 19세기의 유명한 이분법의 한 측면을 효과적으로 무너뜨렸다. 그는 개인이 공동체 안에 편입되고, 계약이 지위에 전적으로 종속되며, 계서제와 가부장제가 보편적이었던 세계에서 모든 문명이 시작된 것은 아니라는 걸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 .. 2024. 10. 20.
마리 부트, <스피노자와 인종적 상상계: 내러티브의 정치적 힘> 마리 부트(Marie Wuth)번역: 김강기명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In: “Spinoza after Politics”: Dan Taylor, Gil Morejon, Marie Wuth, and JackStetter, https://www.thephilosopher1923.org/post/spinoza-after-politics  "Spinoza after Politics": Dan Taylor, Gil Morejon, Marie Wuth, and Jack Stetter (Keywords: Human Nature; Affects; Anarchism; Sta"The more we affect and are affected by others, the more we can perceive and un.. 2024. 10. 16.
길 모레혼, <스피노자 대 무정부주의: 정치사상의 재해석> 스피노자 대 무정부주의: 정치사상의 재해석  길 모레혼(Gil Morejón)번역: 김강기명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스피노자의 철학을 전공한 김강기명 회원이 스피노자와 무정부주의의 관계를 논하는 길 모레혼의 글을 번역해 주었습니다. 이 글은 댄 테일러, 길 모레혼, 마리 부트, 잭 스테터가 철학 저널 에 공동으로 기획한 코너 "Spinoza After Politics"에 실린 글들 가운데 한 편입니다. 김강기명 회원은 이 코너의 또 다른 글도 번역했는데요, 조만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오늘은 인간 본성에서 공동체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는 스피노자의 정치철학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김강기명 회원은 2023년부터 연구실에서 스피노자 강의를 계속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 [23년 가을 강좌] 스피노자.. 2024.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