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Project/희대의 노동22 과로자살의 사회적 인정과 배제를 넘어: 과로 개념을 다시 생각하다(1) 과로자살의 사회적 인정과 배제를 넘어: 과로 개념을 다시 생각하다 (1) 전주희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1) 들어가며: 요약 (2) 국가의 자살예방정책 (3) 과로자살의 법적 이해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 ‘업무상 재해’로서의 자살 (4) 프랑스 텔레콤 사례를 통해 본 ‘경영상의 학대’에 따른 노동자 자살 (5) 과로자살을 통해 다시, 과로를 생각한다. ① 과로자살의 인정과 배제의 변증법 ② ‘집단’으로서의 과로자살, 그리고 과로 (1) 들어가며 IMF 위기 이후 한국사회에 대한 무수한 많은 별칭(?) 중에 두 개의 단어가 있다. ‘과로사회’, ‘자살공화국’. 우리가 지난 20여년간 들어왔거나 말해본 단어. 처음에는 그리고 그 다음에는 가끔씩 놀랐던 과로의 지표들, 그리고 자살의 통계들. 그런면에서 보자.. 2018. 12. 10. 취준, 자발적 감금의 반反정치-(2) 취준, 자발적 감금의 반反정치-(2)전주희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계속) 1. 과로의 시작 :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취업준비 기간’의 의미 - (1)2. 취업준비자의 구조와 실태 1) 취업의 경로들 2) 취준, 노력의 공정함 3. 취준, 자발적 감금의 정치학 : 어빙 고프만의 를 통해본 '자발적 감금'의 메커니즘 - (2) 1) 역할박탈 2) 탈문화와 시간의 안락사 3) 모욕감의 원천들(4) 공정 이데올로기와 과로의 변증법 3. 취준, 자발적 감금의 정치학 : 어빙 고프만의 를 통해본 '자발적 감금'의 메커니즘 취업준비기간은 보통 어느정도 걸릴까? 그리고 이 시간에 취업준비자들은 어떤 장소에서 어떤 관계를 맺고 생활하게 되는가? 다시말해 이 기간의 경험이 취업준비자들이 믿는 공정성의 상상을 어떻게 강렬하.. 2018. 9. 22. 취준, 자발적 감금의 반反정치-(1) 취준, 자발적 감금의 반反정치 전주희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1. 과로의 시작 :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취업준비 기간’의 의미 - (1) 2. 취업준비자의 구조와 실태 1) 취업의 경로들 2) 취준, 노력의 공정함-------------------------------------------------------------------------------------- 3. 취준, 자발적 감금의 정치학 : 어빙 고프만의 를 통해본 '자발적 감금'의 메커니즘 - (2) 1) 역할박탈 2) 탈문화와 시간의 안락사 3) 모욕감의 원천들 (4) 공정 이데올로기와 과로의 변증법 1. 과로의 시작 :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취업준비 기간’의 의미 불안정 노동으로 요약되는 신자유주의적 노동은 노동과 실업의 경계를 유동적으로.. 2018. 9. 22. 과로와 인종주의 과로와 인종주의 전주희/서교인문사회연구실 인종주의가 씌우는 가면제주도에 몰려든 480명의 예맨 난민들로 인해 한국사회는 인종주의를 둘러싼 논란에 휩싸였다. 마치 이민족이 평화로운 남쪽 섬을 침략이라도 했듯이 제주도의 여성과 아이들을 그들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논리까지 등장했다. 그렇다. 예맨 난민들의 90%를 2,30대 남성들이며, 그들은 브로커를 끼고 입국했다. 이로부터 ‘가짜 난민’설까지 등장했는데, 저들은 인도주의적 보호를 보장받아야할 난민이 아니라 잠재적이지만 곧바로 현실화될 (성)범죄자집단들이자, 불법 체류자들이라는 것이다. 다시말해 예맨에서 밀입국한 480명은 ‘예맨인’ 이거나 ‘난민’이 아니라 (성)범죄자로서 예맨인으로 표상된다. 인종주의는 ‘순수한 집단’으로 인종(race)을 지목하지 않고.. 2018. 8. 2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