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발리바르 읽기38

마르크스의 ‘두 가지 발견’ 마르크스의 ‘두 가지 발견’*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번역: 정용택 | 연구집단 CAIROS  * Actuel Marx 2011/2 (No 50), pp. 44-60. [아래 각주 1에서 발리바르가 밝히고 있듯이, 이 글은 원래 뉴욕 컬럼비아대학 학회에서 영문 원고로 먼저 발표되었는데 이후에 발리바르가 불어본으로 개정하여 Actuel Marx지(誌)에 기고했고, Cadenza Academic Translations에 의해 영어로 재번역되어 Actuel Marx지(誌) 원문제공 웹사이트에 불어 원고와 함께 게시되었다. 이 글은 영문 원고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https://www.cairn-int.info/article-E_AMX_050_0044--marx-s-two-discov.. 2018. 3. 20.
착취 착취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 구준모 이 원고는 2013년 11월 15일 브라운대학교 코것Cogut인문학센터에서 열린 정치적 개념들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것이다. 이 컨퍼런스에서 ‘착취’를 발표해 달라는 제안을 받고서, 나는 지금 만들어지는 ‘정치적 개념들’ 백과사전의 틀에 따라서 마르크스주의의 정치적 특징을 옹호하려고 생각했다. 착취가 마르크스주의의 중심 통념들 중 하나이고, 학문분과 영역들 및 어법들의 분리를 극복하는 마르크스주의의 방식을 특징짓는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취 개념은 마르크스주의가 비판 이론을 위한 중요한 참조점이라는 우리의 확신의 근거가 된다. 정치 이론가에게 착취는 ‘경제적’ 개념처럼 보이거나, 최소한 경제학주의economicism로 가득 차 있다. 착취는 .. 2018. 3. 13.
조르주 라비카 번역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 프랑스어 번역(엥겔스가 수정한 부분은 각주로 처리)   프랑스어 번역: 조르주 라비카(Georges Labica)한국어 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옮긴이 앞글: 이 텍스트는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의 프랑스어 번역과 이에 대한 상세한 철학적 주해로 구성된 조르주 라비카의 저서 Karl Marx: Les Thèses sur Feuerbach에 실린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의 프랑스어 번역본을 원본으로 삼아 번역한 뒤 이를 철학연구자 강유원의 신뢰할 만한 한국어 번역본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이론과실천, 2008)과 비교하여 수정한 것이다(강유원은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또는 「.. 2018. 1. 24.
"마르크스의 철학" 재판 서문 "마르크스의 철학" 재판 서문 에티엔 발리바르 지음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옮긴이 앞글(1) 이 번역문은 마르크스 탄생 200주년을 맞아 곧 도서출판 오월의 봄에서 출간될 발리바르의 저서 "마르크스의 철학"의 재판 서문이다. 웹진 게재를 허락해준 도서출판 오월의 봄에 감사드린다.    (2) “마르크스의 철학”은 1993년 “학생 대중과 교양있는 독자 대중”을 대상으로 한 라 데쿠베르트 출판사의 “입문 총서” 중 한 권으로 처음 출간되었으며[각주:1], 2001년에는 동일한 출판사의 “Repères” 총서 포슈판으로 (‘문헌 안내’를 재검토하고 증보한 것 이외에는) 아무런 개정 없이 두 번째 출간되었다[각주:2]. 우리가 지금 출간하는 이 책은 2014년 동일한 출판사에서 출간된 재판(이 역시 포슈.. 2018. 1. 11.
문자의 앵스탕스와 최종심급 문자의 앵스탕스와 최종심급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박사과정)  옮긴이 앞글 : 이 텍스트는 Actuel Marx 2016/1, n.59에 실린 에티엔 발리바르의 논문 L’Instance de la Lettre et La Dernière Instance를 옮긴 것이다. 이 텍스트의 출전에 관해서는, 옮긴이의 설명을 대신하여 발리바르의 각주 1번을 그대로 옮겨오겠다. “다음의 텍스트는 내가 “유럽철학 어휘사전”(Vocabulaire européen des philosophies) -“유럽철학 어휘사전”은 바르바라 카상(Barbara Cassin)의 책임지도 하에 Seuil/Le Robert 출판사에서 2004년에 출간되었다- 의 영어번역본(Dictionary.. 2017. 12. 15.
오히려 인식하라 오히려 인식하라(SED INTELLIGERE) 에티엔 발리바르 번역: 배세진 (파리7대학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박사과정) [옮긴이 앞글: 출전은 다음과 같다. 혁명의 욕망(Désir de Révolution), Ligne, 2001/1, n.4 (https://www.cairn.info/revue-lignes1-2001-1.htm). 위의 링크로 들어가면 발리바르가 언급하는 베를의 정식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미셸 쉬르야(Michel Surya)의 서문에 따르면, 베를(Berl)의 정식은 “refus pur et simple opposé par l’esprit au monde qui l’indigne”, 즉 “정신을 분노케 하는 세계에 대하여 정신이 대립시키는 순수하고 단적인 거부”이다. 진.. 2017.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