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Translation/발리바르 읽기38 알튀세르와 '공산주의' 알튀세르와 '공산주의'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 서영표 | 사회학자 이 번역은 (‘『『자본』을 읽자』와 『마르크스를 위하여』: 50년 후’라는 주제로 기획된) CRISIS AND CRITIQUE Volume 2, issue 2(2015-11-23)에 첫 번째 글로 실린 에티엔 발리바르의 'Althusser and "Communism"'(조셉 세라노(Joseph Serrano) 번역)을 기본 대본으로 하되, 이 글의 원문이자 (‘알튀세르, 25년 후’라는 주제로 기획된) la pensée 382 (Avril/juin 2015)에 역시 첫 번째 글로 실린 'Althusser et «le communisme»'을 참고하였다. 영역본 초록이 논문은 알튀세르와 공산주의의 관계, 즉 그가 공산주의에 대해서 가지고 있.. 2017. 10. 25. 공산주의의 질문들 공산주의의 질문들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장진범 | 사회학도 이 글은 2011년 10월 14~16일 미국 뉴욕 쿠퍼유니온대학에서 버소 출판사가 조직한 국제학술대회 에서 에티엔 발리바르가 발표한 'Communism as Commitment, Imagination, and Politics'(이 발표문은 버소가 2013년 출간한 The Idea of Communism 2: The New York Conference에 같은 제목으로 수록되었다)을 증보한 불어본('Les Questions du Communisme') 결론 부분을 발췌번역한 것이다. 앞서 공개한 바 있는 논문 「공산주의와 시민성: 니코스 풀란차스에 대하여」 결론 부분에서 발리바르는 “모든 정치 운동, 사회적이거나 “문화적인” 투쟁에서 공산주의자들은, .. 2017. 10. 18. 미셸 푸코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형벌 이론과 제도⟫의 편집자 베르나르 아르쿠르에게 보내는 발리바르의 서한(2014년 12월 4일) 미셸 푸코의 1971-72년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형벌 이론과 제도⟫(Théories et Institutions Pénales) 의 편집자 버나드 하코트(Bernard E. Harcourt)에게 보내는 발리바르의 서한(2014년 12월 4일)에티엔 발리바르 번역: 배세진 | 파리7대학교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박사과정 [옮긴이] 이 글은 2015년 출간된 미셸 푸코의 강의록 "형벌 이론과 제도"에 부록으로 실린 발리바르의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를 번역한 것이다. 1975년 출간된 "감시와 처벌"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형벌 사회"와 "형벌 이론과 제도"라는 강의록의 출간을 통해 연구자들은 "감시와 처벌"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는데, 발리바르는 특히 마르크스와 푸코, 그리.. 2017. 10. 17. 알튀세르와 마오 알튀세르와 마오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장진범 | 사회학도[옮긴이] 이 글은 중국어판 알튀세르 저작집 출간을 앞두고 저작집 주 편자 중 한 명인 천웨(陳越)의 요청으로 발리바르가 쓴 선집 서문(http://revueperiode.net/althusser-et-mao/)을 번역한 것이다. 저작집 첫 권이 阿尔都塞, 『政治与歷史: 從馬基雅維利到馬克思(1955-1972年 高等師範學校講義)』(吳子楓 譯, 西北大學出版社, 2018)로 출간되었고, 발리바르의 아래 서문이 수록되었다. 중국어와 관련한 도움을 주신 서울대 사회학과 윤종석 동학께 감사드린다(하지만 모든 실수는 역자의 책임이다). 이 글의 전반부는 알튀세르의 ‘지적 전기傳記’ 성격을 띠고 있는데, 그동안 한국에 소개된 내용과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번역에서 제외.. 2017. 10. 10. 서방 맑스주의의 하나의 이단점. 1960년대 초 알튀세르와 트론티의 상반된 『자본』 독해 서방 맑스주의의 하나의 이단점. 1960년대 초 알튀세르와 트론티의 상반된 『자본』 독해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 장진범 | 사회학도 이 번역본은 애초 프랑스의 맑스주의 잡지 Période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실에 2016년 7월 등록된 'Un point d’hérésie du marxisme occidental : Althusser et Tronti lecteurs du Capital'을 대본으로 삼았다. 하지만 번역을 거의 마친 상태에서 이 글이 The Concept in Crisis: Reading Capital Today (2017)의 한 꼭지('A Point of Heresy in Western Marxism: Althusser’s and Tronti’s Antithetic Readings of .. 2017. 9. 26. 공산주의와 시민성: 니코스 풀란차스에 대하여 공산주의와 시민성: 니코스 풀란차스에 대하여 에티엔 발리바르 번역 : 진태원 | 철학자 [옮긴이] 이 글은 1999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니코스 풀란차스 기념 학술대회에서 처음 발표되었으며, 2006년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학술지 『악튀엘 마르크스Actuel Marx』에 실렸다. 『악튀엘 마르크스Actuel Marx』에 실렸을 때의 제목은 「니코스 풀란차스에 의거한 해방의 정치에 대한 성찰」이었으며, 풀란차스의 딸에게 바치는 “아리안 풀란차스Ariane Poulantzas를 위해”라는 헌사가 붙어 있었다. 1나는 우선 무익한 정념을 배제하고서 내가 “우리 사이의 쟁론”이라고 부르고자 하는 것―근저에서 1960년대~70년대에 전개된 우리의 토론 대부분과 외연을 같이 하는 그 쟁론―이 어떤 것이었는지 환.. 2017. 9. 20.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