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Translation/발리바르 읽기38 “‘자본’을 읽자”를 읽자 : "'자본'을 읽자" 헝가리어판 서문 “‘자본’을 읽자”를 읽자 (한국어판 “‘자본’을 읽자”, 진태원, 김은주, 안준범, 배세진 옮김, 그린비, 근간에 수록될 예정) 에티엔 발리바르 지음배세진 옮김 “‘자본’을 읽자” 헝가리어 완역본에 붙이는 에티엔 발리바르의 서문[각주:1] 이 글을 통해 “‘자본’을 읽자” 헝가리어 완역본에 붙일 서문을 집필해 달라는 나의 친구 아담 타칵스(Adam Takacs)와 그 출판사의 제안에 응할 수 있어 저는 매우 기쁩니다. 분명 저는 프랑스어 원본이 처음 출간된 지 50년이 흘러 이 책을 읽게 될 헝가리 독자들에게 맡겨진 이 책의 운명이 어떠할지 전혀 짐작할 수 없습니다.[각주:2] 하지만 저는 이 저서의 헝가리어 번역이 20세기 지성사--그 정치적 역사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가 어떠했는지에 .. 2019. 4. 29. 정치경제학 비판: 비판의 비판을 위하여 편집자의 말 : 이 글은 2018년 11월 23일-24일 양일간 열렸던 의 특별자료집에 「정치경제학 비판과 이데올로기 비판 : 알튀세르 이해를 위한 맑스주의의 두 가지 개념」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던 글의 일부분이다. 인-무브에서는 이 두 항목을 다시 나누어 각각 게재하려 한다. 게재를 허락해 준 배세진 선생에게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을 전한다. 옮긴이 앞글 : 알튀세르 탄생 100주년을 맞아 개최되는 알튀세르 심포지엄을 위해 번역한 아래의 두 텍스트는 알튀세르의 가장 충실한 제자, 동료이자 주석가였던 에티엔 발리바르가 조르주 라비카(Georges Labica)와 제라르 뱅쉬상(Gérard Bensussan) 책임편집의 “마르크스주의 비판사전”(Dictionnaire critique du Marxisme, .. 2019. 4. 3. 장치란 무엇인가? 편집자의 말 : 이 글은 2018년 11월 23일-24일 양일간 열렸던 의 특별자료집에 「정치경제학 비판과 이데올로기 비판 : 알튀세르 이해를 위한 맑스주의의 두 가지 개념」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던 글의 일부분이다. 인-무브에서는 이 두 항목을 다시 나누어 각각 게재하려 한다. 게재를 허락해 준 배세진 선생에게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을 전한다. 옮긴이 앞글 : 알튀세르 탄생 100주년을 맞아 개최되는 알튀세르 심포지엄을 위해 번역한 아래의 두 텍스트는 알튀세르의 가장 충실한 제자, 동료이자 주석가였던 에티엔 발리바르가 조르주 라비카(Georges Labica)와 제라르 뱅쉬상(Gérard Bensussan) 책임편집의 “마르크스주의 비판사전”(Dictionnaire critique du Marxisme, .. 2019. 3. 26. 잘가요, 루이 잘가요, 루이Adieu[각주:1]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정치철학 전공 박사과정) 옮긴이 주: 출전은 Écrits pour Althusser, Étienne Balibar, La Découverte, 1990이다. 이 텍스트는 이미 윤소영 교수가 편역한 “루이 알튀세르(1918-1990)”, 민맥, 1991에 ‘알튀세르를 위한 조사’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바 있다. 하지만 기존 번역본을 거의 참조하지는 않았다. 참고로, 이 텍스트는 알튀세르의 장례식에서 읽기 위해 발리바르가 집필한 ‘조사’라기보다는 알튀세르의 사유를 해석하기 위한 일종의 ‘이론적 주석’이다. 독자들은 이 짧은 텍스트를 독해하면서 발리바르가 포착해 강조하고자 하는 알튀세르 사유의 특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2018. 11. 22. 알튀세르와 그람시: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대담 (2) 알튀세르와 그람시: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대담 (2)인터뷰 : 파비오 프로시니, 비토리오 모르피노 번역 | 서관모(사회학) (계속) V.M. : 이 지점에 제가 끼어들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알튀세르가 1972년과 1975년 사이에 마키아벨리에 대해 쓸 때에 그람시에 대한 판단이 다시 크게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그 텍스트를 다시 읽었고, 공부했습니다. 그것은 심원하게 그람시적인 텍스트입니다. 그는 그람시 안에서 작업했습니다. E.B. :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그람시적이지만 또한 아마도 약간은 반그람시적인, 하지만 그람시의 텍스트와 의기투합의 관계에 있는 텍스트이지요.제 생각에 알튀세르는 그람시에 대해 항상 전적으로 양가적인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즉, 그는 한편으로는 그람시가 정치적 견지에서 상부구조의 .. 2018. 9. 5. 알튀세르와 그람시: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대담(1) 알튀세르와 그람시: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대담 (1) 인터뷰 : 파비오 프로시니, 비토리오 모르피노 번역 | 서관모(사회학) 2014년 7월 7일 녹취되고 알튀세르 연구지인 Décalages 지에 처음 실림. 질문은 Gianfranco Rebucini가 프랑스어로 번역하였다. 비토리오 모르피노(Vittorio Morfino. 이하 V.M.) : 알튀세르와 그람시의 관계에 집중하기 위해 세세한 질문(question) 하나에서 출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람시를 “절대적으로 독창적이고 때로는 심지어 천재적인 관념들(idées)”을 제출함으로써 상부구조의 특수성(spécificité)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을 진척시킨 유일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 규정하는 1962년의 「모순과 과잉결정」과, 『『자본』을 읽자』.. 2018. 9. 3.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