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트랜스레이팅 페미니즘92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두 번째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두 번째 반차별 독트린, 페미니즘 이론, 반인종주의 정치에 대한 흑인 페미니즘의 비판 킴벌리 크렌쇼 번역: 마리온&단감/ 페미니즘 번역모임 I. 반차별의 프레임 A. 교차성의 경험과 교조적 반응 교차성의 문제에 접근하는 한 가지 방법은 법원이 흑인 여성 원고의 이야기를 어떻게 프레임화하고 해석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내가 다음에서 논의할 사건들의 기저가 되는 상황들을 속속들이 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흑인 여성의 주장을 법원이 해석하는 방식 자체가 흑인 여성의 경험의 일부이기 때문에, 원고가 흑인 여성인 사건들을 대강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차성을 사법적으로 고려할 때 내재하는 난점을 보여 주기 위해 나는 민권법 7조와 관.. 2018. 3. 7.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첫 번째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첫 번째 반차별 독트린, 페미니즘 이론, 반인종주의 정치에 대한 흑인 페미니즘의 비판 [옮긴이] 페미니즘 학자 킴벌리 크렌쇼는 1989년에 발표한 이 논문을 통해 '상호교차성'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상호교차성은 흑인 여성이 인종 차별과 성차별 양쪽 모두를 경험한다는 사실이 여성으로서의 삶과 페미니즘에 참여하는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이다. 그는 인종차별, 성차별, 호모포비아, 트랜스포비아, 장애인 차별, 계급주의 등 다양한 형태의 억압이 각각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차별을 감당하며 다중 전선에서 싸워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교차성 페미니즘은 여성이 성차별과 동시에 맞서야 하는 여러 차별을 누락시.. 2018. 2. 20.
젠더의 사회재생산과 이데올로기: 리즈 보겔과 주디스 버틀러의 알튀세르 읽기(2015)_세 번째 젠더의 사회재생산과 이데올로기: 리즈 보겔과 주디스 버틀러의 알튀세르 읽기(2015)_세 번째 , 2015년 12월 1일 앤드루 라이더 번역: 단감 /페미니즘 번역모임 버틀러: 이데올로기와 젠더화된 주체 억압된 집단이 사회적 정체성을 부여받는 방식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버틀러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이론에 주목했다. 알튀세르에 관한 버틀러의 1997년 저작들(에세이 「단지 문화적인」과 저서 『권력의 정신적 삶』, 『혐오발언』)에서 그는 알튀세르의 광기와 범죄에 대한 자전적 사항을 분석한 것(1997b, 113) 외에 그의 연구 중 다른 요소는 그저 간단히 언급만 한 뒤, 호명 이론만을 집중적으로 참고한다. 「단지 문화적인」에서 버틀러는 성소수자들의 투쟁이 자본주의 자체를 붕괴시킨다는 .. 2017. 12. 7.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9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9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 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2017. 12. 4.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8 천로역정: 물리학자 생활 내 남성들의 무용담 - 08 번역: Andante | 페미니즘 번역모임 [책소개]책 “입자선-시간과 생애-시간” (Beamtimes and Lifetimes)은 저자인 샤론 트래윅 (Sharon Traweek)이 참여관찰 방법론을 통해 과학자 사회를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당시 과학기술학의 민족지 연구가 주로 다루던 ‘지식의 형성과정’이라는 화두를 넘어 공간배치, 기계, 연구자의 생애과정과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을 다룬 저작이다. 또한 미국과 일본이라는 상이한 문화에서의 과학연구 양상을 비교하여 국가와 젠더가 과학의 구체적 실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기서는 젠더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이 책의 3장 “순례자의 모험기 (천로역정): 물리학자 .. 2017. 11. 11.
젠더의 사회재생산과 이데올로기: 리즈 보겔과 주디스 버틀러의 알튀세르 읽기(2015)_두 번째 젠더의 사회재생산과 이데올로기: 리즈 보겔과 주디스 버틀러의 알튀세르 읽기(2015)_두 번째, 2015년 12월 1일 앤드루 라이더번역: 단감 /페미니즘 번역모임 그러나 보겔은 대다수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성이 모성능력을 통해 노동자를 재생산해야 한다는 필요와 그에 따라 임신․출산 기간 동안 여성 자신이 돌봄을 받아야 하는 필요로 인해 발생하는 의존성은 ‘일상적 관리뿐만 아니라 세대 보충 활동을 수행하는 장소가 된’ 가족을 이용하여 해결하고 있다고 밝힌다. 즉, ‘제도화된 여성 억압 구조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는 남성의 지배에 의해 통상적으로 정당화’되는 것이다(190). 여성의 물질적 불평등과 남성 우월 이데올로기는 ‘노동력의 유지와 보충에 대한 여성의 특질적 역할’을 통해 설명해야 한다(같은쪽).그러.. 2017.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