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트랜스레이팅 페미니즘92

주디스 버틀러, 우연적 토대 (1/3) 우연적 토대: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문제 (1/3) 주디스 버틀러번역: 단감/페미니즘 번역모임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문제는 결국 포스트모더니즘이라 불리는 것이 존재하는지 묻는 일임이 분명하다. 이것은 역사에 대한 유형화인가 모종의 이론적 입장인가, 그리고 어떤 미학적 실천을 설명해오던 용어를 지금 사회 이론, 특히 페미니즘 사회학 및 정치 이론에 적용하려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스트는 누구인가? 이는 그들이 직접 붙인 이름인가 아니면 누군가가 주체에 대한 비평이나 담론 분석, 사회 분석을 총합하는 통합성 혹은 일관성에 대해 물을 때 사용되던 이름일 경우가 더 많은가? 나도 그 용어가 사용되던 방식을 통해 그를 파악한다. 내 지평에 나타나는 그 용어의 비평적 정리는 대개.. 2019. 1. 27.
젠더의 테크놀로지(3/3) 젠더의 테크놀로지(3/3) Technologies of Gender 테레사 드 로레티스 Teresa de Lauretis번역: 에일 페미니즘 번역 모임 (4) 젠더 평등이라는 이상적 상태는 바로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해체하기 쉬운 대상이다. 그렇다(그렇다고 젠더 평등이라는 이상적인 상태가 정말로 아무 것도 아닌 무언가는 아닌데, 그것은 지금까지 그랬듯이 실재하는 재현이기 때문이다. 당장 다음 데이트 때 영화관에 가보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젠더의 이데올로기적 재현이 노골적으로 이루어지는 영화(영화에서는 테크놀로지의 의도가 사실상 스크린의 전경을 차지한다), 그리고 정신분석학 이론보다 더한 젠더의 테크놀로지인 정신분석의 의료 행위 이외에도 젠더의 트라우마를 억누르려는 교모한 시도가 존재한다. .. 2018. 11. 1.
젠더의 테크놀로지(2/3) 젠더의 테크놀로지(2/3)Technologies of Gender 테레사 드 로레티스 Teresa de Lauretis 번역: 에일 페미니즘 번역 모임 (3) 우리(우리는 여성들을 의미한다. 남성들에게는 해당하지 않는 이야기다)는 서식을 작성할 때 대부분 성별란의 '여'에 표시할 것이다. 우리가 '남'에 표시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남'에 표시한다면, 우리는 마치 무언가를 속였다고 느낄 수도 있고, 더 심하게는 우리가 세상에서 지워졌다고 느낄 수도 있다(남성이 '여'에 표시를 한다면 이는 완전히 다른 함의를 띠게 될 것이다). 우리는 최초로 성별란의 '여' 칸에 표시를 하는 순간, 섹스-젠더 체계, 젠더의 사회적 관계에 진입하게 되며, 여성으로 젠더화된다. 이는 타인이 우리를 여성으로 본다는 것을.. 2018. 10. 26.
젠더의 테크놀로지(1/3) 젠더의 테크놀로지(1/3)Technologies of Gender 테레사 드 로레티스 Teresa de Lauretis 번역: 에일페미니즘 번역 모임 *represent는 본 글의 맥락상 표상, 재현으로 모두 번역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표상, 또는 재현으로 번역하는 편이 이해에 쉬운 부분도 있었으나, 여기서는 두 가지로 나눠 번역하면 더 큰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여 represent는 모두 재현으로 통일했습니다. 완성본이 아니라 draft입니다. 단, 읽을 수는 있습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페미니즘적 글쓰기와 문화 실천에서 성적 차이로서의 젠더 개념은 재현을 비평하고, 문화적 이미지와 서사를 다시 읽고, 주체성 이론과 텍스트성 이론, 읽기, 쓰기 관객성에 문제를 제기하는 데 있어 핵.. 2018. 10. 19.
주변부 지도 그리기: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1) 주변부 지도 그리기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킴벌리 크렌쇼 Stanford Law Review, Vol. 43, No. 6 (Jul., 1991), pp. 1241-1299 요약: 이 글에서 크렌쇼는 교차성 렌즈를 통해 유색인 여성들에 대한 가정폭력을 분석하면서 이들의 경험이 가진 특수성이 기존의 (백인 중심) 페미니즘 운동이나 (흑인 남성들이 지배하는) 반인종주의 운동 내에서 어떤 식으로 비가시화되는지 이야기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교차성’을 ‘구조적 교차성’ ‘정치적 교차성’ ‘재현적 교차성’으로 세분화해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교차성 이론을 한층 정교화하고 있다. 크렌쇼는 강간이나 가정폭력이 가진 구조적이고 정치적인 측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색인 여성, 빈곤층 여성들.. 2018. 7. 11.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합본) 지난 2월부터 웹진 인-무브 트랜스레이팅 페미니즘 코너에 번역 연재되었던 킴벌리 크렌쇼의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 논문이 번역 완료되었습니다. 이에 지금까지의 번역 분량들을 한데 모아 pdf 파일로 만들어 공유합니다. 그간 수고해 주신 페미니즘 번역모임 구성원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교차성 페미니즘 이론의 초석을 다졌던 크렌쇼의 이번 논문 번역 작업을 토대로 하여 더 많은 교차성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가 풍성하게 이루어진다면 좋겠네요. 페미니즘 번역모임은 앞으로도 페미니즘 이론사에서 중요한 논문들을 쏙쏙 골라 번역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어떤 논문들과 어떤 쟁점들이 우리들을 기다리고 있을까요? 어떤 이론적 반짝임을 우리는 만나게 될 수 있을까요? 정말 기대가 만땅으로 차오릅니다! 2018.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