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트랜스레이팅 페미니즘92

주변부 지도 그리기 :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여성에 대한 폭력 (4) 주변부 지도 그리기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4) 킴벌리 크랜쇼 도형(페미니즘 번역모임) 옮김지난 연재분 보러 가기1회차 : https://en-movement.net/1752회차 : https://en-movement.net/2403회차 : https://en-movement.net/243  1. 강간에 대한 지배적인 개념화에서의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  세대를 거쳐 비평가들과 활동가들은 강간에 대한 지배적인 개념화가 인종주의적이자 성차별적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강간에 대한 표상들이 미국 사회 내에서 인종과 젠더 위계를 반영하고 재생산하는 방식을 드러내기 위해 중요했다.[각주:1] 여성이자 동시에 유색인종(people of color)인 흑인 여성은, 성차별주의.. 2019. 7. 29.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_첫 번째 여성들과 공동체의 전복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 번역: 연구공간L 이승준 이 고찰들은 “여성 문제”를 규정하고 분석하려는 시도이며, 여성문제를 “여자의 역할” 전체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왜냐하면 여자의 역할은 자본주의적 노동 분업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우선 주부를 이러한 여자의 역할에서 중심인물로 위치시킨다. 우리는 모든 여성이 주부이며 심지어는 가정 밖에서 일하는 이들도 계속 주부라고 가정한다. 즉 세계적인 수준에서 한 여성의 자리를 결정하는 것은, 그녀가 어디에 있든 어떤 계급에 속하든 노동시간량 및 노동의 본성으로 측정될 뿐만 아니라 또한 삶과 삶이 발생하는 관계의 질로 측정되는 가사노동에 특정한 바로 그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노동계급 여성의 지위에 집중하지만, 이는 노동계.. 2019. 7. 24.
완전한 재앙(THE FULL CATASTROPHE) 2017년 9월, 저명한 철학자이자 퀴어 페미니스트로 널리 알려진 뉴욕 대학의 종신 교수 아비탈 로넬Avital Ronell은, 대학 당국으로부터 ‘교내 성폭력에 대한 법’(타이틀 IX)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조사를 받는 처지에 놓였다. 이는 그녀가 3년간 지도했던 대학원생인 님로드 라이트먼Nimrod Reitman이 그녀로부터 ‘지속적인 성추행과 성폭행’을 당했다며 그녀를 기소했기 때문이다. 이 기소가 앞으로 그녀의 명성에 끼칠 영향보다도 사람들이 더욱 주목하고 놀라워했던 것은, 바로 아비탈 로넬이 공공연히 ‘레즈비언’이라고 알려져 있다는 사실이었다. 천박하게는 이렇게 물을 수도 있다. ‘레즈비언과 게이 간의 성폭행이라는게, 성립이 가능하긴 한거야?’ 동시에 이 사건에 관심을 가지던 몇몇 커뮤니티를 놀라.. 2019. 7. 20.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합본) 2019. 7.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복잡한 시스템: 『남성노.. 2019. 6. 24.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2)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시스템 중심적 교차성: .. 2019.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