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21

제국주의에 관하여 이 글은 G.M. 고슈가리언이 편집한 루이 알튀세르의 유고집 『역사에 관하여(Écrits sur l’histoire (1963-1986))』(2018)에 수록된 미완성 유고 "제국주의에 관하여"의 일부분이다. 『역사에 관하여』는 이찬선과 배세진의 번역으로 오월의봄 출판사에서 조만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제국주의에 관하여 (일부 발췌) (1973) Livre sur l’impérialisme (extraits) (1973)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 지음, G.M. 고슈가리언(Goshgarian) 편집과 주석 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정치철학) “역사주의, 그것은 역사(학)의 꽁무니를 쫓아다니는[à la traîne de l’histoire, 즉 역사가 이미 쓰여진/일어난 이후에.. 2019. 7. 11.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합본) 2019. 7.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복잡한 시스템: 『남성노.. 2019. 6. 24.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2)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시스템 중심적 교차성: .. 2019. 6. 22.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1)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요약문]이 논문에서 우.. 2019. 6. 17.
바깥의 사유? 블랑쇼와 함께 푸코를 바깥의 사유? 블랑쇼와 함께 푸코를[각주:1]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 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정치철학 전공 박사과정)     1. 이 콜로퀴엄을 위한 제 발표의 대상으로 삼고자 제가 제안하는 질문, 즉 미셸 푸코의 사유가 최소한 일정한 시간 동안--그러나 이 지점에서, 바로 이 시간에 우리가 어떠한 제한을 부여해야 하는 것인지의 문제가 제기되죠--은 모리스 블랑쇼의 사유와 맺어 왔던 특권적 관계에 대한 질문은 이미 상당히 풍부하게 다루어졌으며 이 질문의 중요성이 이미 인정된 바 있었던 것입니다. 특히 이 질문은 질 들뢰즈의 저서 “푸코”에서 중심적인 자리를 점하고 있는데요, 들뢰즈의 이 저서에서 이 질문에 대한 새로운 검토 전체는.. 2019.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