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11

관개체적인 것의 철학들 : 스피노자, 마르크스, 프로이트 [옮긴이 앞글]  “스피노자와 정치”는 프랑스대학출판부(PUF)에서 1996년 최초로 출간되어 전세계 스피노자 연구에 한 획을 그은 저서이며(하지만 놀랍게도 이 저서는 “마르크스의 철학”과 유사하게 스피노자에 대한 ‘개론서’ 혹은 교수자격시험 대비용 ‘수험서’이다), 국내에서는 진태원 교수에 의해 한 차례 국역된 이후, 독자들은 현재 그 개정판 “스피노자와 정치”(진태원 옮김, 그린비, 2014)를 시중에서 구해 읽을 수 있다. 이 진태원 교수 번역의 “스피노자와 정치”에는 ‘스피노자, 반오웰: 대중들의 공포’, ‘스피노자에서 개체성과 관개체성’, ‘스피노자, 루소, 마르크스: 정치적인 것의 자율성에서 정치의 타율성으로’라는 발리바르의 세 편의 중요한 논문의 번역들, 그리고 옮긴이 진태원 교수의 해제와 .. 2019. 9. 12.
인간학적 차이의 정치철학: 브뤼노 카르젠티와의 대담 [옮긴이] 이 대담은 매우 짧은 분량의 글이지만, 정치철학에 관한 발리바르의 최근의 생각을 집약적으로 읽을 수 있는 매우 시사적인 대담이다. 발리바르의 작업 스타일을 감안할 때, 여기서 가설적으로 소묘된 내용들은 다른 글들을 통해 좀더 구체적이고 발전된 모습으로 제시될 것 같다. 제한된 분량 내에서 다면적인 문제들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려다 보니까 문장이 복잡해지고 때로는 매우 모호한 표현도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감안해서 얼마간 풀어서 번역을 했는데, 좀더 검토를 해본 다음 오역이 있다면 바로 잡겠다. 이 글 역시 (당장) 출판할 목적으로 번역한 게 아니고 충분한 교열을 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직접 인용은 불허한다.   인간학적 차이의 정치철학: 브뤼노 카르젠티와의 대담Etienne Balibar, “Une.. 2019. 9. 10.
“레닌과 철학” 입문 [편집자의 말] 이 글은 2001년 개정 출간된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벤 브루스터 역, 먼슬리 리뷰 출판사)에 덧붙여진 프레드릭 제임슨의 발문이다. 이 책은 1971년에 이미 같은 역자, 같은 출판사에 의해 영어권 독자들에게 소개된 바 있으나, 제임슨의 이 발문은 그간의 알튀세르에 대한 이해를 갱신하게 만든다. 이 책에 수록된 알튀세르의 글 중 「레닌과 철학」은 진태원의 번역으로 『레닌과 미래의 혁명』(그린비, 2008)에서,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들(연구를 위한 노트)」는 『아미앵에서의 주장』(김동수 역, 솔, 1991) 및 『재생산에 대하여』(김웅권 역, 동문선, 2007)에서, 「프로이트와 라캉」은 윤소영이 편역한 『알튀세르와 라캉』(공감.. 2019. 8. 30.
『대중, 계급, 사상』 서문 [편집자의 말] 이 글은 2008년 역자 김정한 선생님의 블로그에 게시된 바 있으나, 발리바르가 다루는 쟁점들을 웹진 인-무브를 통해 다시 한번 문제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여 게재한다. 발리바르의 책 『대중, 계급, 사상』에 수록된 논문 중 일부는 『대중들의 공포』(최원, 서관모 역)와 『인권의 정치와 성적 차이』(윤소영 편역) 등의 역서에서 조금 수정된 형태로 찾아볼 수 있다. 『대중, 계급, 사상』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  제1부 계급 정치의 딜레마 : 전복 대 구성1장  스피노자, 반(反) 오웰 : 대중의 공포2장  "인간의 권리"와 "시민의 권리" : 평등과 자유에 관한 현대적 변증법3장  피히테와 내면의 경계 : 「독일 민족에게 고함」에 관하여제2부 맑스주의 정치학의 이율배반4장  맑스주의에서.. 2019. 8. 17.
주변부 지도 그리기 :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여성에 대한 폭력 (4) 주변부 지도 그리기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4) 킴벌리 크랜쇼 도형(페미니즘 번역모임) 옮김지난 연재분 보러 가기1회차 : https://en-movement.net/1752회차 : https://en-movement.net/2403회차 : https://en-movement.net/243  1. 강간에 대한 지배적인 개념화에서의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  세대를 거쳐 비평가들과 활동가들은 강간에 대한 지배적인 개념화가 인종주의적이자 성차별적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강간에 대한 표상들이 미국 사회 내에서 인종과 젠더 위계를 반영하고 재생산하는 방식을 드러내기 위해 중요했다.[각주:1] 여성이자 동시에 유색인종(people of color)인 흑인 여성은, 성차별주의.. 2019. 7. 29.
추측과 정세 :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인터뷰 추측과 정세 :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인터뷰Interview Etienne Balibar: conjectures and conjunctures, Radical Philosophy 97(September/October 1999)이 글의 원본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radicalphilosophy.com/interview/etienne-balibar-conjectures-and-conjunctures   대담자  피터 오스본 Peter Osborne옮긴이  김정한(현대정치철학연구회) 에티엔 발리바르는 1960년대 초반 알튀세르를 중심으로 하는 탁월한 학생 집단의 일원이었으며, 알튀세르와 함께 『자본을 읽자 Reading Capital』[각주:1]를 저술했다. 그 후 그는 프.. 2019.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