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32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합본) 2019. 7.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3)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복잡한 시스템: 『남성노.. 2019. 6. 24.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2)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시스템 중심적 교차성: .. 2019. 6. 22.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1)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주해연/마이라 막스 페리번역: 한우리(woorihan77@gmail.com) 본 논문은 Choo, H.Y. and Ferree, M.M., 2010. Practicing intersectionality in sociological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of inclusions, interac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tudy of inequalities. Sociological theory, 28(2), pp.129-149. 을 대본으로 하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 이론학교 "번역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요약문]이 논문에서 우.. 2019. 6. 17.
바깥의 사유? 블랑쇼와 함께 푸코를 바깥의 사유? 블랑쇼와 함께 푸코를[각주:1]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 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정치철학 전공 박사과정)     1. 이 콜로퀴엄을 위한 제 발표의 대상으로 삼고자 제가 제안하는 질문, 즉 미셸 푸코의 사유가 최소한 일정한 시간 동안--그러나 이 지점에서, 바로 이 시간에 우리가 어떠한 제한을 부여해야 하는 것인지의 문제가 제기되죠--은 모리스 블랑쇼의 사유와 맺어 왔던 특권적 관계에 대한 질문은 이미 상당히 풍부하게 다루어졌으며 이 질문의 중요성이 이미 인정된 바 있었던 것입니다. 특히 이 질문은 질 들뢰즈의 저서 “푸코”에서 중심적인 자리를 점하고 있는데요, 들뢰즈의 이 저서에서 이 질문에 대한 새로운 검토 전체는.. 2019. 6. 9.
주변부 지도 그리기 :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3) 주변부 지도 그리기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3) 킴벌리 크랜쇼단감(페미니즘 번역모임) 옮김 앨리슨 워커의 소설 『컬러 퍼플』에 대한 논쟁은 흑인 공동체 안의 성폭력을 드러낼 때 발생하는 정치적 비용에 대한 내부 토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비평가는 워커가 흑인 남성을 폭력적인 짐승으로 묘사했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워커가 주인공 셀리를 정서적, 육체적으로 학대당하다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마침내 승리하는 방식으로 묘사한 것에 대해 혹평한 비평가도 있었다. 그 비평가는 워커가 셀리를 통해 자신이 알거나 상상할 수 있는 어떤 흑인 공동체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흑인 여성의 모습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했다. 셀리는 사실성이 전혀 없는 인물이라는 주장은 집단 내 폭력에 대한 토론을 묵살.. 2019.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