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21

알튀세르와 그람시: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대담(1) 알튀세르와 그람시: 에티엔 발리바르와의 대담 (1) 인터뷰 : 파비오 프로시니, 비토리오 모르피노 번역 | 서관모(사회학) 2014년 7월 7일 녹취되고 알튀세르 연구지인 Décalages 지에 처음 실림. 질문은 Gianfranco Rebucini가 프랑스어로 번역하였다. 비토리오 모르피노(Vittorio Morfino. 이하 V.M.) : 알튀세르와 그람시의 관계에 집중하기 위해 세세한 질문(question) 하나에서 출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람시를 “절대적으로 독창적이고 때로는 심지어 천재적인 관념들(idées)”을 제출함으로써 상부구조의 특수성(spécificité)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을 진척시킨 유일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 규정하는 1962년의 「모순과 과잉결정」과, 『『자본』을 읽자』.. 2018. 9. 3.
유예된 제스처: 영화에서의 분열분석, 어펙트 그리고 얼굴(1/2) *이 글은 Deleuze and The Schizoanalysis of Cinema(2008)의 5장을 번역한 것이다. 괄호 안에 페이지 인용은 들뢰즈·가타리 저작의 영역본을 기준으로 표기되었다. 유예된 제스처: 영화에서의 분열분석, 어펙트 그리고 얼굴 Suspended Gestures: Schizoanalysis, Affect and the Face in Cinema 에이미 헤어조그 Amy Herzog 번역: 김동준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이론 세미나팀 우리의 작업은 인간의 얼굴과 더불어 시작된다. (...) 인간의 얼굴에 다가갈 수 있는 가능성은 영화의 가장 중요한 독창성이며 특유의 성질이다. -잉마르 베리만 잉마르 베리만 질 들뢰즈는 「시네마 I」의 어펙트(affect)와 얼굴에 대한 챕터에서 이.. 2018. 8. 23.
주체화의 이론으로서 <시네마> 읽기(2/2) 주체화의 이론으로서 읽기(2/2) -분열분석과 영화의 현상학 Schizoanalysis and the Phenomenology of Cinema 조 휴즈 Joe Hughes 번역: 조지훈|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이론 세미나팀 전반부 보기 수동적 종합에 대한 와 의 차이 ‘초월론적 무의식’의 일반적 구조는 이미 들뢰즈가 에서 매우 자세하게 펼쳐놓은 바 있다. 들뢰즈는 를 재현의 발생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논리적이고 정신분석학적 소설’로서 묘사했다. 이러한 일반적인 이야기에서, 두 가지 하위 플롯이 있다: ‘동적발생’과 ‘정적발생’. 우리가 관심을 갖지 않는 정적발생은, 비물질적 초월론적 장(잠재적인 것)에서 명제의 형식에 의해 구조화된 경험적 의식으로 이동한다. 그것은 종종 ‘현행화’의 이름으로 지나가.. 2018. 8. 16.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위기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위기 * 본 번역 텍스트는 '생각의힘' 출판사를 통해 곧 출간될 루이 알튀세르의 유고집 『검은 소』(배세진 역) 제4장이다. 게재를 허락해준 출판사에 감사드린다. Q> 방금 당신이 정세에 관해 언급했으므로, 엥겔스가 ‘이론에서의 계급투쟁’이라 불렀던 것, 즉 이론적 정세 또한 우리의 논의에 개입시켜야 하는 것 아닐까요? A> 물론이죠. 그리고 우리의 논의를 더 진전시키기 전에, 어떠한 이론적 맥락에서 우리의 질문이 제기되는 것인지를 언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질문은 다음과 같이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현재 상황이 처해 있는 이론적 맥락, 간단히 말해 프롤레타리아 독재라는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포기 자체가 과학적 개념의 중요성이라는 질문을 제기한다는 이론적 맥락에서 굉장히 역설.. 2018. 8. 1.
주체화의 이론으로서 <시네마> 읽기(1/2) 들뢰즈의 는 영화이론과 철학의 접점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텍스트다. "들뢰즈의 읽기" 코너는 영미권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들뢰즈의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번째로 소개할 텍스트는 Deleuze Studies의 편집장인 이언 뷰캐넌이 편집한 Deleuze and The Schizoanalysis of Cinema(2008)에 실린 조 휴즈의 Schizoanalysis and the Phenomenology of Cinema다. 조 휴즈는 현상학과의 비판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들뢰즈를 분석하는 철학자다. 국내에서도 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조 휴즈는 를 들뢰즈의 주된 테마인 분열분석으로 독해함으로서, 들뢰즈의 영화 담론을 예술론이 아니라 주체화의 차원에서 고찰한다. 이 글은 뿐만 아니라 들뢰즈에 관심이 있.. 2018. 7. 30.
주변부 지도 그리기: 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1) 주변부 지도 그리기교차성, 정체성의 정치, 그리고 유색인 여성에 대한 폭력 킴벌리 크렌쇼 Stanford Law Review, Vol. 43, No. 6 (Jul., 1991), pp. 1241-1299 요약: 이 글에서 크렌쇼는 교차성 렌즈를 통해 유색인 여성들에 대한 가정폭력을 분석하면서 이들의 경험이 가진 특수성이 기존의 (백인 중심) 페미니즘 운동이나 (흑인 남성들이 지배하는) 반인종주의 운동 내에서 어떤 식으로 비가시화되는지 이야기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교차성’을 ‘구조적 교차성’ ‘정치적 교차성’ ‘재현적 교차성’으로 세분화해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교차성 이론을 한층 정교화하고 있다. 크렌쇼는 강간이나 가정폭력이 가진 구조적이고 정치적인 측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색인 여성, 빈곤층 여성들.. 2018.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