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Translation222 공산주의의 현재성에 관한 몇 가지 언급 공산주의의 현재성에 관한 몇 가지 언급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배세진 | 파리 7대학 ‘사회학 및 정치철학’ 학과 박사과정 [옮긴이]이 텍스트는 잡지 Actuel Marx, 2010/2 n.48, pp. 33~45에 실린 “Remarques de circonstance sur le communisme”을 옮긴 것이다. 우선 정식으로 번역과 게재를 허락해 주신 발리바르에게 감사드린다. 그리고 본문에 나오는 프라일리그라트의 독일어 시를 번역해주셨을 뿐만 아니라, 독해가 까다로운 본 논문의 전반부 전체를 꼼꼼히 읽고 문장을 전부 자연스럽게 바꾸어주신 진태원 교수님, 그리고 마지막까지 교정을 맡아주셨을 뿐만 아니라 ‘대항-인민주의’에 대한 각주를 사실상 작성하고 번역해주신 장진범 선생님, 부족한 번역에 대한 제언.. 2017. 11. 8. 젠더의 사회재생산과 이데올로기: 리즈 보겔과 주디스 버틀러의 알튀세르 읽기(2015)_첫 번째 젠더의 사회재생산과 이데올로기: 리즈 보겔과 주디스 버틀러의 알튀세르 읽기(2015)_첫 번째, 2015년 12월 1일 앤드루 라이더번역: 단감 /페미니즘 번역모임 초록: 리즈 보겔의 저서 『마르크스주의와 여성 억압: 통합적 이론을 향해』는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중 다수가 가부장제와 남성 우월주의를 자본주의적 생산 및 착취의 사회적 총체성으로 통합시키지 않고 그저 문화적으로 결정되는 별개의 양식으로 남겨두는 이중 체제 이론(dual-systems theory)에 기대고 있다고 주장한다. 보겔의 통찰은 맑스주의 전통 중 전기 사상, 가장 두드러지게는 루이 알튀세르의 발견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알튀세르를 통해 가사노동에 대한 실증적이고 기술적인 접근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맑스의 개념적 통찰을 자.. 2017. 11. 3. 비교영화연구를 위하여(2/2) 비교영화연구를 위하여(2/2) 폴 윌먼 Paul Willemen번역 : 박상빈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영화에게 던지는 비교라는 질문영화에 관하여 비교라는 질문을 던질 때에, 수많은 개념적 자기장들은 자기 스스로를 연구를 위한 영역으로서, 다소간 국가 테두리 내적으로, 어떻게 그리고 왜 특수한(particular) 영화적 형식(표현과 내용 둘 모두에 있어서)이 특수한(particular) 때에 특정적인(specified) 영화 생산의 구역 속에서 달성되었는지에 대한 그럴싸한 이해를 만들어내는 연구 영역으로 통하는 관문의 윤곽을 그려준다. 비교 프로젝트를 위한 출발점으로서 필수적인 그 이론적 직관은 발견하기 상당히 쉽다. 이미 수행된 대부분의 작업과 주요한 초기 작업은 친숙한 이론적 패러다임들의 측면들 사이에.. 2017. 11. 2. 알튀세르와 '공산주의' 알튀세르와 '공산주의'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 서영표 | 사회학자 이 번역은 (‘『『자본』을 읽자』와 『마르크스를 위하여』: 50년 후’라는 주제로 기획된) CRISIS AND CRITIQUE Volume 2, issue 2(2015-11-23)에 첫 번째 글로 실린 에티엔 발리바르의 'Althusser and "Communism"'(조셉 세라노(Joseph Serrano) 번역)을 기본 대본으로 하되, 이 글의 원문이자 (‘알튀세르, 25년 후’라는 주제로 기획된) la pensée 382 (Avril/juin 2015)에 역시 첫 번째 글로 실린 'Althusser et «le communisme»'을 참고하였다. 영역본 초록이 논문은 알튀세르와 공산주의의 관계, 즉 그가 공산주의에 대해서 가지고 있.. 2017. 10. 25. 비교영화연구를 위하여(1/2) 비교영화연구를 위하여(1/2) 폴 윌먼Paul Willemen번역 : 박상빈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초록 : 이 논문은 근대 문화 형식들의 비교 연구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발전의 분기하는 역사들과 그것에 의한 사회적(문화적) 관계들의 재형성되는 동역학의 충격들이라는 공통의 경험에 기반하여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 논문은 그리하여 영상cinema과 영화들films과 같은 완전히 산업화된 문화적 형식의 비교 연구 접근법을 가능케 할 다양하면서도 아마 불가피한 이론적 틀들과 도구들을 제안하고 밝혀내게 될 것이다. Keywords :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comparative film studies,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film theory, .. 2017. 10. 25.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2/3) 알튀세르에게 연극이란 “허구적 위험”일 뿐인가? (2/3) 마르크뱅상 올레황재민 옮김 | 알튀세르 번역집단 (1) 원문은 Howlett, Marc-Vincent, «Le Théatre n’est-il pour Althusser qu’un «Risque Fictif»?», dans Lire Althusser aujourd’hui, l’Harmattan, 1997.(2) 옮긴이의 개입은 중괄호 { } 안에 넣었다. 대개 인용 문헌들의 한국어판 서지 사항이다. (1/3에서 계속)그런데 여기서 그다지 중요해 보이지 않지만 강조하지 않을 수 없을 만큼의 존재감을 지닌 표현이 바로 “무대 가장자리에서”(à la cantonade)라는 표현이다. 이 표현은 1694년을 기점으로 연극 전통에 포함된 한 단어, 곧 특권.. 2017. 10. 19.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