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연재완료79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2/3)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2/3) 마가렛 데이비스(Margaret Davies) 김우리 2. 법의 법의 법 서구 법 이론에 대한 이러한 입문적 요점을 염두에 두면서, 나는 이제 소설(아마도 허구)로 시작하는 데리다의 법에 대한 성찰을 자세히 설명하고 싶다. 데리다는 『법 앞에서』의 서두에서 몽테뉴(Montaigne)를 인용한다. “우리의 법마저 적법한 허구들을 가지며, 그 위에 자신의 정의의 진리의 기반을 둔다.” 적법한 허구의 수수께끼(enigma)는 데리다가 『법의 힘』에서 재론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켈슨 또한 전체 법질서를 하나의 허구로, 적절한 허구로 적법화하는 기본 규범을 기술했다는 것을 기억하라.) 우리는 적법한 허구가 법의 권위의 아포리아를 메운다(fill)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을 설.. 2022. 7. 18.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1/3) 데리다와 법: 적법한 허구들(1/3) 마가렛 데이비스(Margaret Davies) 김우리 세 개의 텍스트, 하나의 법. 또는 마찬가지로 세 개의 텍스트, 정초되지 않은 법(no founded law) 혹은 반-토대의 정초되지 않은 법(an unfounded law of anti-foundation). 나의 논평의 기반으로 삼으려고 하는 데리다의 세 개의 텍스트는 가장 공공연하게 혹은 가장 직접적으로 법의 문제를 다루는 것들 중의 일부이다. 나는 순전히 편의상 텍스트들을 이렇게 구별하는데, 왜냐하면 내가 보기에 데리다의 작품들 대다수는 어떤 식으로든 법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가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텍스트들은 모두 법을 명명하며ㅡ『법 앞에서(Devant la loi)』, 『장르의 법칙.. 2022. 7. 11.
만원의 월급봉투 [경향 시선 07월] 칼럼 만원의 월급봉투 전주희(서교인문사회연구실) 2014년, 쌍용자동차 노동자들은 4만7천원을 담은 노란봉투 4만7천여개를 받았다. 2009년 정리해고에 맞선 77일간의 파업으로 회사와 경찰, 그리고 법원은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에게 47억의 손해배상, 가압류를 결정했다. 해고자들을 중심으로 싸움이 계속되었지만 생활고와 엄청난 손해배상액에 대한 부담이 쌓여 33명의 노동자와 가족이 목숨을 잃었다. 이러한 소식을 접한 배춘환님은 한 언론사에 편지와 함께 4만 7천원을 보냈다. “해고 노동자에게 47억원을 손해배상하라는 이 나라에서 셋째를 낳을 생각을 하니 갑갑해서 작지만 제가 할 수 있는 일을 시작하고 싶어서 보냅니다. 47억원...4만7천원씩 10만명이면 되더라고요.” 쌍용자동차 노.. 2022. 7. 9.
실재의 정치: 들뢰즈의 루소 강의 (4/4) 《실재의 정치》 : 들뢰즈의 루소 강의 질 들뢰즈 지음 황재민 옮김 영역자 서문 1. 세 가지 자연 상태 개념 2. 《신엘로이즈》 :미덕, 객관성, 위계적 단계들 2.1. 단계 1 : 영혼(â̂me; soul)의 기원적 선의 2.2. 단계 2 : 자연적 선의 또는 미덕에 대한 사랑 2.3. 단계 3 : 미덕 그 자체 2.4. 단계 4 : 지혜 3. 《사회계약론》과 《에밀》은 평행하다 4. 자연 상태 5. 루소에게서 ‘자연’의 의미 6. 자연 상태는 현실인가, 허구인가? 7. 루소 저작의 통일성 (I) 8. 어떻게 자연 상태를 벗어나는가? 8.1. 자연 상태에서 야생의 상태로 8.2. 도덕성과 자유의 도래 8.3. 기만, 악의, 양도/소외 8.4. 이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는가? 9. 루소 저작의 통일성 (I.. 2022. 6. 29.
실재의 정치: 들뢰즈의 루소 강의 (3/4) 《실재의 정치》 : 들뢰즈의 루소 강의 질 들뢰즈 지음 황재민 옮김 영역자 서문 1. 세 가지 자연 상태 개념 2. 《신엘로이즈》 :미덕, 객관성, 위계적 단계들 2.1. 단계 1 : 영혼(â̂me; soul)의 기원적 선의 2.2. 단계 2 : 자연적 선의 또는 미덕에 대한 사랑 2.3. 단계 3 : 미덕 그 자체 2.4. 단계 4 : 지혜 3. 《사회계약론》과 《에밀》은 평행하다 4. 자연 상태 5. 루소에게서 ‘자연’의 의미 6. 자연 상태는 현실인가, 허구인가? 7. 루소 저작의 통일성 (I) 8. 어떻게 자연 상태를 벗어나는가? 8.1. 자연 상태에서 야생의 상태로 8.2. 도덕성과 자유의 도래 8.3. 기만, 악의, 양도/소외 8.4. 이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는가? 9. 루소 저작의 통일성 (.. 2022. 6. 22.
실재의 정치: 들뢰즈의 루소 강의 (2/4) 《실재의 정치》 : 들뢰즈의 루소 강의 질 들뢰즈 지음 황재민 옮김 영역자 서문 1. 세 가지 자연 상태 개념 2. 《신엘로이즈》 :미덕, 객관성, 위계적 단계들 2.1. 단계 1 : 영혼(â̂me; soul)의 기원적 선의 2.2. 단계 2 : 자연적 선의 또는 미덕에 대한 사랑 2.3. 단계 3 : 미덕 그 자체 2.4. 단계 4 : 지혜 3. 《사회계약론》과 《에밀》은 평행하다 4. 자연 상태 5. 루소에게서 ‘자연’의 의미 6. 자연 상태는 현실인가, 허구인가? 7. 루소 저작의 통일성 (I) 8. 어떻게 자연 상태를 벗어나는가? 8.1. 자연 상태에서 야생의 상태로 8.2. 도덕성과 자유의 도래 8.3. 기만, 악의, 양도/소외 8.4. 이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는가? 9. 루소 저작의 통일성 (.. 2022.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