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연재완료79

실재의 정치: 들뢰즈의 루소 강의 (1/4) 《실재의 정치》 : 들뢰즈의 루소 강의 질 들뢰즈 지음 황재민 옮김 이 번역 연재물의 원전은 들뢰즈가 1959-1960년 소르본대학에서 행한 루소 강의를 요약해서 기록한 문서이다(생클루고등사범학교 도서관 소장(문서번호 CI 12167)). 27쪽짜리 타자본 문서인데, 기록 자체는 들뢰즈가 한 것 같지 않다. 원본 파일은 http://www.webdeleuze.com/php/texte.php?cle=232&groupe=Rousseau&langue=1에서 구할 수 있다. 옮긴이는 아르옌 클레인헤렌브링크(Arjen Kleinherenbrink)가 영역한 문서도 참조할 수 있었다. 영역본은 불어 원본과 쪽수는 물론 글씨체까지 비슷하게 편집한 축자적 판본과, 영역자가 논문 형태로 좀더 체계적으.. 2022. 6. 1.
『2146,529』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노동자의 죽음 정우준 노동건강연대 활동가,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노동자의 ‘조용한 죽음’과 529명의 부고 2017년 노동건강연대에서 일을 시작한 이후 종종 아주 썰렁한 장례식장을 갈 때가 있다. 화환 하나 없이, 달랑 사망한 분의 이름과 사진 그리고 가족 몇 명 이외에는 드나드는 사람도 없는 그런 장례식장들이 있다. 화재로 9명의 노동자가 사망해 한 병원의 장례식장이 가득 찼지만 찾아오는 이가 없어 적막이 돌던 곳도 있었다.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면 가족의 울음소리, 조문객들로 적막함이 깨지기도 하지만 발인을 하고 화장터에서 화장할 때까지 몇 몇의 가족과 동료, 친구만이 고인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장례식들이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매해 일을 하다 사망하는 2,000여명의 죽음은 이렇게 조용히 가족과 친구들의 .. 2022. 4. 26.
루소의 자연 개념과 대항적인 법이론(2/2) 루소의 자연 개념과 대항적인 법이론(2/2) 조지훈(서교인문사회연구실) 3. 잠재화된 자연: 연민, 완벽가능성 그렇다면 사회상태와 분리된 기원으로서의 자연상태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태인가? 우선 홉스가 말한 전쟁 상태와 달리 루소에게 자연상태는 전지구적으로 평화로운 상태다. 그리고 이러한 평화로운 상태를 기술하는 대목을 통해서 루소가 자연에 대한 낭만화된 관념을 가졌다는 평가가 나온 것인데, 사실 자연상태의 평화는 단순히 홉스와 반대되는 가정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인간들이 모여 있는 상태가 전쟁상태일 것이라 예상하는 홉스처럼 인간의 본성을 이기심에 기초하여 사고하는 것과 달리 인간을 이타심에서 사고한 것이 아니라, 자연상태가 개념적으로 전쟁이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이 루소의 생각이다. 이는 들뢰.. 2022. 3. 11.
[다른 세계로 길을 내는 활동가 모임]의 “같은 현실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다른 미래를 만들어갑시다 - 20대 대통령 선거를 마주하는 763인의 제안”을 돌아보며. [다른 세계로 길을 내는 활동가 모임]의 “같은 현실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다른 미래를 만들어갑시다 - 20대 대통령 선거를 마주하는 763인의 제안”을 돌아보며. 박기형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어둠 속에서 땅을 파며 두더지는 무슨 생각을 할까? 두말할 것 없이 빛이다. 밭이나 정원의 단단한 지면을 뚫고 나오게 될 순간, 분화구에서 돌연히 튀어나올 순간, 눈부신 햇빛 속에서 보게 될 기름진 땅의 윤기, 그는 이를 몽상한다. 그러나 이것이 꿈꾸기는 아니다. 그는 목적지와 갈 길에 대한 생각으로 분주하게 바삐 움직인다.” - 다니엘 벤사이드, 『저항』(김은주 역, 2003, 이후), p.49 2021년 봄, 인권운동사랑방의 제안으로 가 열렸다. 제안에 응한 활동가들이 모여, 각자 걸어온 길을 돌아보며.. 2022. 3. 8.
루소의 자연 개념과 대항적인 법이론(1/2) 루소의 자연 개념과 대항적인 법이론 조지훈(서교인문사회연구실) 1. 루소에게서 자연 개념의 중요성 홉스 이후 근대 철학에서 자연법은 “인간의 고유한 본성 내지는 법칙”을 함의한다(남기호, 2020, 31쪽). 따라서 자연법은 인간에게 본성적으로 속하는 것을 보장하는 법이자 이러한 보장을 받는 자의 권리다(남기호, 2020, 33쪽). 자연법이 자연 내지는 인간의 법칙을 탐구하는 철학적 개념에서 벗어나 법의 근거로서 사용되는 것은 푸펜도르프의 통찰에서부터다. 푸펜도르프는 자연법을 ‘모든 인간들에게 타당하기에’ ‘비로소 국가에 법률을 공포할 권위를 부여하는’ 것으로, 아울러 ‘자연법에 반하는 모든 법률들과 명령들’은 ‘구속력이 박탈’되는 것으로 설명한다(남기호, 2020 37쪽). 즉 자연법은 시민의 저항을.. 2021. 12. 16.
홉스의 자연법 이론과 리바이어던, 그 비참함에 대하여 (2/2) 홉스의 자연법 이론과 리바이어던, 그 비참함에 대하여 (2/2) 백선우(서교인문사회연구실) 3. 홉스의 자연법 이론과 그 한계 이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홉스의 자연법 이론과 코먼웰스와 시민법 혹은 실정법, 자연법과 실정법의 관계 등에 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우선 홉스의 경험론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로부터 시작하여, 제1자연법의 모순과 홉스의 일면적 자유 개념에 대한 비판,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연법과 실정법의 관계에 대한 비판을 다루고자 한다. 3.1. 홉스의 경험론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 홉스는 인간의 본성과 자연상태로부터 자연법, 코먼웰스의 성립과 시민법까지 이어지는 논증을 통해 자신의 정치철학을 개진한다. 여기서 핵심이 되는 것은 인간의 본성과 그로 인한 전쟁상태에 있는 자연상태, 그리고 이.. 2021.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