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무브 Translation211 마르크스의 ‘두 가지 발견’ 마르크스의 ‘두 가지 발견’*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번역: 정용택 | 연구집단 CAIROS * Actuel Marx 2011/2 (No 50), pp. 44-60. [아래 각주 1에서 발리바르가 밝히고 있듯이, 이 글은 원래 뉴욕 컬럼비아대학 학회에서 영문 원고로 먼저 발표되었는데 이후에 발리바르가 불어본으로 개정하여 Actuel Marx지(誌)에 기고했고, Cadenza Academic Translations에 의해 영어로 재번역되어 Actuel Marx지(誌) 원문제공 웹사이트에 불어 원고와 함께 게시되었다. 이 글은 영문 원고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https://www.cairn-int.info/article-E_AMX_050_0044--marx-s-two-discov.. 2018. 3. 20. 착취 착취 에티엔 발리바르번역 : 구준모 이 원고는 2013년 11월 15일 브라운대학교 코것Cogut인문학센터에서 열린 정치적 개념들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것이다. 이 컨퍼런스에서 ‘착취’를 발표해 달라는 제안을 받고서, 나는 지금 만들어지는 ‘정치적 개념들’ 백과사전의 틀에 따라서 마르크스주의의 정치적 특징을 옹호하려고 생각했다. 착취가 마르크스주의의 중심 통념들 중 하나이고, 학문분과 영역들 및 어법들의 분리를 극복하는 마르크스주의의 방식을 특징짓는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취 개념은 마르크스주의가 비판 이론을 위한 중요한 참조점이라는 우리의 확신의 근거가 된다. 정치 이론가에게 착취는 ‘경제적’ 개념처럼 보이거나, 최소한 경제학주의economicism로 가득 차 있다. 착취는 .. 2018. 3. 13.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두 번째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두 번째 반차별 독트린, 페미니즘 이론, 반인종주의 정치에 대한 흑인 페미니즘의 비판 킴벌리 크렌쇼 번역: 마리온&단감/ 페미니즘 번역모임 I. 반차별의 프레임 A. 교차성의 경험과 교조적 반응 교차성의 문제에 접근하는 한 가지 방법은 법원이 흑인 여성 원고의 이야기를 어떻게 프레임화하고 해석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내가 다음에서 논의할 사건들의 기저가 되는 상황들을 속속들이 안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흑인 여성의 주장을 법원이 해석하는 방식 자체가 흑인 여성의 경험의 일부이기 때문에, 원고가 흑인 여성인 사건들을 대강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차성을 사법적으로 고려할 때 내재하는 난점을 보여 주기 위해 나는 민권법 7조와 관.. 2018. 3. 7.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첫 번째 인종과 성의 교차점 탈주변화하기_첫 번째 반차별 독트린, 페미니즘 이론, 반인종주의 정치에 대한 흑인 페미니즘의 비판 [옮긴이] 페미니즘 학자 킴벌리 크렌쇼는 1989년에 발표한 이 논문을 통해 '상호교차성'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상호교차성은 흑인 여성이 인종 차별과 성차별 양쪽 모두를 경험한다는 사실이 여성으로서의 삶과 페미니즘에 참여하는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이다. 그는 인종차별, 성차별, 호모포비아, 트랜스포비아, 장애인 차별, 계급주의 등 다양한 형태의 억압이 각각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차별을 감당하며 다중 전선에서 싸워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교차성 페미니즘은 여성이 성차별과 동시에 맞서야 하는 여러 차별을 누락시.. 2018. 2. 20. 조르주 라비카 번역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 프랑스어 번역(엥겔스가 수정한 부분은 각주로 처리) 프랑스어 번역: 조르주 라비카(Georges Labica)한국어 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옮긴이 앞글: 이 텍스트는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의 프랑스어 번역과 이에 대한 상세한 철학적 주해로 구성된 조르주 라비카의 저서 Karl Marx: Les Thèses sur Feuerbach에 실린 「포이어바흐에 관한 열한 가지 테제」의 프랑스어 번역본을 원본으로 삼아 번역한 뒤 이를 철학연구자 강유원의 신뢰할 만한 한국어 번역본 『루트비히 포이어바흐와 독일 고전철학의 종말』(이론과실천, 2008)과 비교하여 수정한 것이다(강유원은 마르크스의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또는 「.. 2018. 1. 24. "마르크스의 철학" 재판 서문 "마르크스의 철학" 재판 서문 에티엔 발리바르 지음번역: 배세진 (파리 7대학) 옮긴이 앞글(1) 이 번역문은 마르크스 탄생 200주년을 맞아 곧 도서출판 오월의 봄에서 출간될 발리바르의 저서 "마르크스의 철학"의 재판 서문이다. 웹진 게재를 허락해준 도서출판 오월의 봄에 감사드린다. (2) “마르크스의 철학”은 1993년 “학생 대중과 교양있는 독자 대중”을 대상으로 한 라 데쿠베르트 출판사의 “입문 총서” 중 한 권으로 처음 출간되었으며[각주:1], 2001년에는 동일한 출판사의 “Repères” 총서 포슈판으로 (‘문헌 안내’를 재검토하고 증보한 것 이외에는) 아무런 개정 없이 두 번째 출간되었다[각주:2]. 우리가 지금 출간하는 이 책은 2014년 동일한 출판사에서 출간된 재판(이 역시 포슈.. 2018. 1. 11.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