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무브 Translation215

라클라우와의 인터뷰(1/2) 라클라우와의 인터뷰(1/2)   인터뷰어: 데이비드 하워드(DH)인터뷰이: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L)번역: 현우식  *데이비드 하워드(David Howarth)의 『Ernesto Laclau: Post-Maxism, populism and critique』(Routledge, 2014)에 수록된 에르네스토 라클라우(Ernesto Laclau)와의 인터뷰를 번역한 글입니다. 라클라우의 제자이기도 한 하워드는 라클라우 사상의 핵심 개념인 담론, 적대, 헤게모니, 정치의 우위 또는 정치적인 것을 중심으로 논쟁적인 주제들을 거침없이 풀어놓습니다. 라클라우는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작업에 대해 제기된 여러 의문에 대해 응답합니다.  DH: 이 책에 수록된 장들은 지난 35년여간 당신의 작업이 이룩한 주요 혁신을 .. 2024. 2. 6.
히스토리 트러블: 조앤 W. 스콧과의 인터뷰 (2/2) 히스토리 트러블 (2/2) 조앤 W. 스콧과의 인터뷰 인터뷰어: 가엘 크리코리안, 필립 망조, 아델 폰티첼리 & 피에르 자우이 인터뷰이: 조앤 W. 스콧 번역: 황유경 * 원문 –vacarme.org/article2325 History trouble - Vacarme « Femme », « Homme », « Genre », « Français », « Musulman » : ces catégories, par lesquelles se constituent et s’identifient des sujets politiques, n’ont pas de sens fixe. C’est que « les mots ne sont jamais que les batailles vacarme.org -> 히스토리 트러.. 2023. 11. 3.
히스토리 트러블: 조앤 W. 스콧과의 인터뷰 (1/2) 히스토리 트러블 (1/2) 조앤 W. 스콧과의 인터뷰 인터뷰어: 가엘 크리코리안, 필립 망조, 아델 폰티첼리 & 피에르 자우이 인터뷰이: 조앤 W. 스콧 번역: 황유경 * 원문 –vacarme.org/article2325 History trouble - Vacarme « Femme », « Homme », « Genre », « Français », « Musulman » : ces catégories, par lesquelles se constituent et s’identifient des sujets politiques, n’ont pas de sens fixe. C’est que « les mots ne sont jamais que les batailles vacarme.org ‘여성’, ‘남성’.. 2023. 11. 1.
사회적 고통의 비판이론(2/2) 사회적 고통의 비판이론(2/2) 엠마누엘 르노(Emmanuel Renault) 번역: 백선우(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계속) 사회철학의 세 가지 모델 사회철학의 여러 가능한 지향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회철학에 대한 호네트의 정의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재구성해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 사회철학은 기술적 접근방식과 규범적 접근방식 사이의 밀접한 상호연결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실천철학의 한 부문을 의미한다.[1] 앞서 말했듯이 기술적 측면은 사회적 환경의 본성과 그것이 개인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규범적 접근방식의 독특성은 규범적 접근방식이 사회적 경험에 특수한 규범들에 기반한 특수한 종류의 사회적 비판을 지지한다는 점이다. 누군가는 사회적 병리학의 식별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이 두 접근방.. 2023. 9. 5.
사회적 고통의 비판이론(1/2) 사회적 고통의 비판이론(1/2) 엠마누엘 르노(Emmanuel Renault) 번역: 백선우(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초록 이 논문은 사회적 고통이라는 개념의 이중적 연관성, 즉 정치적 연관성과 이론적 연관성을 옹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사회적 고통은 현대 부정의의 모든 측면들을 기술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오늘날 정치학에 필수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사회적 고통은 여러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 사회심리학)의 다수의 중요한 연구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 개념은 개인적 현상과 사회적 현상을 구획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설정된 학문분과적 경계들에 도전한다는 점에서 중대한 개념적 문제들을 일으킨다. 나는 철학이 사회과학에서 분기하는 다양한 관점들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역할을 수.. 2023. 8. 31.
아도르노의 현재성에 관한 테제들 아도르노의 현재성에 관한 테제들 한상원(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스탈린, 아우슈비츠, 히로시마. 20세기를 특징짓는 사건들이다.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파시즘과 전체주의의 시대 억압적인 전체에 맞서 소멸해가는 개별성을 구하고자 시도했고, 인간과 그 사회적 관계 그리고 자연을 동일성으로 환원하는 근대적 사회체제를 격렬하게 고발했다. 그리고 시간이 흘렀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필자는 아도르노 철학이 오늘날 현대 사회이론과 정치철학에 제시할 수 있는 교훈을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해보려 한다. 1. 변증법에 관하여 20세기 중후반 이래 이른바 ‘서구 맑스주의’라고 불리는 이론적 흐름에서 변증법은 일종의 뜨거운 감자였다. 소련의 타락과 전 세계 공산당.. 2023.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