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19

[근대 세계의 형성] 제7장 단체와 신탁(1/2) 근대 세계의 형성>, 7장 단체와 신탁 (1/2)원제: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 Visions from the West and East 알란 맥팔레인(Alan Macfarlane)번역: 박기형(서교인문사회연구실) 파트 1. F. W. 메이틀런드: 근대 세계의 본성과 기원 7장 단체와 신탁 (Fellowship and Trust) 메이틀런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유, 평등, 부의 균형을 고려하면서, 사회 진화에 대한 대부분의 생각에 기초였던 19세기의 유명한 이분법의 한 측면을 효과적으로 무너뜨렸다. 그는 개인이 공동체 안에 편입되고, 계약이 지위에 전적으로 종속되며, 계서제와 가부장제가 보편적이었던 세계에서 모든 문명이 시작된 것은 아니라는 걸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 .. 2024. 10. 20.
마리 부트, <스피노자와 인종적 상상계: 내러티브의 정치적 힘> 마리 부트(Marie Wuth)번역: 김강기명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In: “Spinoza after Politics”: Dan Taylor, Gil Morejon, Marie Wuth, and JackStetter, https://www.thephilosopher1923.org/post/spinoza-after-politics  "Spinoza after Politics": Dan Taylor, Gil Morejon, Marie Wuth, and Jack Stetter (Keywords: Human Nature; Affects; Anarchism; Sta"The more we affect and are affected by others, the more we can perceive and un.. 2024. 10. 16.
길 모레혼, <스피노자 대 무정부주의: 정치사상의 재해석> 스피노자 대 무정부주의: 정치사상의 재해석  길 모레혼(Gil Morejón)번역: 김강기명 |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회원 스피노자의 철학을 전공한 김강기명 회원이 스피노자와 무정부주의의 관계를 논하는 길 모레혼의 글을 번역해 주었습니다. 이 글은 댄 테일러, 길 모레혼, 마리 부트, 잭 스테터가 철학 저널 에 공동으로 기획한 코너 "Spinoza After Politics"에 실린 글들 가운데 한 편입니다. 김강기명 회원은 이 코너의 또 다른 글도 번역했는데요, 조만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오늘은 인간 본성에서 공동체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는 스피노자의 정치철학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김강기명 회원은 2023년부터 연구실에서 스피노자 강의를 계속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 [23년 가을 강좌] 스피노자.. 2024. 10. 16.
요한나 옥살라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 1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 1  요한나 옥살라(Johanna Oksala)백소하 옮김  (캐서린 R. 스팀슨, 길버트 허트 엮음) 읽기 세미나에 참여하신 백소하님께서 요한나 옥살라의 2018년 논문 「페미니즘, 자본주의, 생태」를 번역해 주셨습니다. 의 13장 "자연"을 읽으면서 페미니즘 담론에서 자연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알게 되었는데, 옥살라의 논문을 통해 마르크스주의-페미니즘-생태의 연쇄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게 된 듯합니다. 옥살라는 작년에 같은 제목의 저서(Feminism, Capitalism, and Ecology.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23)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이 책을 미처 살펴보지는 못했지만, 그 작업의 시작점이 되는 논문이 아닐까.. 2024. 10. 15.
[근대 세계의 형성] 6장 법적 체계들의 분기 근대 세계의 형성>, 6장 법적 체계들의 분기원제: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 Visions from the West and East 알란 맥팔레인(Alan Macfarlane)번역: 박기형(서교인문사회연구실)  파트 1. F. W. 메이틀런드: 근대 세계의 본성과 기원 6장 법적 체계들의 분기 메이틀런드의 모든 논의를 종합해보면, 당시 상황에 대한 그의 그림은 본질적으로 다음과 같다. 로마 제국이 붕괴한 후 12세기 무렵까지 오랜 기간 동안 북서부 유럽 대부분의 법적, 정치적, 사회적 체계는 대체로 유사했다. 세 차례에 걸친 튜턴족(앵글로색슨족, 바이킹족, 노르만족)의 침략을 겪었고, 대부분의 유럽 대륙에 비해 로마화가 덜 진행되었기 때문에, 북부 독일과 스칸디나비아와 .. 2024. 10. 15.
[근대 세계의 형성] 5장 사회적 관계들 근대 세계의 형성>, 5장 사회적 관계들원제: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 Visions from the West and East  알란맥팔레인(Alan Macfarlane)번역: 박기형(서교인문사회연구실)  파트 1. F. W. 메이틀런드: 근대세계의본성과기원 5장 사회적 관계들 공동체와 개인 19세기 후반 사회 이론가들의 조직화에 관한 저명한 관념들 중 하나는 퇴니에스(Tönnies)가 제시한 공동체에서 어소시에이션으로의 이동이라는 관념이었다. 마르크스, 모건, 메인 등 많은 이론가들의 연구가 대부분 이러한, 이른바 획일적인 운동에 집중되어 있었다. 다시 한번 메이틀런드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가 이 가정에 도전함으로써 전임자들이 직면했던 많은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을 알 .. 2024. 10. 12.